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예술통합 활동의 분석

An Analysis of Science-Arts Integration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of Korea

  • 투고 : 2012.03.22
  • 심사 : 2012.06.18
  • 발행 : 2012.08.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예술통합 활동의 현황을 파악하고, 예술적 요소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예술통합 활동을 선정하고, 이를 예술 활동의 형태, 기능, 역할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Baron과 Eisner(1997)의 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예술적 요소 분석틀을 개발하여 과학-예술통합 활동에 포함된 예술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예술통합 활동에 사용된 예술 형태로는 미술이 가장 많았고, 두 가지 형태를 가진 혼합형, 언어 등이 많이 나타났다. 예술 활동의 기능 측면에서는 학생들에게 직접적으로 예술 활동을 요구하는 직접적 기능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예술 활동의 역할에 관련해서는 응용 및 적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동기 유발과 개념 이해가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예술적 요소 분석 결과에서는 공감의 증진 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 형태 위주의 과학-예술통합 활동뿐 아니라 음악, 무용 등 다양한 예술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예술 활동의 역할측면에서도 동기 유발, 개념 이해도 강조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예술적 요소를 고려한 과학-예술통합 활동의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science-arts integration activities in science textbook and explore the artistic elements of science-art integrated activitie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science-arts integration activitie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Korea by revised curriculum in 2007. We analyzed them by the type,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arts. The analysis of artistic element was based on 'design element' suggested by Baron & Eisner. Results revealed that the science-arts integration activities were using a visual art form than any other and the role of arts was mainly to apply science concepts. Through the artistic element analysis, we found that most activities were emphasized on 'empathic understanding' category than other categories. Based on the results, science-arts integration activities with more diverse form of art should be developed. Also the artistic el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future science-arts integration activ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지연, 이재호, 진석언 (2011). 수 과학 영재학생을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5(3), 469-481.
  2. 교육과학기술부 (2010a). 예술교육활성화 방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2010b).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금성출판사.
  4.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부 (2002).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실험 관찰, 교사용 지도서.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6. 권영식 (2012). 과학영재의 창의적 두뇌 활성화를 위한 과학과 미술 통합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청원.
  7. 김성원, 정영란, 우애자, 이현주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 32(2), 389-402.
  8. 김영식 (2007). 과학, 인문학, 그리고 대학: 과학과 인문학을 아우르는 학문 이야기. 생각의 나무
  9. 김정희 (2004). 미술영재교육을 위한 예술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18(2), 65-86.
  10. 김정희 (2008). 초중등학교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개발 연구: 교과-예술통합형 문화예술교육 교안 개발 매뉴얼. 인천: 인천문화재단.
  11. 문화예술진흥법. 법률 제8092호 2조 1항. http://www.mcst.go.kr/web/dataCourt/ordinance/statuteList.jsp (검색일 2012년 3월 16일).
  12.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 11(4), 149-171.
  13. 송인섭, 문은식, 하주현, 한수연, 성은현 (2010). 과학영재를 위한 인문사회와 예술의 융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영재교육학회, 9(3), 117-138.
  14. 신영준, 한선관 (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과학교육, 30(4), 514-523.
  15. 이대영 (2010). 21세기 교육환경변화와 예술교육의 필요성. The Science Times, 2010. 06.10.
  16. 이문남, 맹희주 (2001). 과학 학습에서 과학교과서가 차지하는 비중과 과학 학습 경험 조직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연구, 5, 251-274.
  17. 이미경 (2011a). (총론) 창의성 계발을 위한 통합형 프로그램 개발(CR2011-0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8. 이미경 (2011b). 미국의 예술통합교육과 한국교육에의 시사점. 한국교육, 38(3), 33-52.
  19. 이영만 (2001). 통합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20. 이효녕, 손동일, 권혁수, 박경숙, 한인기, 정현일, 이성수, 오희진, 남정철, 오영재, 방성혜, 서보현 (2012).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2(1), 30-45.
  21. 조동섭 (2009). 교과교실제 시행과 미래형 교육과정. 교육개발, 36(2), 24-27.
  22. 최선영, 강호감(2002). 제 6차와 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기능과 교수-학습 방법의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06-716.
  23. 태진미(2010). 영재를 위한 문화예술통합 교육의 필요성과 적용 방안.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6, 241-273.
  24. 태진미(2011). 창의적 융합인재양성, 왜 예술교육에 주목하는가. 영재교육연구, 21(4), 1011-1032.
  25. 한수연(2006). 교육본위 예술영재교육의 의미와 방향. 교육원리연구, 11(1). 63-99.
  26. 한윤이(2006). 음악과 교육과정 중심의 교과 간통합 지도 방안. 초등교과교육연구, 7, 71-90.
  27. 한지혜(2007). 유치원의 문화예술교육 및 교사연수에 대한 실태 및 요구도.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363-386.
  28.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9. Barone, T., & Eisner, E. (1997). Arts-based educational research. In M. Jaeger (Ed.), Complementary methods for research in education (2nd ed., pp. 73-116). Washington, D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30. Chaille, C., & Britain, L. (1997). The young child as scientist: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New York: Harper Collins.
  31. EACEA(Education, Audiovisual and Culture Executive Agency) (2009).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t school in Europe.
  32. MENC (1994). National standards for arts education: What every young American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in the arts. Reston, VA: MENC.
  33.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1).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Available from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at http://www.nap.edu/catalog.php?record_id=13165. accessed May. 15, 2012.
  34. Parsons, M. (2004). Art and integrated curriculum. In E. W. Eisner & M. D. Day(Eds.), Handbook of research and policy in art education. (pp.775-794). Mahwah, NJ: Lawrence Erlbaum.
  35. PCAH. (2011). Reinvesting in arts education: Winning America's future through creative schools. President's Committee on the Arts and the Humanities. Washington, DC: PCAH.
  36. Russell, J., & Zembylas, M. (2007). Arts integration in the curriculum: a review of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L. Bresler(Ed.),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in Arts Education. (pp.287-302) Springer.
  37. Snow, C. P. (1990). The two cultures. Leonardo, 23(2), 169-173. https://doi.org/10.2307/1578601
  38. Weiss, I. R. (1977). Report of the 1977 national survey of science,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39. Yakman, G. (2011). Introducing teaching STEAM as a practical educational framework for Korea. STEAM 교육 국제 세미나 및 STEAM 교사연구회 오리엔테이션 자료집. (pp. 40-76).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피인용 문헌

  1. Characteristics of Science Imaginary Pictures Draw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f Science Imaginary Drawing vol.33, pp.1,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1.057
  2. The Influences of Pair Activity on Characteristics of Science Imaginary Pictures Draw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f Science Imaginary Drawing vol.34, pp.2,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75
  3. An Comparison Analysis of Science Writing Tasks in the Chemistry Domain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s (RNC) vol.58, pp.6, 2014, https://doi.org/10.5012/jkcs.2014.58.6.600
  4. 과학-예술통합 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vol.33, pp.5,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1007
  5. 교사들의 아이디어 융합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역지대의 진화과정 탐색: 자율적 학습공동체'STEAM 교사 연구회' 사례연구 vol.33, pp.5,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1055
  6. 동요를 동기화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관련태도 및 과학과정기술이해에 미치는 영향 vol.10, pp.6,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6.243
  7. Effects of the Science-Arts Convergence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Focusing on Kinetic Art vol.54, pp.1, 2015, https://doi.org/10.15812/ter.54.1.201503.17
  8. Exploratory content analysis: Whiteness in Korea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vol.13, pp.2, 2012, https://doi.org/10.1080/2005615x.2021.1919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