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Tsunami Shelter Using AHP and GIS analysis

AHP와 GIS분석을 이용한 지진해일 대피소 선정

  • 최종호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강인준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 공학부) ;
  • 김상석 (동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 Received : 2012.09.10
  • Accepted : 2012.12.16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cities keep growing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the risk of disaster gets higher as the society gets sophisticated. The center of current disaster plan has spent more efforts on post processing of disaster and it is the current status that the plan for shelter that minimizes the life and property damage has not been established effectively. Especially, the whole area of Noksan Industrial Complex at Noksan-dong, Gangseo-gu, Busan Metropolitan City was designated as danger area of tsunami, but the shelter has not been selected. Thus, this paper is willing to select the shelter using AHP analysis and GIS method that is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analysis after grasping the buildings that can be selected as the shelter.

산업화로 인해 도시는 계속 성장하고 사회가 고도화 될수록 재난에 대한 위험성은 점점 높아만 가고 있다. 현재 재난 대책의 중심은 재난의 사후처리에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고,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 시킬 대피시설에 대한 계획은 효과적으로 세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의 녹산산업단지 일대는 지진해일 위험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대피소가 선정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피소 선정 가능 건물을 파악한 후 다기준 의사 결정 분석인 AHP분석과 GIS기법을 이용하여 대피소를 선정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강인준 (2012), 측량 지형정보 개론, 대가출판사, pp. 422-437.
  2. 안성호, 하태민, 조용식 (2010), 지진해일 재해정보도 제작,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10권, 제4호, pp. 127-133.
  3. 김민경, 문혁, 김혜정, 김경숙 (2011), 재해재난 시 응급대피 공간의 거주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7권, 제6호, pp. 93-102.
  4. 김용철 (2004), 도시의 재해대피소의 적정 위치선정 : 강남구 공용시설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박종덕, 최진무 (2011), 침수취약지역 추정과 주민들의 대피 경로 분석, 한국GIS학회 논문집, 한국공간정보학회, 제 19권, 제1호, pp. 1-11.
  6. 소방방재청 (2012), 지진해일 대비 주민대피계획 수립지침
  7. 서상혁 (2011), AHP를 이용한 화장품 전문점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밭대학교, pp. 11-15.
  8. 김희순 (2008), 지진해일의 실용적인 방재대책 연구, 석사 학위논문, 한양대학교, pp. 60-76.

Cited by

  1. Proper Location of Disaster Shelters according to Evacuation Time - Focused on Coastal Areas in Hongseong Gun vol.14, pp.1,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1.319
  2. Prioritizing emergency shelter areas using hybrid multi-criteria decision approach: A case study vol.24, pp.3-4, 2017, https://doi.org/10.1002/mcda.1611
  3. 유전자 알고리즘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민방위 대피시설 위치 선정 vol.36, pp.6,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8.36.6.573
  4. Shelter planning for uncertain seismic hazards using multicriteria decision approach: A case of Nepal earthquake vol.26, pp.3, 2019, https://doi.org/10.1002/mcda.1665
  5. Supply-Demand Analysis of Urban Emergency Shelters Based on Spatiotemporal Population Estimation vol.11, pp.4, 2020, https://doi.org/10.1007/s13753-020-00284-9
  6. 셉테드(CPTED)를 이용한 도시재생방안에 관한 연구 - 부산시 안심마을 조성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 vol.24, pp.1, 2012, https://doi.org/10.11108/kagis.2021.24.1.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