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order to determin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Quercus serrata and Q. aliena, which ar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riverine in Korea, we cultivated the seedlings of two oak species under light, soil moisture and nutrient gradients from April to October in glasshouse. Then, we measured aboveground, belowground and total plant biomass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growth between two oak species. The two oak species showed decreasing growth with lower light intensity, but reduction in growth of Q. aliena was greater than that of Q. serrata. Q. serrata and Q. aliena had a constant growth state under soil moisture gradients, but Q. aliena grew well more than Q. serrata in lower soil moisture gradient. As soil nutrient availability decreased, the growth of Q. aliena was greater than Q. serrata. These results mean that the growth of two oak species is not affected by soil moisture, but the part of growth in Q. serrata may be positively affected in lower soil moisture condition. Also, Q. serrata has strong shade tolerance and the ability to adapt high nutrient condition relative to Q. aliena. Thus, Q. serrata and Q. aliena will be advantageous for the growth in stream ecosystem due to high light availability, but Q. serrata will be distributed near the lowlands by the water environment. Also, because the two oak species need high soil nutrient, it is important to preserve herbaceous vegetation to prevent nutrients that flowed in the streams.
우리나라 하천변 잠재 자연식생인 졸참나무와 갈참나무의 생태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내에서 유식물에 주요 환경요인 중 광, 수분과 영양소를 각각 4조건으로 처리하여 그 생육반응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이 줄어들면 두 종은 모두 생육이 감소하였고 갈참나무가 졸참나무보다 감소의 정도가 컸다. 수분 처리 환경의 모든 조건에서 졸참나무와 갈참나무의 생장량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지상부는 갈참나무가 졸참나무보다 적은 수분 조건에서 잘 자랐다. 그리고 영양소가 적은 조건에서 갈참나무는 졸참나무보다 잘 자랐다. 이상으로 볼 때, 졸참나무가 내음성이 커 광이 부족한 환경에서는 갈참나무보다 생장에 유리하고 졸참나무는 갈참나무에 비해 영양소가 비교적 많은 환경에 적응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두 종의 참나무는 수분에 의해서 영향을 크게 받지 않지만, 수분이 부족한 환경에서는 갈참나무가 졸참나무보다 생장에 일부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하천생태계는 광이 강한 열린 공간이기 때문에 두 종 모두 생장에 유리할 것이고, 수분 환경의 영향을 받아 졸참나무가 갈참나무보다 저지대에서 생육할 것이다. 또한 두 종 모두 많은 영양소를 필요로 하는데 이때, 하천으로의 여분 영양소 유입을 막기 위해서는 초본 식생대의 보전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