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지연, 이재호, 진석언 (2011). 수 과학 영재학생을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5(3), 469-481.
- 교육과학기술부 (2010a). 예술교육활성화 방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 (2010b).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금성출판사.
-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부 (2002).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실험 관찰, 교사용 지도서.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 권영식 (2012). 과학영재의 창의적 두뇌 활성화를 위한 과학과 미술 통합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청원.
- 김성원, 정영란, 우애자, 이현주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 32(2), 389-402.
- 김영식 (2007). 과학, 인문학, 그리고 대학: 과학과 인문학을 아우르는 학문 이야기. 생각의 나무
- 김정희 (2004). 미술영재교육을 위한 예술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18(2), 65-86.
- 김정희 (2008). 초중등학교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개발 연구: 교과-예술통합형 문화예술교육 교안 개발 매뉴얼. 인천: 인천문화재단.
- 문화예술진흥법. 법률 제8092호 2조 1항. http://www.mcst.go.kr/web/dataCourt/ordinance/statuteList.jsp (검색일 2012년 3월 16일).
-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 11(4), 149-171.
- 송인섭, 문은식, 하주현, 한수연, 성은현 (2010). 과학영재를 위한 인문사회와 예술의 융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영재교육학회, 9(3), 117-138.
- 신영준, 한선관 (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과학교육, 30(4), 514-523.
- 이대영 (2010). 21세기 교육환경변화와 예술교육의 필요성. The Science Times, 2010. 06.10.
- 이문남, 맹희주 (2001). 과학 학습에서 과학교과서가 차지하는 비중과 과학 학습 경험 조직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연구, 5, 251-274.
- 이미경 (2011a). (총론) 창의성 계발을 위한 통합형 프로그램 개발(CR2011-0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이미경 (2011b). 미국의 예술통합교육과 한국교육에의 시사점. 한국교육, 38(3), 33-52.
- 이영만 (2001). 통합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 이효녕, 손동일, 권혁수, 박경숙, 한인기, 정현일, 이성수, 오희진, 남정철, 오영재, 방성혜, 서보현 (2012).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2(1), 30-45.
- 조동섭 (2009). 교과교실제 시행과 미래형 교육과정. 교육개발, 36(2), 24-27.
- 최선영, 강호감(2002). 제 6차와 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기능과 교수-학습 방법의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06-716.
- 태진미(2010). 영재를 위한 문화예술통합 교육의 필요성과 적용 방안.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6, 241-273.
- 태진미(2011). 창의적 융합인재양성, 왜 예술교육에 주목하는가. 영재교육연구, 21(4), 1011-1032.
- 한수연(2006). 교육본위 예술영재교육의 의미와 방향. 교육원리연구, 11(1). 63-99.
- 한윤이(2006). 음악과 교육과정 중심의 교과 간통합 지도 방안. 초등교과교육연구, 7, 71-90.
- 한지혜(2007). 유치원의 문화예술교육 및 교사연수에 대한 실태 및 요구도.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363-386.
-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Barone, T., & Eisner, E. (1997). Arts-based educational research. In M. Jaeger (Ed.), Complementary methods for research in education (2nd ed., pp. 73-116). Washington, D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 Chaille, C., & Britain, L. (1997). The young child as scientist: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New York: Harper Collins.
- EACEA(Education, Audiovisual and Culture Executive Agency) (2009).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t school in Europe.
- MENC (1994). National standards for arts education: What every young American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in the arts. Reston, VA: MENC.
-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1).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Available from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at http://www.nap.edu/catalog.php?record_id=13165. accessed May. 15, 2012.
- Parsons, M. (2004). Art and integrated curriculum. In E. W. Eisner & M. D. Day(Eds.), Handbook of research and policy in art education. (pp.775-794). Mahwah, NJ: Lawrence Erlbaum.
- PCAH. (2011). Reinvesting in arts education: Winning America's future through creative schools. President's Committee on the Arts and the Humanities. Washington, DC: PCAH.
- Russell, J., & Zembylas, M. (2007). Arts integration in the curriculum: a review of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L. Bresler(Ed.),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in Arts Education. (pp.287-302) Springer.
- Snow, C. P. (1990). The two cultures. Leonardo, 23(2), 169-173. https://doi.org/10.2307/1578601
- Weiss, I. R. (1977). Report of the 1977 national survey of science,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 Yakman, G. (2011). Introducing teaching STEAM as a practical educational framework for Korea. STEAM 교육 국제 세미나 및 STEAM 교사연구회 오리엔테이션 자료집. (pp. 40-76).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피인용 문헌
- Characteristics of Science Imaginary Pictures Draw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f Science Imaginary Drawing vol.33, pp.1,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1.057
- The Influences of Pair Activity on Characteristics of Science Imaginary Pictures Draw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f Science Imaginary Drawing vol.34, pp.2,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75
- An Comparison Analysis of Science Writing Tasks in the Chemistry Domain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s (RNC) vol.58, pp.6, 2014, https://doi.org/10.5012/jkcs.2014.58.6.600
- 과학-예술통합 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vol.33, pp.5,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1007
- 교사들의 아이디어 융합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역지대의 진화과정 탐색: 자율적 학습공동체'STEAM 교사 연구회' 사례연구 vol.33, pp.5,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1055
- 동요를 동기화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관련태도 및 과학과정기술이해에 미치는 영향 vol.10, pp.6,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6.243
- Effects of the Science-Arts Convergence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Focusing on Kinetic Art vol.54, pp.1, 2015, https://doi.org/10.15812/ter.54.1.201503.17
- Exploratory content analysis: Whiteness in Korea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vol.13, pp.2, 2012, https://doi.org/10.1080/2005615x.2021.1919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