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강 하구 습지복원을 위한 장항습지의 사주 지형변화 및 식생정착

Topographical change of sandbar and vegetation settlement in Jang-Hang wetlands for Han River Estuary Wetlands Restoration

  • 안홍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
  • 김시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
  • 정상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
  • 이동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
  • 이삼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 투고 : 2012.03.19
  • 심사 : 2012.05.29
  • 발행 : 2012.05.31

초록

기수역은 하천의 종횡단 방향으로 수질 하안 저질 재료 및 미지형이 변화하는 환경변화가 매우 큰 공간으로 이러한 환경의 질적 차이에 의하여 생물 서식처가 달라지는 특수한 공간이다. 본 연구는 신곡 수중보의 건설과 수중보 하류의 과도한 준설 등이 수리적인 여건 변화를 제공하였고 이로 인하여 사주 변화가 급격히 진행된 한강의 장항습지를 대상으로 하구습지의 공간적 변화 추이와 장항습지의 물리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사주부 식생의 정착과 확장과정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장항습지의 사주면적은 1985년과 비교하여 2006년도에는 6배정도로 습지가 확장되었고, 갈대군락은 점차 감소하는 반면 선버들 군락은 증가하였다. 또한 토층분석 결과 장항습지는 하천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습지의 중류역에서부터 목본류가 정착하여 상하류로 확산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Estuary is unique habitat ground under substantial changes of water quality, river side, bed material, and micro topography. Construction of SinGok underwater weir with excessive dredging for downstream of weir has changed hydraulic conditions of Han River. This study investigates spatial changes of estuary and expansion process of vegetation on sandbar for JangHang estuary in Han River through analysis of phys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we found that area of sandbar in JangHang estuary is expanded six times compared between 1985 and 2006, and area of Phragmites australis is gradually decreased while area of Salix subfragilis Anderson. is increased. Also the analysis result of soil layer shows that the Jang-Hang wetlands are created by effect from river, and woody plants are settled from middle part of wetlands, then spread to upper and lower part of wetlands.

키워드

참고문헌

  1. 길혜경, 김동건, 정상우, 신일권, 조강현, 우효섭, 배연재. 2007. 경기도 경안천에서 소형 보 (洑)의 철거 이후에 변화된 저서성 대형무척추 동물 군집,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ol.25,No.4, pp.385-393
  2. 김건흥, 최계운. 2010. 한강하구의 매립 및 준설에 따른 수리학적 영향검토. 인천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pp.1-252
  3. 백경오. 2009. 한강하구 개발에 따른 흐름 및 하상변동 고찰. 경기개발연구원. pp. 1-155
  4. 안홍규. 2001. 토양의 물리적 특성 및 수분조건에 따른 하반식물의 분포 -토양환경과 식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5): 39-47
  5. 안홍규, 김시내, 우효섭. 2011. 보철거를 통한 하천생물이동통로의 생태적 복원. 환경영향평가학회 Vol.21, No.1, pp.171-184
  6. 염정현, 한봉호, 이경재. 2010. 대규모 습지의 Ramsar Site 지정 가능성 검토 및 관리방안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3. pp.249-257
  7. 이삼희, 황승룡. 2006. 한강하구 장항습지의 형성과정, 건설기술정보. pp.17-22
  8. 이삼희, 옥기영, 최정권. 2008. 충적하천 사행하도에 발달한 사주에서의 식생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6):658-665
  9. 이양주. 2008. 장항습지의 위상과 한강하구의 활용검토. 경기개발연구원 CEO report No.7. pp.1-24
  10. 최미경, 이삼희, 최정권. 2010. 탄천 하도사주의 지형 형성과정과 식생분포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7(6). pp.96-105
  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 한강하류부 하상변동분석 연구
  12. 한동욱, 유재원, 유영한, 이은주, 박상규. 2010. 한강하구 장항습지의 선버들의 지상부 1차 생산성과 말똥게의 2차 생산성. Korea J. Limnol. Vol.43, No.2. pp.298-306
  13. 해양수산부. 2008. 한강하구습지 염분구배에 따른 대형저서동물과 공생미생물의 분포파악 및 유전자원 확보 보고서. 인하대학교. pp.1-127
  14. 환경부. 2009.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 모니터링 결과보고서, 한강유역환경청. pp. 69-79
  15. 환경부. 2004. "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를 통한 하천 생물이동통로 및 수질개선효과 연구" 최종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p. 179-228
  16. 환경부. 2010. "한강하구 하상변화 평가모형 및 습지복원기법개발" 1차년도 연차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p. 78-95
  17. Paula D. Pratolongo, Jason R, Kirby, Andrew Plater, Mark M. Brinson. 2009. Temperate Coastal Wetlands : Morphology, Sediment Processes, and Plant Communities. Coastal wetlands-An integrated ecosystem approach-. ELSEVIER. pp. 89-118
  18. Wolanski, E.. 2009. "Coastal Wetlands", Elsevier B.V. pp.1-62
  19. 楠田哲也, 山本晃一. 2008. 河川気水域-その 環境特性と生態系の保全․再生-. 東京: 技報堂出版. pp. 5-30
  20. 藤田光一, 李參熙, 渡辺敏, 塚原隆夫, 山本晃 一, 望月達也, 2003, 扇状地礫床河道における 安定植生域消長の機構とシミュレーション土木 学会論文集 No.747, pp.4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