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air purification effectiveness considering the improvement of its methods related atmospheric environment. The air purification effectiveness is estimated in Daegu, one out of Korean Metropolitan cities because air pollution is getting serious in a heavily urbanized area. The absorption of pollutants is calculated by considering spatial heterogeneity that was not considered previous studies and the spatial resolution of air dispersion modeling is also improved by kriging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and distribution of urban forest, total 26 kinds of plant communities were distributed with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acutissima community and other kinds of communities in the study area. In the results of estimating the $CO_2$ absorption amount for identification of the air purification effectiveness on urban forest, the annual absorption amount was total 108,155t/yr. Also, the annual absorption amounts of $NO_2$ and $SO_2$ were total 183.5 ton and 410.2 ton respectively.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confirm the differences of pollutant absorption by concentration that could not identify if spatial distribution of pollutant concentration had not been considered.
본 연구는 도시의 대기환경과 관련하여 도시림의 정화 기능을 평가해보고 개선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대기오염은 도시화가 특히 심화되어 있는 지역일수록 심각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대도시 중 하나인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도시림의 대기정화기능을 추정하였다. 오염물질의 흡수량을 산정함에 있어 기존에는 고려되지 못했던 오염농도의 공간적 차이를 적용하였으며, 크리깅을 통해 대기확산모델링 자료의 해상도를 향상시켰다. 도시림의 유형 및 분포를 파악해 본 결과, 대상지역 도시림 내의 식생군락은 총 26개 유형이었으며, 소나무군락, 소나무-신갈군락, 소나무-상수리군락 등 다양한 수종이 분포하고 있었다. 도시림의 대기정화기능을 알아보고자 $CO_2$의 흡수량을 파악해 본 결과, 연간 흡수량은 총 108,155t/yr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림의 대기오염물질 흡수량의 경우 $SO_2$ 흡수량은 총 183.5t/yr이었으며, $NO_2$ 흡수량은 총 410.2t/yr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오염농도에 대한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지 않아 확인이 불가능했던 농도에 따른 흡수량의 차이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