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ormation and the Features of Modern Body Aesthetics in Modern Korea

근대 한국 사회에서의 모던 신체미의 형성과 특성

  • 박혜원 (오산대학교 패션디자인과)
  • Received : 2011.11.10
  • Accepted : 2012.01.26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what the beauty of the modern body means and symbolizes from the aesthetic, sociocultur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and to investigate how it was formed in the modern Korean society.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magazines and newspapers published from 1920 to 1939 and analyzed by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dern body from an aesthetic standpoint was characterized by the beauty of westernization, healthy body shape, sensuality, curvaceousness, activity, balance and harmony, and artificiality. The beauty of the modern body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symbolized modern culture and implied the value evaluated by visual appearance. Therefore, the modern body became an object of consumption and the physical capital that gave women chances for their social success and happy marriages. The beauty of the modern body from a psychological viewpoint expressed individuality as a modern ego. Second, the formation of modern body esthetics was explained within the context of social comparison theory. The ideal body suggested by mass media was internalized as the aesthetic standard women used to create modern bodies and with which they compared their created bodies.

Keywords

References

  1. Synnott, A. (1990), Truth and goodness, mirrors and mask,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41, pp. 55-76. https://doi.org/10.2307/591018
  2. Hamermesh, D. S. (2011), Beauty pays: Why attractive people are more successful,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25-57.
  3. 김민주 (2008), 2008 트렌드 키워드, 서울: 미래의 창, p. 237.
  4. 강혜원 (1984),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p. 251.
  5. Bourdieu, P. (1984),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Richard Nice(Tran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pp. 201-205.
  6. Baudrillard, J. (1970), La societe de consummation, 이상률 역 (1992), 소비의 사회, 서울: 문예출판사, p. 208.
  7. 임경복 (2009), 사회적 자아와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7(6), pp. 67-77.
  8. 이미숙 (2008),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관의 내 면화가 청소년들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58(6), pp. 96-109.
  9. 김은주 (2001), 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
  10. Lennon, S. J. et al. (1999), Attitudes toward gender roles, self-esteem, and body image: Application of a mod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7(4), pp. 192-193.
  11. 이성희 (2009), 패션과 신체 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4.
  12. 김은희 (2001), 20세기에 나타난 여성의 이상적 신체미와 패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2), pp. 494-504.
  13. 김소영, 양숙희 (2002), 패션 커뮤니케이션 매체와 이상적 신체미 (제 2보), 복식, 52(8), pp. 41-54.
  14. 김소영, 이병화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신체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복식, 54(3), pp. 129-143.
  15. 김미선 (2005), 1930년대 신식 화장담론이 구성한 소비 주체로서 신여성, 여성학 논집, 22(2), pp. 145-182.
  16. 맹문재 (2003), 일제 강점기의 여성지에 나타난 여성미용 고찰 -193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19(3), pp. 5-30.
  17. 이영아 (2008), 1900-1920년대의 여성의 '몸가꾸기' 담론의 변천과정 연구, 한국문화, 44, pp. 127-151.
  18. Lennon, S. J. et al. (1999), Attitudes toward gender roles, self-esteem, and body image: Application of a mod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7(4), p. 191. https://doi.org/10.1177/0887302X9901700403
  19. 임인생 (1930. 1. 1), "모던이씀", 별건곤, 25, pp. 136- 137.
  20. 오석천 (1931. 6. 1), "모더니즘 회론", 신민, 67, p. 29.
  21. 박혜원 (2011), 한국 근대문화 소비주체로서 모던 신세대의 가치관, 소비문화, 의복태도 특성: 1920년-1930년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9(9), pp. 99-109.
  22. 박혜원 (2011), 한국 근대문화 소비주체로서 모던 신세대의 가치관, 소비문화, 의복태도 특성: 1920년-1930년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9(9), p. 103.
  23. 임경복 (2009), 사회적 자아와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7(6), p. 76.
  24. 박혜원 (2011), 한국 근대문화 소비주체로서 모던 신세대의 가치관, 소비문화, 의복태도 특성: 1920년- 1930년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9(9),p. 102.
  25. 이영아 (2008), 1900-1920년대의 여성의 '몸가꾸기' 담론의 변천과정 연구, 한국문화, 44, pp. 139-140.
  26. 한긔자 (1922. 12. 10), "현대 문명이 요구하는 미인", 부인, 6, p. 27.
  27. 홍선표 (2003), 한국 미인화의 신체 이미지, 한국문화연구원 겨울 학술 대회 발표 자료집, p. 20.
  28. 정인익 (1929. 2. 1), "낙화와 미인", 별건곤, 19, pp. 124-125.
  29. 성서인 (1928. 8. 1), "미인제조비법공개", 별건곤, 15, pp. 150-152.
  30. "현대인으로 반듯이 알아야 할 미용체조법" (1935. 10. 1), 삼천리, 7(9), pp. 210-211.
  31. "얼굴의 미보다 체격의 미를 발휘하라" (1926. 8. 29), 조선일보, p. 3.
  32. 현진건 (1929. 2. 1), "미인 내가 조케 생각하는 여자", 별건곤, 19, p. 122.
  33. 김동인 (1929. 2. 1), "미인 내가 조케 생각하는 여자", 별건곤, 19, p. 122.
  34. 김동진 (1932. 5. 15), "예술가의 미인관", 삼천리, 4(5), p. 27.
  35. 석영 (1932. 5. 1), "근대 여학생은 체격이 조와, 여학생이여 단발하라", 삼천리, 4(5), p. 17.
  36. 배성용 (1925. 2. 11), "젊은 여성의 육체미.실질미", 신여성, 3(2), pp. 21-25.
  37. 안석주 (1924. 11. 1), "미관상으로 보아서", 신여성, 2(11), pp. 6-9.
  38. 김기림 (1933. 2. 22), "봄의 전주곡, 봄의 전령-북행 열차를 타고", 조선일보, p. 4.
  39. 이동원 (1932. 7. 1), "여름의 환락경, 해수욕장의 에로그로", 별건곤, 53, p. 12.
  40. 안석영 (1929. 7. 27), "몽파리나녀, 여름 풍경 (2)", 조선일보, p. 3.
  41. 안석영 (1930. 1. 12), "여성선전시대가 오면 (2)", 조선일보, p. 5.
  42. "미쓰 1936년이 되시랴는분은?" (1935. 4. 19), 조선중앙일보, p. 4.
  43. "포탄과 현대의 애인" (1935. 2. 2), 유선형시대 (1), 조선일보, p. 4.
  44. "금하 유행의 의상" (1935. 7. 1), 삼천리, 7(6), p. 207.
  45. "미인제조실 참관, 오엽주씨의 미장실" (1934. 8. 1), 삼천리, 6(8), pp. 137-139.
  46. 안석영 (1935. 2. 5), "표준달러진 미남미녀씨, 유선형시대 (3)", 조선일보, p. 4.
  47. 안석영 (1935. 2. 6), "유선형도시 바비론 성인 유선형시대 (4)", 조선일보, p. 4.
  48. "유선형", Doopedia 두산백과, 자료검색일 2011. 9. 11, http://100.naver.com/100.nhn?docid=122370.
  49. 점혜숙, 부면객 (1937. 1. 1), "장안 신사숙녀 스타일 만평", 삼천리, 9(1), pp. 104-111.
  50. 망중한인 (1925. 9. 1), "여성미예찬", 신여성, 3(9), pp. 42-43.
  51. "미인제조교과서" (1931. 1. 1), 신여성, 5(1), pp. 96-103.
  52. 최독견 (1932. 5. 15), "예술가의 미인관, 춘희의 <히로인> 가튼", 삼천리, 4(5), p. 26.
  53. 염상섭 (1930. 4. 1), "현대미인관, 문학과 미인", 삼천리, 5, pp. 44-45.
  54. Hillestad, R. (1980), The underlying structure of appearance, Dress, 5, pp. 117-125.
  55. 박혜원 (2011), 한국 근대문화 소비주체로서 모던 신세대의 가치관, 소비문화, 의복태도 특성: 1920년-1930년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9(9), pp. 104-105.
  56. 허영숙, 김원주, 김영환 (1932. 5. 1), "여학생이여 단발하라", 삼천리, 4(5), pp. 17-18.
  57. 일기자 (1927. 10. 1), "전조선여자정구대회를 보고", 별건곤, 9, pp. 78-79.
  58. Entwistle, J. (2000), The fashioned body: Fashion, dress, and modern social theory, Cambridge: Polity Press, pp. 6-28.
  59. 이성희 (2009), 패션과 신체 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2.
  60. 안종화 (1928. 8. 1), "아모라도 미인으로 보히는 여우화장법의 비밀", 별건곤, 15, pp. 150-158.
  61. "숙녀비망첩" (1933. 7. 1), 신여성, 7(7), p. 74.
  62. "볼우물 맨드는 기계" (1937. 7. 29), 동아일보, p. 3.
  63. 현희운 (1922. 7. 10), "미용문답", 부인, 2, p. 52.
  64. "미안기" (1939. 11. 1), 여성, 4(11), p. 43.
  65. "체형? 사형? 그런 것은 아닙니다. 몸이 간얄피게 되는 기계" (1936. 5. 27), 동아일보, p. 3.
  66. "곡선미를 내는 기계" (1937. 7. 1), 동아일보, p. 3.
  67. "살 내리는 기계" (1937. 6. 22), 동아일보, p. 3.
  68. "나진코를 인공으로 놉히는 이야기" (1927. 5. 14), 조선일보, p. 3.
  69. 로아 (1930. 5. 1), "청화의원 김은선씨와 미용술을 中心으로 - 홀몬설까지, 지상이동좌담회, 해학속에 실정", 별건곤, 28, pp. 87-90.
  70. "절세미인을 만든다는 미용수술의 공덕" (1936. 8. 6), 조선중앙일보, p. 5.
  71. "가정, 출세에 관계되는 코 맵시 이야기, 요새 흔히잇는 코수술은 마루매도 천연스럽지 않다" (1937. 7.3), 조선일보, p. 4.
  72. "첨단을 걷는 젖의 미용술" (1938. 6. 19), 조선일보, p. 2.
  73. "의사의 '메스', 미인제조. 박색도 걱정없다" (1937. 5. 1), 조선일보, p. 4.
  74. "부인화장 선택에 대하여" (1931. 3. 15), 신여성, 5(3), p. 27.
  75. 성학박사 (1925. 11. 1), "양성미의 이해", 신여성, 3(11), pp. 33-34.
  76. 안석영 (1928. 2. 9), "꼬리피는 공작, 가상소견 (3)", 조선일보, p. 5.
  77. 안석영 (1933. 10. 25), "호귀의 출몰, 만추풍경 (5)", 조선일보, p. 2.
  78. "메누마 구리무 광고" (1931. 12. 1), 신여성, 5(11), p. 9.
  79. 김미선 (2005), 1930년대 신식 화장담론이 구성한 소비 주체로서 신여성, 여성학 논집, 22(2), p. 166.
  80. "결혼시장을 차저서, 백화점의 미인시장" (1934. 5. 1), 삼천리, 6(5), pp. 156-159.
  81. 김경일 (2001), 1920-1930년대 신여성의 신체와 근대성, 정신문화연구, 24(3), pp. 185-207.
  82. "위생문답" (1935. 5. 1), 조선중앙일보, p. 4.
  83. "새로 유행하는 화장 양식" (1925. 3. 29), 조선일보, p. 3.
  84. "풍자화" (1925. 6. 1), 신여성, 2(6-7), p.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