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 Analysis on Subjective Symptom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n Dental Hygienists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에 관한 요인 조사

  • 김수관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
  • 오나래 (강원대학교 치위생학과) ;
  • 정미애 (강원대학교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1.12.30
  • Accepted : 2012.04.05
  • Published : 2012.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bout correlation among dental hygienists' work environment, recognition on preventive education of musculoskeletal disease, th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and the work characteristics. The aim is to suggest a management plan for reducing symptom of musculoskeletal disease.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surveyed and collected from August 1-12 of 2011 targeting 210 dental hygienists Seoul, Gyeonggi, Daegu, Pohang. Except 5 people whose responses are not clear and who suffered accident, the analysis was made on 205 peop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WIN 15.0 program. As a result, dental hygienists, the average was the highest with 3.07 in 'between shoulder and neck(right side).' Seeing the pain frequency by body region, the average was the highest with 1.47 in 'ankle/calf(left side).' Seeing the appearance of having trouble in work ability related to pain experience of musculoskeletal disease by body region, the average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with 1.84 in 'knee(right side).Therefore, the agencies have to pay more attentions and efforts to ensure safety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dental hygienist.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 근골격계 질환 예방교육에 대한 인식,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과 근무특성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질환 증상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서울, 경기, 대구, 포항의 210명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011년 8월 1일부터 12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 조사를 시행한 후 회수하여 응답이 불분명하거나 크게 사고를 당한 5명을 제외한 205명에 대해서 분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체부위별 통증빈도를 보면, 평균이 '어깨-목 사이(오른쪽)'가 3.07로 가장 높았고, 신체부위별 통증 정도를 보면, 평균이 '발목/종아리(왼쪽)'가 1.4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신체부위별 근골격계질환 통증경험 관련 작업능력 지장여부를 보면, 평균이 '무릎(오른쪽)'이 1.8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치과위생사들이 근골격계 질환에 안전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정병용,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인간공학의 역할", 대한인간공학회지, 제29권, 제4호, pp.393-404, 2010.
  2. 최순영, 병원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인간 공학적 위험도 및 직무스트레스 등의 사회심리적 요인의 영향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논문, 2008.
  3. United States Bureau of Labor Statistics (USBLS), Illness rates by type of illness -detailed industry, 2001.
  4. J. K. Park, B. Buchholz, L. Punnett, and S. Woskie, "Biomechanical exposure to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risk factors in hospital laborator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Hygiene Semi-annual meeting, Vol.19, No.4, pp.412-423, 2006.
  5. 박정근, 김대성, 김은아, 서경범, 김규상, 박신구, 정달영, "병원근로자의 어깨 근골격계질환 증상 특성 및 관리개선 방안", 한국산업위생학회 2008년 동계 학술대회 논문발표집, pp.169-170, 2008.
  6. 이천옥, 암 전문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과 인간공학적 작업평가,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7. 구정완, 정은희,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의 근골격계 부담작업 분석", 대한인간공학회추계학회지, 제25권, 제3호, pp.97-103, 2005.
  8. 김철홍, 임상혁, 문명국, 손경일, 장안석, "국내 모대형병원사업장의 MSD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추계학회지, 2005.
  9. 서순림, 기도형,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골격계질환 실태조사", 대한인간공학회지, 제24호, 제2권, pp.17-24, 2005.
  10. 김민아, 치과위생사의 작업관련 근골격계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천의과학대학교 석사논문, 2009.
  11. Sbriccoli, Paola, Yousuf, Kupershtein, Ilya solomonow, and M. P. Zhou, "Static Load Repetition Is a Risk Factor in the Dvelopment of Lumbar Cumulative Musculoskeletal Disorder Spine,"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29, pp.2463-2653, 2004.
  12. 유지형, "호텔종사자들의 근골격계 증상완화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산업간호학회지, 제 17권, 제2호, pp.138-145, 2008.
  13. 미국코넬대학교(http://ergo.human.cornell.edu/ahmsquest.html)근골격계 질환 증상 조사표
  14. 인천대학교노동과학연구소, "근골격계질환전문화교육자료", 인천대학교노동과학연구소, p.7, 2004.
  15.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dministratio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2005.
  16. J. L. Bell, J. W. Collins, L. Wolf, R. Gronqvist, S. Chiou, W. R. Chang, G. S. Sorock, T. K. Courtney, D. A. Lombardi, and B. Evanoff, "Evaluation of a comprehensive slip, trip and fall prevention programme for hospital employees. Ergonomics," Vol.51, pp.1906-1925, 2008. https://doi.org/10.1080/00140130802248092
  17. K. H. Cho,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musuloskeletal diseases in hospital workers,"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2002.
  18. 양철용 근골격계직업병의효과적관리방안에 관한연구, 한양대학교산업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05.
  19. 정현자 "치과위생사의임상시술자세에따른근골 격계증상경험", 한국위생과학회지, 제12권, 제2호, pp.87-94, 2006.
  20. 심형순, "광주전남지역 치과위생사의 수근관증후군에 대한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제4권, 제2호, pp.225-237, 2004.
  21. J. K. Park, Exposure assessment and musculoskeletal disorder risk factors in hospital laboratories, Doctor of Science thesis, Dept. of Work Environmen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owell, USA, 2006.
  22. H. Miranda, J. E. Gold, R. Gore, and L. Punnett, "Recall of priormusculoskeletal pain,S In: the proceedings of PREMUS2007," , 6th International Scientific Conference on Prevention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Boston, USA, p.32, 2007.
  23. 성미경, 김혜영, 강현경, "치과위생사의 진료자세가 신장과 체중에 따라 신체부위 통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2, 2010.
  24. 이병호, 김정술 "치과위생사의 소진과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1, 2010.
  25. 박경연, 한동욱, 물리치료사의 병원감염관리 인지도; 수행도 및 수행 관련 요인, Journal of Fr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3 No.4, p.1893, 2011(8).
  26. 정혜선,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대상자 특성에 따른 차이, Journal of Fr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1, p.231, 2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