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Rail Station-Influenced Area Development Combined with the Optimal Connection and Transfer Facility

적정연계환승체계를 감안한 역세권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 정철 (SK건설 국내인프라사업관리 본부) ;
  • 김시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
  • 김연규 (한국교통연구원)
  • Received : 2012.06.05
  • Accepted : 2012.07.11
  • Published : 2012.09.15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3 different elements to develop a rail station-influenced area effectively. Above all, several typical models of 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are suggested. They consider the land use types around a rail station, characteristics of a rail station whether it serves a single line or multiple lines. a method of developing a rail station-influenced area. Secondly, the optimal level of service is suggested for connection facility and access modes. Finally, the allocation criteria of on-and-off facility to provide convenient transfer activity.

본 연구에서는 역세권개발의 핵심요소로서 3가지를 제시하였다. 우선 역의 입지에 따른 주변토지이용, 철도노선 개수에 따른 역사유형, 역사개발방식을 고려한 역세권개발 유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다음은 역세권 개발이 성공하려면 역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역으로의 접근성을 판단하는 적정수준의 연계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역으로의 접근 후 승객이 편리하게 환승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차 시설을 배치기준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승영 등(2008) 대중교통이용자 속성을 고려한 환승시간별 환승률 결정모형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통권 제26권 제4호.
  2. 권영종(2008)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연계 및 환승시스템 구축전략, 월간 교통, 한국교통연구원, 통권 제120호, p. 13.
  3. 김시곤 등(2010) 한국형 환승센터 모형개발, 국토해양부
  4. 성현곤, 김태현(2005) 서울시 역세권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8호, pp. 19-29.
  5. 최기주 등(2011) GTX연계교통체계구축계획 수립 연구, 경기도.
  6. 한국교통연구원(2004) 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과 교통체계 구축 방안.
  7. 국토해양부(2002) 도시철도 정거장 및 환승.편의시설 보완설계지침.
  8. John J Fruin (1971) Pedestrian Planning and Design.
  9. TRB (2003)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 (TCQSM).
  1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04) Transit Cooperative Research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