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s of Perception toward End-of-Life Medical Decision-making of Clinical Nurses: Q-Methodological Approach

말기환자의 의료적 의사결정에 관한 임상간호사의 인식: Q 방법론적 접근

  • Jo, Kae-Hwa (Department of Nursing, College of Nursing,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 Kim, Yeon-Ja (Nursing Science, Taegu Science University) ;
  • Sohn, Ki-Cheu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chool of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조계화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 김연자 (대구과학대학교 간호과) ;
  • 손기철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Received : 2011.09.23
  • Accepted : 2012.02.01
  • Published : 2012.03.01

Abstract

Purpose: We analyzed how clinical nurses in Korea perceive terminally ill patients' medical decision-making. Methods: The Q-methodology which analyzes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was used. We selected 34 Q-statements among those provided by each of 37 subjects and grouped them into a shape of normal distribution using a 9 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QUANL PC program. Results: Four types of perception toward medical decision-making were identified. Type I focuses on patient participation, and Type II emphasizes the role of health professionals. Type III is characterized by an open-minded culture toward death, and Type IV values the role of family membe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need for development of a multi-disciplinary curriculum medical decision-making and death for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목적: 본 연구는 말기환자의 의료적 의사결정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인식 구조와 유형을 분류하고 파악하여 향후 실무현장에서 말기 의료적 의사결정 수행능력 향상과 공유된 의료적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Q 방법론을 적용한 조사연구이다. 방법: 관련 문헌고찰과 개방형 질문지 그리고 개별 면담을 통해 Q 모집단을 추출하여 167개의 Q 진술문을 표집하여 내용의 중복과 표현의 명확성 등을 고려하여 수정한 후 Q 모집단을 의미와 주제별로 6개의 범주로 분류한 다음 각 범주에서 대표적이거나 상이한 의미의 Q 진술문 34항목을 선정하였다. P 표본은 대학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2년 이상의 임상간호사 37명을 편의표집방법으로 선정하였으며 34개의 진술문은 Q 카드에 인쇄하여 연구대상자들로 하여금 강제 정상분포가 되도록 각자 의견의 중요도에 따라 9점 척도 상에 Q 분류하도록 하였고, 양극단에 분류한 진술문과 관련하여 대상자와 면담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QUANL Program으로 요인분석 하였다. 결과: 분류된 말기환자의 의료적 의사결정에 대한 대상자의 유형은 모두 4가지로 나타났으며 이들 유형에 의해 설명된 전체 변량은 52.7%였다. 제1유형은 '환자 참여형'으로 의료적 의사결정에 대한 환자의 자율성 보장과 이와 관련된 규율이나 법적 장치의 정비와 가이드 라인 마련에 중점을 두었다. 제2유형은 '의료인 역할중시형'으로 환자의 자율성 존중이 실현되기 위한 의료인간의 공유된 의사결정에 중점을 두었다. 제3유형은 '개방적 죽음문화형'으로 평소 죽음에 대해 환자, 가족, 의료인과의 개방적이고 솔직한 대화의 분위기 조성을 효율적인 말기 의료적 의사결정의 실천적 행위로 인식하였다. 제4유형은 '가족의사결정 참여형'으로 말기 의료적 의사결정에 가족의 현존과 역할이 갖는 의미에 강조점을 두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임상에서 말기환자의 의료적 의사결정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수행할 때에는 각 유형에서 나타난 임상간호사의 인식을 반영한 통합적이고 다 학제적인 교육내용이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말기환자의 의료적 의사결정과 연관된 다양한 관점들을 문화적 측면에서 조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성숙하고 통합적인 말기 의료적 의사결정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첫째, 말기환자의 의료적 의사결정과 관련된 의학과 간호학 분야의 통합적이고 다 학문적인 공통교육과정 개발을 제언한다. 둘째, 본연구를 토대로 한국인의 말기 의료적 의사결정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 개발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Lee SM, Kim SY, Lee HS. The process of medical decisionmaking for cancer patients. Korean J Med Ethics 2009;12:1-14.
  2. Jo KH, Kim GM.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s for care near the end of life among nurses and physicians. Korean J Med Ethics 2010;13:305-20.
  3. Scherer Y, Jezewski MA, Graves B, Wu YW, Bu X. Advance directives and end-of-life decision making: survey of critical care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Crit Care Nurse 2006;26:30-40.
  4. McLennan S, Celi LA, Gillett G, Penney J, Foss M. Nurses share their views on end-of-life issues. Nurs N Z 2010;16:12-4.
  5. Meraviglia MG, McGuire C, Chesley DA. Nurses' needs for education on cancer and end-of-life care. J Contin Educ Nurs 2003; 34:122-7.
  6. Chochinov HM. Dying, dignity, and new horizons in palliative end-of-life care. CA Cancer J Clin 2006;56:84-103; quiz 104-5. https://doi.org/10.3322/canjclin.56.2.84
  7. Koh CK. Nursing philosophy: Foucault and cultural diversity issues in the nursing field. Taehan Kanho Hakhoe Chi 2007; 37:208-12.
  8. An MS, Min HS. Comparison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informed consent among physicians, nurses and patients. J Korean Clin Nurs Res 2008;14:59-70.
  9. Jo KH. Nurse's conflict experience toward end-of-life medical decision- making. J Korean Acad Adult Nurs 2010;22:488-98.
  10. Inghelbrecht E, Bilsen J, Mortier F, Deliens L. Factors related to the involvement of nurses in medical end-of-life decisions in Belgium: a death certificate study. Int J Nurs Stud 2008;45:1022-31.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7.06.005
  11. Kim HK. Understanding of Q methodology for subjectivity research. The Seoul J of Nursing 1992;6:1-11.
  12. Stephenson W. Q-Methodology, interbehavioral psychology, and quantum theory. Psychological Record 1982;32:235-48.
  13. Weissman DE. Decision making at a time of crisis near the end of life. JAMA 2004;292:1738-43. https://doi.org/10.1001/jama.292.14.1738
  14. Lee JA. The study on medical personnel's perceptions of the advanced directive about the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 2009. Korean.
  15. Jo KH, An GJ, Kim GM. Future changes and direc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medical decision-making system in Korea: focused on delphi surveys. Korean J Med Ethics 2011;14:131-44.
  16. Wood LC, DelPapa LA. Nurses' attitudes, ethical reasons, and knowledge of the law concerning advance directives. J Nurs Scholarsh 1996;28:371. https://doi.org/10.1111/j.1547-5069.1996.tb00392.x
  17. Friedrichsen MJ, Strang PM, Carlsson ME. Cancer patients' perceptions of their participation and own resources afte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discontinuation of active tumour treatment. Acta Oncol 2000;39:919-25. https://doi.org/10.1080/02841860050215882
  18. Jo KH, Kim MJ. The perception of suffering by hospice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1;8:35-50.
  19. Kim MJ, Jo KH. Suffering and spiritual approach.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1;7:121-30.
  20. Hilden HM, Louhiala P, Honkasalo ML, Palo J. Finnish nurses' views on end-of-life discussion and a comparison with physician's views. Nurs Ethics 2004;11:165-78. https://doi.org/10.1191/0969733004ne681oa
  21. Frank RK. Shared decision making and its role in end of life care. Br J Nurs 2009;18:612-8. https://doi.org/10.12968/bjon.2009.18.10.42466
  22. Lee SY. A correlational study on patients' stress and family function of childhood cancer illnes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 2002. Korean.
  23. Shin GY, Kim MJ. Factors influencing stress appraisal of cancer patients' primary caregivers. J Korean Acad Adult Nurs 2002; 14:125-34.
  24. Han SS, Han MH, Yong JS. A survey on the medical doctor's concept on DNR(Do-Not-Resuscitate) order. Korean J Med Ethics 2003;6:15-33.
  25. Winter L, Parks SM. Family discord and proxy decision makers' end-of-life treatment decisions. J Palliat Med 2008;11:1109-14. https://doi.org/10.1089/jpm.2008.0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