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ecies and Distribution of Native Wild Mushrooms Traditionally using in Jeju Island

전통적으로 이용되는 제주 야생버섯의 종류와 분포

  • Ko, Pyung-Yeol (Major of Plant Resources & Environment,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s, The Research Institute for Subtropical Agriculture and Biotechnology, Jeju National University) ;
  • Lee, Seung-Hak (Major of Plant Resources & Environment,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s, The Research Institute for Subtropical Agriculture and Biotechnology, Jeju National University) ;
  • Jeun, Yong-Chull (Major of Plant Resources & Environment,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s, The Research Institute for Subtropical Agriculture and Biotechnology, Je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2.02.24
  • Accepted : 2012.03.23
  • Published : 2012.04.01

Abstract

The knowledge of native wild mushrooms traditionally using in Jeju Island, that have specific native environment and various biodiversity, was investigated. From Jeju and Seogwipo cities including 7 provinces 4 locals, so total 50 villages, data was collected in the entire area and voice of the 93 elderly people between the age of fifty and ninety were recorded. As a result, total 23 native wild mushrooms were used in which 2 species were poisonous mushrooms, 7 species were medicinal mushrooms, 2 species was used for folk religion, 2 species were not used for living but for attention and 12 species were edible mushrooms. Also, a total of 267 cases of traditional knowledge was collected, in which 197 cases were about edible mushrooms for 12 species, 43 cases were about poisonous mushrooms for 2 species, 16 cases were about medicinal mushrooms for 7 species. Interestingly, the fortune for agriculture was told depending on spore mass release of Cyathus stercoreus which grows in animal feces and compost. It is considered as the distinctive traditional knowledge of Jeju Island.

독특한 자연환경과 다양한 생물상을 지닌 제주도에서 지역민들에게 이용되어 왔던 자생버섯에 대한 전통지식을 조사하였다. 제주도 전 지역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주와 서귀포시 내에 있는 7개 읍과 4개의 면을 대상으로 총 50개의 마을을 조사하였으며 50~90대 사이의 노인들 93명을 방문하여 녹취하고 야장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에서 이용되어온 야생버섯은 모두 23종으로 나타났고, 그 중 독버섯은 2종, 약용버섯은 7종, 민속신앙에 이용되었던 버섯이 2종, 이용되지는 않았으나 관심 대상이었던 버섯이 2종, 그리고 식용버섯은 12종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야생버섯을 이용하는 전통지식으로 267건의 전통지식이 수집되었다. 그 중 식용버섯은 12종에서 197건의 전통지식이 수집되었고, 독버섯에 2종에서 43건이 수집 되었으며, 약용버섯에 대한 정보는 7종에서 16건의 전통지식이 조사되었다. 특이한 점은 동물의 분변이나 퇴비에 발생하는 Cyathus stercoreus을 이용하여 포자괴(spore mass)의 방출 상태를 보고 농사의 길흉을 점쳐왔다는 점이었다. 이는 제주지방만의 독특한 전통지식으로 추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평열. 2009. 제주도 선흘곶 동백동산에 자생하는 버섯의 생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pp. 33-36.
  2. 고평열, 김찬수, 신용만, 석순자, 변광옥. 2009. 제주지역의 야생 버섯. 국립산림과학원. p. 463.
  3. 고평열, 이가은, 전용철. 2011. 제주도 물영아리오름에 자생하는 버섯의 종다양성 연구. 한국자연보존연구지 3, 4.
  4. 김수철, 이정배, 오덕철. 2002. 한라산 자생버섯의 서식분포와 유 용성에 관한 연구. 기초과학연구 15(2). 제주대학교 기초과학 연구소. pp. 49-50.
  5. 김양섭, 석순자, 김완규, 원항연, 이강효. 2005. 한라산의 버섯. 제주도농업기술원 p. 317.
  6. 김현중, 한상국. 2008. 광릉의 버섯. 446pp.
  7. 농촌진흥청농업과학기술원. 2004. 한국의 버섯-식용버섯과 독버섯. p. 467.
  8. 오덕철. 2005. 제주도 버섯자원의 다양성. 제주대학교 기초과학 연구소. 기초과학연구 18:1-29
  9. 이정배. 1998. 한라산의 고등균류상.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pp. 2-19.
  10. 이태수. 2011. 한국 기록종버섯 재정리 목록. 저숲출판 pp. 1-36
  11. Breitenbach, J. and Kranzlin, F. 1991. Fungi of Switzerland. Vol. l.-6. Mycological Society of Lucerne. Switzerland.
  12. Imazeki, R. and Hongo, T. 1987. Colored Illustrations of Mushrooms of Japan I. Hoikusha. Japan. p. 325.
  13. Imazeki, R. and Hongo, T., 1989. Colored Illustrations of Mushrooms of Japan II. Hoikusha. Japan. p. 315.
  14. Imazeki, R, Y. Otani, Y. and T. Hongo, 2002. Fungi of Japan. Yamakei Pubulishers. Japan. p. 623.

Cited by

  1. Traditional Knowledge on Wild Mushrooms in the Surrounding Villages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vol.41, pp.2, 2013, https://doi.org/10.4489/KJM.2013.41.2.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