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Legal Protection Scope and Limitation of Information

정보의 법적 보호범위와 한계

  • 김형만 (광주대학교 경찰법행정학부) ;
  • 양명섭 (초당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Received : 2012.11.28
  • Accepted : 2012.12.20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Information", which is circulated in society by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represented by computer, has brought innovation not only to physical civilization, but also deep into our daily lives. This is to say that information has brought fundamental change to its form of existence, and value system through being faster regarding the circulation and the way of management being diverse. As time goes by, this kind of change would stimulate more changes to be made as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ivilization. Therefore, informatiz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 that defines modern society's essence, but on the other side, information has been taken advantage of that temperament and abused in a lot of different ways. "The Law Regarding Computer Network Diffusion Expansion and Usage Promotion"(1986), as a counterplan of informatization is our nation's first Act about informatization, which enacts national policy and system about this issue. Since then, many laws has been enacted down to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ct"(2011), forming a comprehensive system. The basic background of these laws are based upon the premise that even if the place where the information is managed is virtual space, rules that are considered valid in the real world should be basically applied in the virtual space. Therefore, the violation of the law in the real world is also considered the violation in the virtual space. This direction of current law regarding information is shared with both the theories and the reality. However, current law system and notion are based upon the premise that the law regards material objects, thus the characteristic of the information, which is "Immaterial Being" is not reflected. Also, the management and approach to this issue is allopathic, exposing many problems. Thus, this paper examines the way of protecting information stipulated in the current law, contemplates its protection scope and limitation, and seeks the direction of the improvement, based on the critical mind explained above.

컴퓨터로 대변되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등으로 사회에 유통되고 있는 "정보"는, 인류의 물질문명은 물론 생활환경에까지도 혁신을 가져왔다. 즉 정보는 그 유통과 처리 증대 및 신속화 그리고 다양화되면서 그 존재형식과 가치체계에도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앞으로도 이러한 변화는 과학문명의 발달에 따라 계속변화를 촉구할 것이다. 따라서 정보화는 현대사회의 본질을 특징 짖는 중요한 개념이지만, 다른 한편 정보는 그 특성에 편승하여 다양한 형태로 악용되고 있어 이로 인한 범죄도 날로 증가하는 것이 현실이다. 정보화에 대한 대책으로 1986년 "전산망 보급확장과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은, 우리나라 최초의 정보화에 관한 법률로 이에 관한 국가시책과 제도를 규정한 것이다. 그 후 2011년 "개인정보보호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법률을 제정하여 그 종합적인 체계를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법제도의 기본적인 배경에는 정보가 처리되는 공간이 가상공간일지라도 그것이 전자적 실재로서 성격을 갖는 이상, 현실사회에 타당한 룰은 기본적으로 가상공간에서도 그대로 타당하여야 한다고 전제하고 있다. 따라서 현실사회에서 위법한 것은 가상공간에서도 위법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정보와 관련된 현행법상의 이와 같은 방향성에 대해서는 학설과 실무가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다만 기존의 현행법체계 및 개념이 유체물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무체물"인 정보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았다. 또한 그 대처방식도 대증요법적으로 대응하고 있어 다양한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전제로 현행법에 규정되어 있는 정보의 보호방식을 살펴보고 그 보호범위와 한계를 고찰하여,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