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만성 뇌졸중환자의 상지 기능 및 일상생활동작에 동작관찰훈련과 과제지향훈련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 방대혁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 강태우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 오덕원 (청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투고 : 2012.07.23
  • 심사 : 2012.10.05
  • 발행 : 2012.10.31

초록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대한 동작관찰훈련과 과제지향훈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들은 총 12 명으로 1 집단과 2 집단에 6 명씩 무작위로 할당되었으며, 각 집단의 대상자들에게 동작관찰훈련(A)과 과제지향훈련(B)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교차연구 설계를 사용하여 1 집단은 A-B, 2 집단은 B-A의 순서로 중재가 적용되었다. 각 훈련은 2 주 동안 주 5회, 매일 30 분씩 시행되었으며, 총 실험기간은 4 주였다. 측정은 울프 운동 기능검사(Wolf motor function test, WMFT)와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사용하여 기초선, 2 주후, 4 주후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제지향훈련과 동작관찰훈련 모두 만성 뇌졸중환자의 WMFT와 MBI 점수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두 훈련 방법의 차이는 없었다(p>.05). 훈련 전후의 효과크기는 두 집단 모두 동작관찰훈련을 시행하였을 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작관찰훈련과 과제지향훈련 모두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동작관찰훈련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지지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action-observational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This study included 12 voluntary participant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group 1 or group 2, with 6 in each group. Each subject completed the crossover experiment that comprised of action-observational training (A) and task-oriented training (B). The intervention sequence was A-B for the group 1 and B-A for the group 2. Each training was performed for 30 min a day, 5 times a week for 2 weeks (total experimental period of 4 weeks). Assessments were made using the 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and Modified Barthel Index (MBI) thrice: at baseline, after 2 weeks of intervention, and after 4 weeks of interv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MFT and MBI score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completion of each training (p<.05). Therefore, a determination of the superior training method was difficult. The effect sizes of both groups were greater when performed the action-observational train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both the action-observational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may be helpful in improving the upper limb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and support the clinical feasibility of the action-observational train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