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형 영역과 수와 연산 영역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정당화 유형에 대한 반응과 오류 유형을 검사하여 학생들의 정당화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와 연산 영역에서 학생들은 정당화 유형 검사지를 해결함에 있어서 경험적 정당화 유형과 분석적 정당화 유형을 고루 사용했다. 둘째, 도형 영역에서는 분석적 정당화에 비해 경험적 정당화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경험적 정당화와 분석적 정당화의 비율이 고루 나타난 수와 연산 영역과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정당화 과정에서 발생한 학생들의 오류를 분석해 본 결과 풀이과정 생략의 오류, 개념 및 원리의 오류, 문항 이해의 오류, 기술적 오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히 도형 영역에서는 학생들에게 경험적 정당화는 물론이고 분석적 정당화에 대한 경험을 많이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의 오개념 및 잘못 이해하고 있는 원리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재지도할 필요가 있겠다.
The comprehensive implication in justification activity that includes the proof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where the logical and formative verification is hard to come has to be instructed. Therefore, this study has set the following issues. First, what is the mathematical justification type shown in the Number and Operations, and Geometry? Second, what are the errors shown by students in the justification process?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issues, the test was implemented on 62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 City and analyzed the mathematical justification type. The research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solving the justification type test for the number and operations, students evenly used the empirical justification type and the analytical justification type. Second, in the geometry, the ratio of the empirical justification was shown to be higher than the analytical justification, and it had a difference from the number and operations that evenly disclosed the ratio of the empirical justification and the analytical justification. And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rrors of students occurring during the justification process, it was shown to show in the order of the error of omitting the problem solving process, error of concept and principle, error in understanding the questions, and technical error. Therefore, it is prudent to provide substantial justification experiences to students. And, since it is difficult to correct the erroneous concept and mistaken principle once it is accepted as familiar content that it is required to find out the principle accepted in error or mistake and re-instruct to correct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