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rowth Difference between the Seedlings of Quercus serrata and Q. aliena under light, moisture and nutrient Gradients

광, 수분, 영양소에 따른 졸참나무와 갈참나무 유식물의 생육 차이

  • Lim, Hoon (Graduate School Dept. of Biolog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Hae-Ran (Graduate School Dept. of Biolog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You, Young-Han (Graduate School Dept. of Biolog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임훈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 김해란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 유영한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Received : 2012.03.29
  • Accepted : 2012.05.23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In order to determin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Quercus serrata and Q. aliena, which ar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riverine in Korea, we cultivated the seedlings of two oak species under light, soil moisture and nutrient gradients from April to October in glasshouse. Then, we measured aboveground, belowground and total plant biomass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growth between two oak species. The two oak species showed decreasing growth with lower light intensity, but reduction in growth of Q. aliena was greater than that of Q. serrata. Q. serrata and Q. aliena had a constant growth state under soil moisture gradients, but Q. aliena grew well more than Q. serrata in lower soil moisture gradient. As soil nutrient availability decreased, the growth of Q. aliena was greater than Q. serrata. These results mean that the growth of two oak species is not affected by soil moisture, but the part of growth in Q. serrata may be positively affected in lower soil moisture condition. Also, Q. serrata has strong shade tolerance and the ability to adapt high nutrient condition relative to Q. aliena. Thus, Q. serrata and Q. aliena will be advantageous for the growth in stream ecosystem due to high light availability, but Q. serrata will be distributed near the lowlands by the water environment. Also, because the two oak species need high soil nutrient, it is important to preserve herbaceous vegetation to prevent nutrients that flowed in the streams.

우리나라 하천변 잠재 자연식생인 졸참나무와 갈참나무의 생태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내에서 유식물에 주요 환경요인 중 광, 수분과 영양소를 각각 4조건으로 처리하여 그 생육반응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이 줄어들면 두 종은 모두 생육이 감소하였고 갈참나무가 졸참나무보다 감소의 정도가 컸다. 수분 처리 환경의 모든 조건에서 졸참나무와 갈참나무의 생장량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지상부는 갈참나무가 졸참나무보다 적은 수분 조건에서 잘 자랐다. 그리고 영양소가 적은 조건에서 갈참나무는 졸참나무보다 잘 자랐다. 이상으로 볼 때, 졸참나무가 내음성이 커 광이 부족한 환경에서는 갈참나무보다 생장에 유리하고 졸참나무는 갈참나무에 비해 영양소가 비교적 많은 환경에 적응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두 종의 참나무는 수분에 의해서 영향을 크게 받지 않지만, 수분이 부족한 환경에서는 갈참나무가 졸참나무보다 생장에 일부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하천생태계는 광이 강한 열린 공간이기 때문에 두 종 모두 생장에 유리할 것이고, 수분 환경의 영향을 받아 졸참나무가 갈참나무보다 저지대에서 생육할 것이다. 또한 두 종 모두 많은 영양소를 필요로 하는데 이때, 하천으로의 여분 영양소 유입을 막기 위해서는 초본 식생대의 보전이 중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언, 길봉섭. 2000. 한국의 신갈나무 숲-그의 환경. 식생과 생활 pp. 118-139.
  2. 김혜주, 신범균, 유영한, 김창환. 2008. 홍수터복원을 위한 국내 현재잠재자연하천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5):564-594.
  3. 김성봉. 2008. 습지와 환경자원. 월인출판사 pp. 61-83.
  4. 노형진, 정한열. 2002. STATISTICA에 의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pp. 535-556.
  5. 박진희, 정명기, 선병윤, 김기중, 박재홍, 박종욱. 2005. 한국산 참나무속 참나무과속(너도밤나무과)의 수리분류학적 분석. 식물분류학회지 35(1):57-80.
  6. 박홍준. 1984. 온대중부지역에 있어서 주요 참나 무류(Quercus spp.)의 수직분포와 생태적 특 성에 관한 연구 : 계룡산, 속리산, 덕유산, 지리산 지역에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p.
  7. 심주석, 한산섭. 2003. 낙엽성 참나무류의 생리. 생태적 특성-광도변화에 대한 잎의 광합성 반응. 한국임학회지 92:208-214.
  8. 신정훈, 유영한. 2011. 종자크기에 따른 참나무 4종의 발아율, 초기 생장률과 생존율 변화.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9(4):274-279.
  9. 송민섭. 2007. 한국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림의 분포와 군집구조 분석. 창원대학교 생물학과 이학박사청구논문 pp. 105-110
  10. 여천생태연구회. 2005. 현대생태학실험. 교문사 pp. 267-268
  11. 유영한, 지광재, 한동욱, 광영세, 김준호. 1995. 광릉내 용암산 식물군집의 천이와 이질성. 한국생태학회지 18(1):89-97.
  12. 이미정. 2007. 우리나라 주요 참나무림의 군락구조분석 및 생태적 식재모델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8p.
  13. 정헌모, 김해란, 유영한. 2009. 환경경사처리에 따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 신갈나무의 생육 차이.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7(1):82-87.
  14. 정중규, 김해란, 유영한. 2010. 지구온난화에 따른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생육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6):648-656.
  15. 하사헌. 1989. 상위한 광 강도 하에서 자란 참나무속 유식물의 생장과 광합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p.
  16. 한승주, 김혜주, 유영한. 2009. 홍수터 복원을 위한 침수 내성 참나무 수종 선발. 한국습지학회지 11(2): 1-7.
  17. 홍용식, 유영한, 이훈복. 2010. 한국산 참나무류 6종 종자의 주요 영양염류 농도의 계절적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3):286-292.
  18. Barbour MG, JH Burk, WD Pitts.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2nd ed.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mpany. Inc. California 634p.
  19. Grime JP, Hodgson JG, Hunt R. 1998. Comparative plant ecology. London unwin hyman 742p.
  20. Kim JW and JH Kim. 1994. Stomatal control and strategy segregation to drought stress in young trees of several oak species. Korean Journal of Ecology 17(3):241-249.
  21. Walter H. 1973. Vegetation of the Earth: In relation to climate and the Ecophysiological Condition. Springer-Verlag. New York 23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