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nvironmental Equity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in Daegu City

대구시 대중교통서비스의 접근성에 대한 환경적 형평성 분석

  • Kim, Ah-Yeon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un, Byong-Woon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12.10
  • Accepted : 2012.01.18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equity of the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in the city of Daegu. The 2005 census data as well as bus stop and subway station datasets were integrated for building the GIS databas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areas were then identified by a coverage method. Mann Whitney U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ly comparing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ver different levels of access to th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Both Dong-gu, Suseong-gu, Dalseo-gu, and Buk-gu located outside of the city had worse accessibility than others while Jung-gu, Seo-gu, and Nam-gu had better accessibility than others. There appeared no environmental inequity pattern in terms of the percentages of men, women, and teenagers over the city of Daegu whereas there existed some environmental inequity pattern in terms of the percentages of people above the age of 65 and people below poverty line. This environmental inequity pattern would be caused by some factors. Firstly, the lower income class has tended to reside in the declined or blighted areas far away from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since this class can not afford to pay expensive rents and land prices around the main roads with higher accessibility. Many old people belonging to the lower income class also reside in the declined or blighted areas. Secondly, there has been no law to locate bus stops and subway stations considering reside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has been not managed systematically by the city government. This research would shed insight on build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to locate bus stops and subway stations and to select the routes of buses and subways conside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eside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대구시를 사례로 대중교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의 차이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을 분석하였다. 2005년을 기준으로 한 인구 및 주택 센서스 자료와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위치자료를 이용하여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커버리지 방법을 이용하여 대중교통서비스권을 설정하고, 맨 휘트니 U 검정을 사용하여 서비스권 내 외부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비교하고 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시 외곽에 위치한 동구, 수성구, 달서구, 북구는 다른 구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반면에 중구, 서구, 남구는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구시 전체에서 남성 및 여성비율과 미성년자비율에 대해서는 환경적 불형평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고령자비율과 기초생활수급자비율에 대해서는 환경적 불형평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환경적 불형평성의 가장 주된 원인은 저소득계층이 접근성이 좋은 대로변 주거지역의 비싼 임대료나 지가를 지불할 수 없으므로 대중교통시설에서 멀리 떨어진 노후화된 불량주거지역에 거주하고 이들 중에는 고령자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역주민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의 설치 관련 법률이나 규정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대중교통서비스 시설의 분포에 대해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사회경제적 분포특성을 고려하여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을 설치하고 버스 및 지하철의 노선을 선정하는 것과 같은 대중교통정책을 수립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6. 대중교통기본계획.
  2. 김대웅, 유영근, 최한규. 2002. 지하철 도보역세권 설정방법과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7(5):177-186.
  3. 김아연. 2011. 대중교통서비스의 접근성에 대한 환경적 형평성 분석-대구시를 사례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0쪽.
  4. 김양보. 2005. 환경정의에 관한 연구: 제주국제공항 주변 지역의 사례.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2쪽.
  5. 김재익, 강승규, 권진휘. 2008. 대중교통서비스취약계층의 공간적 분포 특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2):1-12.
  6. 노시학. 1996. 도시교통의 사회적 영향.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37-47.
  7. 노시학. 1998. 도시의 교통소외계층에 대한 지리학적 연구를 위한 제언: 노인 및 장애인과 여성 인구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47-60.
  8. 대구광역시. 2005. 2004년 수송분담률 조사.분석 자료집.
  9. 박재묵. 2006. 환경정의 개념의 한계와 대안적개념화. 환경사회학연구 ECO 10(2):75-114.
  10. 박지영. 2008. 버스이용의 접근성 차이에 따른 교통취약지 분석: 서울시 강동구 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쪽.
  11. 반영운. 2006. 미국 환경정의 운동의 동향과 그 시사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20(1):21-30.
  12. 서현진, 전병운. 2011. 대구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4):221-237.
  13. 윤대식, 고재정. 2006. 대구지하철 역세권의 공간적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22(2):251-274.
  14. 이덕환. 2009. 지하철과 버스의 서비스권역 비교연구: 부산시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8쪽.
  15. 이상용. 2007. 대구시의 대중교통 정책 방향:시내버스 부문을 중심으로. 버스교통 22:20-28.
  16. 이인희. 2008. 환경 불평등에 관한 이론적 고찰: 환경정의 연구의 연구쟁점과 연구경향. 한국공간환경학회지 29:32-67.
  17. 최병두. 1995. 환경문제의 사회공간적 불평등. 도시연구 1:29-74.
  18. Ahmed, Q.I., H. Lu and S. Ye. 2008. Urban transportation and equity: a case study of Beijing and Karachi.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42:125-139.
  19. Chakraborty, J., L.A. Schweitzer and D.J. Forkenbrock. 1999. Using GIS to assess the environmental justice consequences of transportation system changes. Transactions in GIS 3(3):239-258. https://doi.org/10.1111/1467-9671.00020
  20. Litman, T. 2007. Evaluating transportation equity: guidance for incorporating distributional impacts in transportation planning. Victoria Transport Policy Institute. Victoria, Canada. 49pp.
  21. Mitchell, G. 2005. Forecasting environmental equity: air quality responses to road user charging in Leeds, UK.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77:212-226. https://doi.org/10.1016/j.jenvman.2005.04.013
  22. Sanchez, T.W. 1999. The connection between public transit and employment: the case of Portland and Atlanta.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5:284-296. https://doi.org/10.1080/01944369908976058
  23. Sen, S. and L.M. Azonobi. 2004. Environmental justice in transportation planning and policy: some evidence from practice in the Baltimore-Washington DC metropolitan region. National Transportation Center, Morgan State University, Baltimore, Maryland, USA. 46pp.

Cited by

  1. Accessibility to Public Service Facilities in Rural Area by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vol.22, pp.4, 2016, https://doi.org/10.7851/Ksrp.2016.22.4.001
  2. An Analysis of Variation of Spatial Accessibility Pattern Based on 2SFCA : A Case Study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Gumi City vol.17, pp.4,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4.112
  3. Assessing the spatial equity of Seoul’s public transportation using the Gini coefficient based on its accessibility vol.21, pp.1, 2017, https://doi.org/10.1080/12265934.2016.1235487
  4.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한 서울시 대중교통 서비스 형평성 분석 - 취약계층 유형별 이동성을 중심으로 - vol.33, pp.3, 2012, https://doi.org/10.22669/krsa.2017.33.3.101
  5. Introduction of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an Vulnerability analysis of Road infrastructure and Public transit services in Old industrial complexes vol.27, pp.4, 2012, https://doi.org/10.35149/jakpg.2017.27.4.002
  6. Analysis of Jeju Public Transit System Reorganization Effect Based on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it Networks : Considering the Temporal Variability of Public Transit Travel Time vol.54, pp.6, 2012, https://doi.org/10.17208/jkpa.2019.11.54.6.68
  7.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접근성 평가 방법 vol.21, pp.1, 2020, https://doi.org/10.6106/kjcem.2020.21.1.021
  8. An Application of Reinforced Learning-Based Dynamic Pricing for Improvement of Ridesharing Platform Service in Seoul vol.9, pp.11, 2012, https://doi.org/10.3390/electronics9111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