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fficient Self-Calibration of a Non-Metric Camera for Close-range Photogrammetry

근접 사진측량을 위한 효율적인 비측정카메라 캘리브레이션

  • 이창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디자인공학과) ;
  • 오재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융합기술연구부문)
  • Received : 2012.09.20
  • Accepted : 2012.12.16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It is well-known that non-metric digital cameras have to be calibrated for the close-range photogrammetry. But, the self-calibration is still not an easy task because it requires rather a large calibration site of accurate control points, multiple image acquisitions in different positions, and accurate image point measurements that are quite labor-intensive and time-consuming. Based on the premise, this study carried out check point accuracy analysis from self-calibration of different control point designs and photo combination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alibration using three photos covering three-dimensional control points produced high accuracy, but control points on a plane could attain the comparable accuracy with four photos including a 90-degree rotated photo. We then compared the target accuracy of on-site self-calibration using flat control points to that of laboratory-self calibration and observed comparable results.

비측정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거리 사진측량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하며 근거리 사진측량의 특성상 캘리브레이션은 정밀 기준점의 설치, 다수의 영상획득, 정밀 좌표측정과 더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캘리브레이션 필드를 대상으로 기준점의 개수, 배치, 사진조합에 따른 오차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모색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준점의 기복과 사진 조합의 관계가 측량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기준점 수와 모델링하고자 하는 내부표정요소 개수에 의한 측량 정확도 등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조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조합을 기반으로 한 현장 셀프캘리브레이션에 의한 측량 결과를 실험실 셀프 캘리브레이션 결과와의 측량 정확도와 비교했을 때 반 픽셀의 이내의 차이를 보여 동일한 정확성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지반변형과 같은 응용분야의 정밀 측정에 충분히 활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References

  1. 오재홍, 이창노, 어양담 (2006), 비측정용 디지털 카메라의 효율적인 자체 검정을 위한 대상지 구성, 한국측량학회지, 제24권, 제3호, pp. 281-288.
  2. Barazzetti, L., Mussio, L., Remondino, F., Scaioni, M. (2011) - Targetless camera calibration.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38 (5/W16), on CDROM, p. 8.
  3. Brown, D.C. (1971) Close-range camera calibration.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37(8): pp. 855-866.
  4. Cronk, S., Fraser, C. and Hanley, H. (2006). Automated metric calibration of colour digital cameras. Photogrammetric Record, 21(116): pp. 355-372. https://doi.org/10.1111/j.1477-9730.2006.00380.x
  5. Fraser, C.S. (1997), Digital camera self calibration,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Vol. 52, pp. 149-159. https://doi.org/10.1016/S0924-2716(97)00005-1
  6. Gruen, A., Beyer, H.A. (1992), System calibration through selfcalibration. Workshop on Calibraiton and Orientation of Cameras in Computer Vision(TU-1), ISPRS XVII Congress, Washington, DC, p. 33.
  7. Mcglone, C., Mikhail E., and Bethel, J. (2004), Manual of Photogrammetry, Fifth ed, ASPRS. pp. 870-879.
  8. Mikhail, E. M. and Bethel, J. S., McGlone, J. C. (2001), Introduction to modern photogrammetr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pp. 136-137.
  9. Sampath, A., Moe, Donald., Christopherson, J. (2012), Two methods for self calibration of digital camera,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ume XXXIX-B1, 2012 XXII ISPRS Congress, 25 August - 01 September 2012, Melbourne, Australia.

Cited by

  1. 지오이드 모델에 따른 Boresight 검정 비교 vol.34, pp.3,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6.34.3.291
  2. On-Site vs. Laboratorial Implementation of Camera Self-Calibration for UAV Photogrammetry vol.34, pp.4, 2016, https://doi.org/10.7848/ksgpc.2016.34.4.349
  3. 카메라 검정 방법과 내부표정 요소 적용에 따른 UAS 기반의 DSM 정확도 평가 vol.33, pp.5, 2012, https://doi.org/10.7780/kjrs.2017.33.5.3.3
  4. 드론 기반 사진측량기법을 활용한 고압 송전선의 처짐량 측정 vol.35, pp.6,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7.35.6.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