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reotypes and Inequality: A 'Signaling' Theory of Identity Choice

고정관념과 불평등: 정체성 선택에 관한 신호이론

  • Received : 2012.02.04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We develop an identity choice model within the context of a stereotyping-cum-signaling framework. The model allows us to explore implications of the fact that, when individuals can choose identity, then the distribution of abilities within distinct identity groups becomes endogenous. This is significant because, when identity is exogenous and if the ability distributions within groups are the same, then inequality of group reputations in equilibrium can only arise if there is a positive feedback between group reputation and individual human capital investment activities (Arrow, 1973; Coate and Loury, 1993). Here we show that when group membership is endogenous then the logic of individuals' identity choices leads there to be a positive selection of higher ability individuals into the group with a better reputation. This happens because those for whom human-capital-investment is less costly are also those who stand to gain more from joining the favored group. As a result, ability distributions within distinct groups can endogenously diverge, reinforcing incentive-feedbacks. We develop the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examine the positive selection and the endogenous group formation. The model implies that inequality deriving from stereotyping of endogenously constructed social groups is at least as great as the inequality that can emerge between exogenously given groups.

본 논문은 고정관념(stereotypes)과 노동시장 신호(signaling)에 관한 이론적 틀에 기반하여 개인의 정체성(identity) 선택에 관한 이론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집단 간의 평판의 차이 및 이로 인한 집단 간 불평등은 사회집단에 대한 시장의 고정관념 및 이에 상응하는 집단 구성원의 인적자본 투자수준에 의해 형성된다(Arrow[1973]; Coate and Loury[1993]). 한편, 이제까지의 학계의 논의는 개인들의 사회집단 선택 및 이에 따른 사회집단 구성의 내생적 변화 가능성을 배제한 채 발전하여 왔다. 사회집단 간 평판의 차이가 존재하고 동시에 개인들의 자발적 집단 선택이 가능한 상황이라면, 평판이 좋은 사회집단은 집단의 구성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인적자본에 투자하는 '투자 확대'의 효과뿐만 아니라, 평판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사회집단에 비해 보다 우수한 인재들을 집단의 새로운 구성원으로 맞아들이는 '집단 구성'의 효과를 동시에 누리게 된다. 이러한 집단 구성의 내생성은 본질적으로 사회집단 간의 평판의 차이를 보다 확대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며, 이렇게 확대된 평판의 격차가 우수한 인재의 집중을 보다 강화시킴으로써 집단 간 경제적 불평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노동시장 신호이론을 활용하여 사회집단 선택의 내생성하에서의 집단 간 불평등의 균형점을 찾고 이들의 안정성에 관해 논하고 있으며, 집단 구성의 내생성이 주어질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사회집단 간의 경제사회적 불평등이 보다 심화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