References
- Battaglia, Deborah Frances. In search of mechanisms and mediators by which immune stress disrupts reproductive neuroendocrine function and ovarian cyclicity. University of Michigan, pp.1-235, 2001.
- Von Ah, Diane Marie. Stress, social support, immune response, and fatigu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The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 pp.1-196, 2003.
- Giovanola, Sophie. Psychological differentiation, depression, and patterns of coping with stress in HIV-positive mothers (Immune deficiency). Columbia University, pp.1-216, 2001.
- 전숙영, 염혜영, 류정우, 정병주, 김규언, 이기영. 아토피 피부염 환아에서 두피의 비듬내 집먼지진드기 항원 농도와 임상증상 사이의 상관관계.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 9(1):32-40, 1999.
- 차재훈, 김윤범, 남혜정, 김희정, 박외숙, 김규석. 지루성 피부염의 최신 지견.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19(3):118-133, 2006.
- Kose O, Erbil H, Gur AR. Oral itraconazole for the treatment of seborrhoeic dermatitis: an open, noncomparative trial.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19(2):172-175, 2005. https://doi.org/10.1111/j.1468-3083.2005.01090.x
- Berk, Thomas Scheinfeld, Noah. Seborrheic dematitis. CORE Medical Journals, 35(6):348-352, 2010.
- McFalda, Wendyl Roebuck, HeatherL. Rational management of papulopustular rosacea with concomitant facial seborrheic dermatitis: a case report, 4(1):40-42, 2011.
- Choi In-Hwa. A Clinical Study on the Prevalence of Skin Diseases in Adult Patients-focused on an ageing society.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19(2):242-248, 2006.
-
Jeong Se-Kyoo, Kim Jeong-Kee, Baek Ji-Hwoon. 5-
${\alpha}$ -Reductase Inhibitors from Native Plants and their Sebosuppressive Effects in Cultured Human Sebaceous Gland Cells. J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31(3):273-277, 2005. - 노병인. 지루피부염. 건강소식, 17(2):28-30, 1993.
- Hetem DJ, de Ruiter SC, Buiting AG, Kluytmans JA, Thijsen SF, Vlaminckx BJ, et al. Preventing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and sepsis in patients with Staphylococcus aureus colonization of intravascular catheters: a retrospective multicenter study and meta-analysis. Medicine (Baltimore), 90(4):284-288, 2011. https://doi.org/10.1097/MD.0b013e31822403e9
- 배광식. 근관충전의 미세누출과 혐기성세균. 대한치과의사협회지, 34(121) : 847-850, 1996.
- 정윤섭, 권용재, 이경원. Vitek ANI System에 의한 혐기성세균 동정의 정확성. 대한미생물학회지, 27(3):269-275, 1992.
- 백근식, 기광서, 최한나. 임상 검체로부터 분리된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us aureus의 독소 및 항생제 내성. 생명과학회지, 21(2):257-264, 2011.
- 김선미, 최남기, 조성훈. 어린이 치면세균막에서 치주질환 원인균과 항생제 내성유 전자의 출현율.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8(2):170-178, 2011.
- 조연희, 최영, 장매희. 사자발쑥, 제라늄 및 레몬그래스 정유성분의 항균활성. 한국 생물환경조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01:132-134, 2003.
- 이승은, 박춘근, 차문석.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에 대한 박하와 배초향 정유성분의 항균활성. 한국약용작물화회지, 10(3):206-211, 2002.
- 김진경, 차문석, 박경환. 고추냉이 정유성분의 조성 및 항균활성. 한국영양학회 2001년도 춘계연합학술대회 초록, 01;272.2-272.2, 2001.
- 장미란, 서지은, 이제혁. 산초 정유성분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6(2):206-213, 2010.
- 강정미, 차인호, 이영근. 어성초 휘발성 정유성분의 동정과 분획물이 향 특성 및 항균활성-II. Prep-HPLC에 의한 분획물의 향특성과 항균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6(2):214-221, 1997.
- 강정미, 차인호, 이영근. 어성초 휘발성 정유 성분의 동정과 분획물의 향특성 및 항균활성-I. 어성초의 휘발성 정유성분의 동정.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6(2):209-213, 1997.
- 류중재, 김정곤, 김영운. 편백나무 정유를 처리한 면섬유의 항균성.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4차 학술발표회, 80-80, 2011.
- 강수경, 어규식, 전양현. 편백 피톤치드가 Candida albican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35(1):19-29, 2010.
- 김해성, 한상길, 맹주양. 편백나무 정유의 소취효과 및 항균력 평가. 한국냄새환경학회지, 8(3):111-117, 2009.
- 염태현, 임흥빈. 측백나무 열매 추출물의 항균활성. 한국용용작물학회지, 18(5) :315-322, 2010.
- 오병태, 김청환, 조성환. 측백나무잎 추출물의 항균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 40(1): 21-26, 2006.
- 문관심. 약초의 성분과 이용, p.433, 1999.
- 현재석, 강성명, 마한다. 온주밀감 및 당유자 진피 요소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6(1):18-25, 2010.
- 현재석, 강성명, 마한다. 진귤 및 온주밀감 진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1):1-7, 2010.
- 정희경, 정유석, 박치덕. 진피 에탄올 추출물이 Alloxan에 의해 유도된 HIT-T15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8):1102-1106, 2010.
- 현재석, 강성명, 마한다. 제주산 감귤류 진피와 과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6(1):88-94, 2010.
- 김용덕, 마한다, 고경수. 수확시기별 제주 재래종 감귤과피의 활성산소종 소거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8(4):462-469, 2009.
- 윤창훈, 좌승미. 감귤과피로부터 발암 promotion 억제 활성성분의 분리.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49(1):25-29, 2006.
- 이영재, 최영훈, 이선이. 감귤의 주요 기능성 성분이 당뇨병 치료 작용기전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pp.105-106, 2010.
- 김성환, 김일출. 두충, 단삼, 진피 및 천궁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효과.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8(4):618-623, 2008.
- 정진기, 손건호, 김영식. 진피 에탄올추출물의 콜라겐 유도 관절염 마우스에서의 항관절염 효과연구.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6(3):1-6, 2011.
- 임호섭, 윤철훈, 오은하. 제주 감귤피에서 추출한 d-Limonene 오일의 항균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유화학회지, 26(3): 350-356, 2009.
- 이영애, 한채정. 아유르베다 체질과 청소년기의 여드름 상태에 관한 상관성 연구. 한국인체예술학회지, 10(4):53-63, 2009.
- 이성현, 이종수. 구절초(Chrysabthemum zawadskii)로부터 비듬균에 대한 항균물질의 생산 및 특성.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35(3);220-225, 2007.
- 이정현, 이재숙. 비듬균(Malasssezia furfur)에 대한 식물 오일들의 항균활성 및 활성오일의 성분 분석.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3):315-321, 2010.
- 김태권, 전영승, 김상태, 서기석. 피부 조직 검사로 처음 진단된 백선증의 임상, 병리조직 및 진균학적 소견. 대한피부과학회지, 47(12):1345-1352, 2009.
- 이수연, 곽기섭, 이전제, 여환명, 최인규. 삼나무 흑심재 추출물의 피부사상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 목제공학, 37(3):265-273, 2009.
- Zenro Ikezawa, Junko Komori, Yuko Ikezawa, Yusuke Inoue. A Role of Staphyococcus aureus, Interleukin-18, Nerve Growth Factor and Semaphorin 3A, an Axon Guidance Molecule, in,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Atopy Dermatitis. Allergy Asthma Immunol Res., 2(4):235-246, 2010 Oct. https://doi.org/10.4168/aair.2010.2.4.235
- 박윤희, 박희문. 이중특이성 인산화 효소의 결손이 Candida albicans 병원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균학회지, 39(1):85-87, 2011.
- 조병현, 황은정, 박소연, 손준성, 이미숙. 면역력이 정상인 환자에서 발생한 중추신경계의 아스페르길루스증 1예. 대한내과학회지, 80(5):615-619,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