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건대학생과 의과대학생 간의 개인건강기록(PHR) 인식 비교

The Comparison of Recognizing Personal Health Record Between Healthcare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 백은혜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
  • 임성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보건행정학 전공) ;
  • 김한결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보건행정학 전공) ;
  • 이현실 (고려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투고 : 2012.09.05
  • 심사 : 2012.10.15
  • 발행 : 2012.11.30

초록

보건의료의 이용이 의료서비스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되어가면서, 환자 본인의 건강정보관리와 알 권리 보장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변화에 따라 환자 자신의 건강정보를 알기 위하여 자신의 의료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도구인 개인건강정보(PHR)의 중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의료이용자(보건대학생)와 의료제공자(의과대학생) 간의 개인건강기록(PHR)의 이해정도, 활용, 관리에 대해 조사한 후 두 연구대상 간의 차이를 비교함에 있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은 보건학 전공 학부생과 의과대학생을 선택적으로 선별하였고, 2011년 4월에서 5월까지 보건대학생 106부, 의과대학생 102부를 조사하였다. 개인건강기록(PHR)의 이해정도, 기록의 중요도, 제공기능의 도움정도, 시간 비용 효율성을 t-test를 통해 비교하였다. 또한 개인건강기록(PHR)의 형식과 관리 운영주체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x^2$-test를 하였다. 개인건강기록(PHR)의 이해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보건대학생의 주관적, 객관적 이해 정도의 평균(3.51점, 3.58점)이 의과대학생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개인건강정보(PHR)의 중요도는 알레르기이력, 가족질병이력이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기능에서는 신체검사 모니터링과 건강 유해요인 관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효율성에서는 시간 절감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개인건강기록(PHR)의 관리에서 제공형식은 통합형 방식이 우세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운영주체에서는 보건대학생은 본인이 관리하겠다는 응답이 50.0%로 우세하였고, 의과대학생은 의료기관이 관리하는 것이 52.8%의 분포를 보였으며 두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하였다. 현재 개인건강정보(PHR)에 대해 많은 수요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활성화에는 한계가 있다. 앞으로 개인건강기록(PHR)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연령대별, 질환에 따른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이전에 시도되지 않았던 의료소비자와 의료제공자의 입장에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서술함으로써 향후 개인건강기록(PHR)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With the paradigm shifts towards consumer-centered health service, it is expected that more health care consumers will keep their health information and manage their own health in the future.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Understanding",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Personal Health Record(PHR) between medical users(healthcare stud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medical students). We collected data from 208 health and medical students via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orm April to June, 201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t-test, Chi-square on SPSS 19.0 ver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PHR between two groups. Looking at the order of the importance of PHR contents, two groups equally emphasized medical records, surgical history, and test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ime and effectiveness of PHR(p=0.02). Intergrated type of PHR was preferred by both groups. Recently, PHR reflects needs and demands of users more than ever. However there are many limitations to promote the utiliz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argeted strategies for the elderly groups and specific types of diseas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