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racteristics of Freewheeling Expressed in Korea Contemporary Fashion

한국 현대패션에 표현된 자유분방성

  • Byun, Yo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Chae, Keum-Se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변영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전공) ;
  • 채금석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전공)
  • Received : 2011.11.01
  • Accepted : 2012.02.02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fashion phenomeno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characteristics of freewheeling to explain the de-constructive, eclectic, avant-garde tendencies in Contemporary Fashion. This study is to elici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through 400 pieces of visual data analysis from 2001S/S to 2011F/W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freewheeling, nontechnical experiments do away with the classical form. The oriental ideas include the thoughts of different tastes that break the stereotypes according to the Western values and the pursuit of unconventional beauty. These also insist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including human-being, nature and creation is not divided into two equal parts, and even beauty and ugliness originated from one. This study is to find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oriental aesthetics with open concepts that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full availability, unlike the Western values that accommodate the relative concept of the pursuit of diversity. Therefore, integrated and systematic approaches of oriental aesthetics that place much value on the coexistence of antithetic concept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ambiguity of complexity and diversity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Keywords

References

  1. 최준식 (2000), 한국미 그 자유분방함의 미학, 서울: 효형출판, p. 23.
  2. 최준식 (2000), 한국미 그 자유분방함의 미학, 서울: 효형출판, pp. 35-36.
  3. 유동식 (1997), 풍류도와 한국의 종교사상,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p. 112.
  4. Thomas Munro (1984), Oriental aesthetics, 백기순 역 (2002), 동양미학, 서울: 열화당, pp. 81-82.
  5. 유동식 (1997), 풍류도와 한국의 종교사상,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p. 83.
  6. 한국국민윤리학회 (1993), 한국사상과 윤리, 서울: 형설출판사, pp. 169-170.
  7. 노승현 (1997), 동서인간론의 충돌, 서울: 백의, p. 129.
  8. 김영호 (1998), 동양미학의 입장에서 바라본 영화,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14.
  9. 조민환 (2003), 태극음양설과 한국전통예술의 미의식, 美學.藝術學硏究, 17, p. 94.
  10. 이동철, 최진석, 신정근 (2005), 21세기의 동양철학, 서울: 을유문화사, pp. 95-96.
  11. 이종선 (2004), 장자미학의 포스트모던적 고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9-20.
  12. 한국국민윤리학회 (1993), 한국사상과 윤리, 서울: 형설출판사, pp. 221-222.
  13. 김영호 (1998), 동양미학의 입장에서 바라본 영화,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6.
  14. 신은경 (2000), 風流-동아시아 미학의 근원, 서울: 보고사, pp. 64-67.
  15. 박경일 (2002), 동과 서의 발라드, 동서비교문화저널, 6, pp. 68-70.
  16. 이윤경 (2009), 복식에 표현된 초공간 패러다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58.
  17. 정진배 (2008), 탈 현대와 동양적 사유논리, 서울: 차이나하우스, p. 181.
  18. 홍승희 (2001), 동양사상의 관점에서 본 상대주의 공간개념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6.
  19. 유현준 (2008), 모더니즘-동서양 문화의 하이브리드, 서울: 미세움, p. 38.
  20. 이진민, 김민자 (2006), 동양 미학적 관점에 의한 한,일 여성 전통복식의 미적 특성 고찰, 복식, 56(5), pp. 132-149.
  21. 김은균 (2005), 탈춤에 나타난 음양오행 사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14.
  22. 정진배 (2008), 탈 현대와 동양적 사유논리, 서울: 차이나하우스, p. 48.
  23. 이순만 (1997), 동양의 자연사상과 한국의 전통색채연구, 디자인 논문집, 2, p. 9.
  24. 신은경 (2000), 風流-동아시아 미학의 근원, 서울: 보고사, pp. 64-67.
  25. 안휘준, 정양모 (2007), 한국이 미, 최고의 예술품을 찾아서, 경기: 돌베개, p. 134.
  26. 이효진 (2001), 1990년대 이후 한국 서양복식에 표현된 자유분방함의 미, 패션비지니스, 5(1), p. 37.
  27. 자료검색일 2010. 1. 18, http://blog.daum.net/casahp/53?srchid=IIMOskfj300#A121A354F4F44B1142E1EE7
  28. 유명걸 (2000), 서양의 미학이론과 한국 미학 이론의 단초, 범한철학, 21, p. 299.
  29. 정동주 (2001), 조선막사발 천년의 비밀, 서울: 한길아트, p. 13.
  30. 윤용이, 유흥준, 이태호 (1997), 조선후기 장승의 미술사적 규명-한국 미술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 서울: 학고재, p. 77.
  31. 심영옥 (2006), 한국의 아름다움, 그리고 그 의미, 서울: 진실한 사람들, p. 24.
  32. 변영희, 채금석 (2009), 21세기 뷰티디자인의 미학적 접근, 한국의류학회지, 33(8), p. 148.
  33. 자료검색일 2009. 11. 29, http://imgv.search.daum.net/viewer/search?w=imgviewer&SearchType=tab&ResultType=tab&q=%B1%C3%C1%DF%B9%AB%BF%EB&SortType=tab&sidx=30
  34. 자료검색일 2009. 5. 29, http://cafe.daum.net/ulsanworlddance/3vrl/1?docid
  35. 김지영 (2009), 시나위적 안무법이 적용된 창무춤의 창작성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59.
  36. 정은혜 (2002), 한국 춤의 미학적 특성과 형성요인에 대한 분석, 무용학회논문집, 33, pp. 155-175.
  37. 자료검색일 2009. 7. 15,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762779
  38. 황경숙, 이주연 (2004), 살풀이춤의 무용미학적 고찰, 한국스포츠리서치, 15(5), pp. 511-524.
  39. 박전열 (2001), 봉산탈춤, 화산문화, p. 123.
  40. Leonard C. Pronko (1967), Theatre East and West, 서연호 역 (2004), 동아시아 공연예술, 서울: 살림출판사, pp. 60-61.
  41. 변영희, 채금석 (2009), 21세기 뷰티디자인의 미학적 접근, 한국의류학회지, 33(8), p. 149.
  42. Leonard C. Pronko (1967), Theatre East and West, 서연호 역 (2004), 동아시아 공연예술, 서울: 살림출판사, pp. 6.
  43. 조민환 (2003), 태극음양설과 한국전통예술의 미의식, 美學.藝術學硏究, 17, p. 93-112.
  44. 자료검색일 2010. 3. 15, http://blog.naver.com/chfhsldpdu?Redirect=Log&logNo=140044689261
  45. 자료검색일 2010. 7. 2, http://www.koreanfolk.co.kr/folk/house/intro.asp
  46. 자료검색일 2010. 6. 13, http://www.imagekorea.co.kr/script/search/view_detail.php?ProductNo=7038143
  47. 권영필 외 (2005), 한국의 미를 다시 읽는다, 경기: 돌베개, pp. 56-59.
  48. Thomas Munro (1984), Oriental aesthetics, 백기순 역 (2002), 동양미학, 서울: 열화당, pp. 63-64.
  49. 자료검색일 2009. 10. 28, http://museum.sookmyung.ac.kr/sub03/06.asp
  50. 심영옥 (2006), 한국의 아름다움, 그리고 그 의미, 서울: 진실한 사람들, p. 101.
  51. 김미영 (1998), See-Through 양식을 응용한 현대 한국 의상 디자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8-41.
  52. 자료검색일 2010. 4. 15, http://www.gogung.go.kr/gallery.do?cmd=galleryAroundForm&menu=19&view_menu=13
  53. 김지연 (1999), 한국 전통미를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3.
  54. 금기숙 (1995),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p. 73.
  55. 두산동아사서편집국 (2005), 새국어사전, 서울: 두산동아, p. 1906.
  56. 최준식 (2002), 한국인은 왜 틀을 거부하는가, 서울: 소나무, p. 92.
  57. 권영필 (1985), 한국 미술의 미적 본질, 서울: 서울신문사, p. 63.
  58. 최준식 (2002), 한국인은 왜 틀을 거부하는가, 서울: 소나무, p. 44.
  59. 이진민, 김민자 (2006), 동양 미학적 관점에 의한 한,일 여성 전통복식의 미적 특성 고찰, 복식, 56(5), pp. 140.
  60. 자료검색일 2009. 7. 15, http://www.style.com
  61. 변영희, 채금석 (2009), 21세기 뷰티디자인의 미학적 접근, 한국의류학회지, 33(8), p. 153.
  62. 이윤경 (2009), 복식에 표현된 초공간 패러다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2.
  63. 서봉하, 김민자 (2007), 불이사상에 영향을 받은 전통 복식의 조형미, 복식, 57(3), pp. 167-169.
  64. 정세희 (2008), 현대패션에 나타난 탈중심화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3.

Cited by

  1. Disㆍe Phenomenon in The 21st Century Fashion Beauty Design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Aesthetics : Based on costume, makeup, hair design vol.67, pp.4, 2017, https://doi.org/10.7233/jksc.2017.67.4.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