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equity of the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in the city of Daegu. The 2005 census data as well as bus stop and subway station datasets were integrated for building the GIS databas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areas were then identified by a coverage method. Mann Whitney U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ly comparing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ver different levels of access to th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Both Dong-gu, Suseong-gu, Dalseo-gu, and Buk-gu located outside of the city had worse accessibility than others while Jung-gu, Seo-gu, and Nam-gu had better accessibility than others. There appeared no environmental inequity pattern in terms of the percentages of men, women, and teenagers over the city of Daegu whereas there existed some environmental inequity pattern in terms of the percentages of people above the age of 65 and people below poverty line. This environmental inequity pattern would be caused by some factors. Firstly, the lower income class has tended to reside in the declined or blighted areas far away from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since this class can not afford to pay expensive rents and land prices around the main roads with higher accessibility. Many old people belonging to the lower income class also reside in the declined or blighted areas. Secondly, there has been no law to locate bus stops and subway stations considering reside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has been not managed systematically by the city government. This research would shed insight on build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to locate bus stops and subway stations and to select the routes of buses and subways conside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eside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대구시를 사례로 대중교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의 차이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을 분석하였다. 2005년을 기준으로 한 인구 및 주택 센서스 자료와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위치자료를 이용하여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커버리지 방법을 이용하여 대중교통서비스권을 설정하고, 맨 휘트니 U 검정을 사용하여 서비스권 내 외부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비교하고 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시 외곽에 위치한 동구, 수성구, 달서구, 북구는 다른 구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반면에 중구, 서구, 남구는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구시 전체에서 남성 및 여성비율과 미성년자비율에 대해서는 환경적 불형평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고령자비율과 기초생활수급자비율에 대해서는 환경적 불형평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환경적 불형평성의 가장 주된 원인은 저소득계층이 접근성이 좋은 대로변 주거지역의 비싼 임대료나 지가를 지불할 수 없으므로 대중교통시설에서 멀리 떨어진 노후화된 불량주거지역에 거주하고 이들 중에는 고령자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역주민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의 설치 관련 법률이나 규정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대중교통서비스 시설의 분포에 대해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사회경제적 분포특성을 고려하여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을 설치하고 버스 및 지하철의 노선을 선정하는 것과 같은 대중교통정책을 수립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