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obotic String Musical Instrument as an Interactive Game Prototype

체감형 게임 원형으로서의 로봇 현악기 설치미술

  • 김태희 (영산대학교 게임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1.11.24
  • Accepted : 2012.02.06
  • Published : 2012.02.20

Abstract

Interactive games allow users to obtain embodied experience using the bodies as controllers. The same is true in interactive media arts where users engage in active participation. In contrast to video games, physical body feedback is desired and such practice can be found in robotic arts. I suggest that interactive media arts and interactive games should share common foundations. In this context, I introduce and explain an interactive robotic art work implemented. This work is a musical instrument that employs a robot which travels sitting on two strings in response to audience positions. In results, the robot modulates the vibrations of the strings by causing the effective lengths of the strings changed. The robot uses an economic multi-cell proximity sensor in order to track the audience. In the interaction, phenomenological tension could take place in the performative narrative space. In this paper, I discuss this interactive robotic work in the context of interactive games with a few examples.

체감형 게임에서는 사용자의 몸 자체가 인터페이스로써 컨트롤러의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는 자신의 행동의 결과를 체화된(embodied) 경험으로써 피드백 받는다. 이는 관객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상호작용 미디어 아트 설치미술의 경우와 같다. 컴퓨터 게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디오 게임과는 차별적으로 실물의 움직임으로 피드백 되는 게임이 고려될 수 있으며 그 기초는 로보틱 아트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은 게임과 상호작용 미디어 아트의 접점을 체감형 게임으로 전제하여 하나의 상호작용 로봇 설치물 사례를 제시하고 실험하며 분석한다. 본 설치물은 관객의 위치나 움직임에 의하여 운동하고, 로봇의 운동에 따라 현의 유효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소리에 변화를 주는 하나의 학기이다. 로봇은 다중 셀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관객을 추적하고 관객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악기와 상호작용하므로 악기와 관객 간에는 관계적 긴장이 자리할 공연적 내러티브 공간이 형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상호작용 로봇 설치미술이 상호작용에 기초한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지닌 체감형 게임의 원형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몇 가지 사례를 들어 토론한다.

Keywords

References

  1. The Museum of Modern Art, http://www.moma.org/collection/browse_resultsphp?object_id=81631
  2. 박형규, "현대미술과 테크놀로지와의 관계에 대한 이해 - 키네틱아트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석사논문, 2004.
  3. Eduardo Kac, Foundation and Development of Robotic Art, Art Journal, Vol.56, No.3, pp. 60-67, 1997. https://doi.org/10.2307/777838
  4. 이준, "로봇과 예술인터페이스: 백남준의 Robot K456을 중심으로", 공학교육 18권 2호, pp14-17, 2011.
  5. The Senster, http://www.senster.com/ihnatowicz/senster/index.htm
  6. Rodney Brooks, "Intelligence Without Reason", MIT AI Memo No. 1293, MIT, 1991.
  7. S. Penny, "Embodied Cultural Agents at the Intersection of Robotics, Cognitive Science and Interactive Art", AAAI Technical Report FS-97-02, AAAI, 1997.
  8. G. Levin, http://www.flong.com/projects/snout/
  9. 이유선, 김동언, "로봇 배우를 활용한 공연예술 활성화 방안 연구: '에버'를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제22집, 2011.2.
  10. Albert V. Glinsky, The Theremin in the Emergence of Electronic Music, Ph.D. Thesis, New York Univ., 1992.
  11. www.youtube.com/watch?v=w5qf9O6c20o
  12. Alford, A, et al., "A Music Playing Robot". in Proc. of the Conf. on Field and Service Robots, pp. 29-31, 1999.
  13. T. Otsuk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wo-Level Synchronization for an Interactive Music Robot", in Proc. of the 24th AAAI Conf. on Artificial Intelligence, pp. 1238-1244, 2010.
  14. Kathy Cleland, "Intimate Encounters: the Mixed Reality Paradigm and Audience Responses", Proc. of the Digital Arts and CUlture Conf., Dec. 2009.
  15. 김은정, "체감형 게임에서 '체화된 경험'의 의미에 대한 고찰",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권, 제23호, 2010.12.
  16. 김재영, 성정환, "게임-확장공간에서의 '게임적 신인류'의 형성: 체감형 게임을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10권 제5호, 2010.10.
  17. 우탁 외, "새로운 게임 패러다임: 디지털 피지컬 필드 게임",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2010.2.
  18. C. Paul, Digital Art, 2nd ed., Thames & Hudson, 2008.
  19. Arduino, http://arduino.cc
  20. GP2Y3A003K0F, Data Sheet, http://sharp-world.com/products/device/lineup/data/pdf/datasheet/gp2y3a003k_e.pdf
  21. 이장원, 윤준성, "체감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닌텐도 위(Wii)의 한계에 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2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