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e workers' Job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their Stay-at-Home aged Welfare Service

  • 투고 : 2012.02.06
  • 심사 : 2012.03.15
  • 발행 : 2012.04.28

초록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향상과 보다 나은 질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산시 소재 6개구 소재 16개 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에게서 회수된 설문지 250부 중 216부를 SPSS 12.0 을 이용하여 설문문항의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양보호사 직무만족 요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양보호사의 업무자체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안전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서비스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요양보호사의 업무부담, 직무환경에 관한 만족은 서비스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업무자체만족도 수준과 직업안정 관련 구조 개선을 충족시킬 수 있는 여건들이 조성된다면 보다 양질의 요양보호 서비스 제공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 affect on service quality. It was intend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enhancing the Job satisfaction and making better quality of service. In order to meet the above purpose,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applied for the care workers who worked at the 16 home care facilitie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250 sheet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the total of 216 sheets were sampled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For data analysis, the statistics package of SPSS/WIN 12.0 was employed to perform reliability test,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A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how care worker's job satisfaction will affect towards the quality of the service, service quality increased as the care worker's job satisfaction rate was higher. For the job satisfaction's sub-variables, it showed high service quality as the satisfaction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task satisfaction level and job safety level.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영순, 재가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수발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서대문구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 김영자, 노인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 유효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 김영태, 김희웅, 염영배, "요양시설과 재가시설의 요양보호사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제46권, pp.53-76, 2009.
  4. 김윤진,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5. 김현진,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효과 성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 연구, 제51호, pp.191-214, 2011.
  6. 김준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서비스 질 향상 방안; 요양보호사의 인력양성 및 전문성 향상을 중심으로", 극동사회복지 저널, 제4권, pp.49-81, 2008.
  7. 남희은, 임창호, 류황건, 배성권, 김상희, 김선희, 이재희, 김향은, "장기요양보험제도에 따른 인력 양성의 네트워크 사례연구-부산시 영도구 요양 보호사 교육운영 사례-", 의료경영연구, 제2권, 제1호, pp.147-157, 2008.
  8. 송희경, 업무환경이 재가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몰입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9. 신미선, 노인장기요양보험에 있어서 요양보호사 직무만족도에 관한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0. 신정욱, 백주희,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1등급 노인과 3등급 치매노인을 케어하는 요양보호사 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1067-1081, 2011.
  11. 오세웅, 노인요양시설 생활지도원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2. 원영희, 김욱,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2권, pp.25-54, 2008.
  13. 유병주, 직무만족과 직무관계행동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3.
  14. 이수진,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15. 이윤형, 이선자, "조직특성.직무특성이 노인요양 보호사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 제19권, pp.157-184, 2008.
  16. 이은영,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7. 이연희, 방문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8. 이영화, 임왕규,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소재 재가노인방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한국컨텐츠학회, 제11 권, 제9호, pp.414-425, 2011.
  19. 이윤형, 이선자, "조직특성․직무특성이 노인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제19 권, pp.157-184, 2008.
  20. 이주재, "노인장기요양 인력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31권, 제2호, pp.277-290, 2011.
  21. 이혜자, 권순호,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 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통권51호, pp.125-144, 2011.
  22. 임정도,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 1호, pp.225-235,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25
  23. 장윤정, 黒田研二, "特別養{護老人ホームにおける介護職員の離職率に關する研究", 厚生の指標, 제55권, 제15호, pp.16-23, 2008.
  24. 최수찬, 김상아, 이정은, 박웅섭,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근무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대한산업의학회 대한산업의학회지, 제19권, pp.259-267, 2007.
  25.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통계청, 2011.
  26. American Health Care Association, Result of the 2002 AHCA survey of nursing staff vacancy and turnover in nursing home, Washington, DC, 2003.
  27. Annet H.de Lange, "Should I stay or should I go? examining longitudial relations among job resources and work engagement for stayers and moves," Work and Stress, Vol.22, No.3, pp.201-223, 2008. https://doi.org/10.1080/02678370802390132
  28. N. G. Castle, J. Engberg, R. Anderson, and A. Men, "Job satisfaction of nurse aides in nursing home: Intent to leave and turnover," The Gerontologist, Vol.47, pp.193-204, 2007. https://doi.org/10.1093/geront/47.2.193
  29. H. Decker, Frederic, D. Harris-Kojetin. Lauren, and Anita Bercovitz, "Intrinsic job satisfaction, overall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the job among nursing assistants in nursing homes," The Gerontologist, Vol.49, No.5, pp.596-610, 2009. https://doi.org/10.1093/geront/gnp051
  30. K. Smith and R. Baughman, "Caring for america's aging population: a profile of the direct-care workforce," Monthly Labor Review, Vol.130, pp.20-26, 2007.

피인용 문헌

  1. The effects of job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on burnout among careworkers in long-term care setting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Japan and South Korea vol.44, pp.5-6, 2018, https://doi.org/10.1080/03601277.2018.1471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