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케이블 파단이 콘크리트사장교 동적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ble Rupture on Dynamic Responses of a Concrete Cable-stayed Bridge

  • 투고 : 2012.01.05
  • 심사 : 2012.04.03
  • 발행 : 2012.05.30

초록

본 연구는 케이블 파단이 콘크리트사장교의 동적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강합성사장교에 대한 것과 비교하여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강합성사장교를 대상으로 시간이력함수를 이용한 케이블 파단을 모사하는 적합한 해석기법을 검토하고, 동적확대계수를 평가하였다. 콘크리트사장교에서 계산된 동적확대계수를 설계기준을 기반으로 강합성사장교에 대한 것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동적확대계수에 대한 현행 설계기준이 전반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콘크리트사장교의 경우 동적확대계수 값이 강합성사장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승되는 경향을 보이나 설계기준을 만족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ble rupture on the dynamic responses of concrete cable-stayed bridge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steel composite ones. It examines an adequate analysis method for simulating cable rupture using a time history function and evaluates the design guidelines for dynamic amplification factor (DAF). The computed DAFs from a concrete cable-stayed bridge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a steel composite one based on the design guideline. As a conclusion, the current design guidelines for DAF may be reliable in overall but show some unstable cases despite satisfying the design guidelines, especially for concrete cable-stayed bridg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광수, 조의경, 이천수, 전홍건, 이만섭,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사장교(화명대교)의 설계", 콘크리트학회지 기술기사, 제19권 5호, 2007, pp.58-61.
  2. 남효승, 이완수, "장대사장교 케이블 교체 및 파단에 의한 영향 분석",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2004.
  3. 대한토목학회, "케이블 강교량 설계지침", 2006.
  4. 박용석, "사장교 케이블 파단 영향 검토를 위한 동적 확대 계수에 관한 연구", 공학석사학위논문, 서을대학교, 2007.
  5. PTI, "Recommendations for Stay Cable Design", Testing and Installation, Phoenix, AZ, 2001, pp.55-56.
  6. Ruiz-Teran, A. M., Aparicio, A. C., "Dynamic amplification factors in cable-stayed structures",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300, 2007, pp.197-216. https://doi.org/10.1016/j.jsv.2006.07.028
  7. SETRA, "CIP recommendations on cable stays", 2002, pp.176-177.

피인용 문헌

  1. Abnormal Response Analysis of a Cable-Stayed Bridge using Gradual Bilinear Method vol.18, pp.6, 2014, https://doi.org/10.11112/jksmi.2014.18.6.060
  2. 사장교 케이블 손상 사나리오에 따른 구조 안전 수준 평가 vol.19, pp.7,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8.19.7.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