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50-year-old female and 50-year-old male were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ith asymptomatic lesions on their posterior mandibular body areas. They were discovered incidentally on panoramic radiographs during routine dental examination.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no remarkable findings. Each panoramic radiograph showed well defined radiolucent lesions without hyperostotic border on their posterior mandibular body area. At first they were diagnosed as benign tumors because they looked like multilocular pattern and one of the patient showed discontinuity of mandibular canal within the lesion. CT scans demonstrated well demarcated and irregular lingual depression filled with fat tissue and they were diagnosed as developmental salivary gland defects. One of the lesion showed no change on follow-up panoramic radiograph after 4 months. Developmental salivary gland defects resembling benign tumor are atypical cases and it is suggested that confirmatory imaging using CT or MRI should be taken.
50세 여자 환자와 남자 환자가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 우연히 발견된 무증상의 하악 구치부의 방사선투과성 병소로 인해 의뢰되었다. 임상검사에서 특이할 만한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 각각 우측과 좌측 하악 구치부에서 경계가 비교적 명확하며, 과골성 변연을 수반하지 않는 원형의 방사선투과성 병소가 관찰되었다. 병소 내부는 다방성의 양상이었으며, 또한 병소 부위를 주행하는 하악관의 불연속성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에 양성 종양을 배제하기 위해서 조영증강 전산화단층사진을 촬영하였다. 전산화단층사진의 축상면에서 불규칙한 경계를 가지는 명확한 설측 함요부가 관찰되었으며, 내부는 지방 및 일부 악하선 조직으로 채워져 있었으나 다른 질환을 의심할 만한 연조직 종괴는 관찰되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비전형적 형태의 발육성 타액선 골결손으로 진단하였으며, 이 중 한 증례에서, 4개월 후의 재검사시 촬영한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 뚜렷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증례들과 같은 비전형적 발육성 타액선 골결손을 다른 질환과 감별하기 위해서는 단면 및 내부 구조물에 대한 보다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일반방사선사진뿐만 아니라 전산화단층영상 또는 자기공명영상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