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about Style-Up Design Development as a Motive of Organic Line in Art Nouveau Style

아르누보 양식의 유기적인 선을 모티브로 한 업스타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진희 (호서대학교 대학원 뷰티디자인) ;
  • 안종숙 (호서대학교 대학원 뷰티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10.27
  • Accepted : 2012.01.13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Hair style takes a large part in emphasizing to the appearance and the effect of image transformation with fashion to the modern people whose competition is appearance in 21 centur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and the exchange of the life style. Image creation which correspond to T.P.O is needed and style-up is also required in modern costume, as the coordination for special day is routinized.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a fine and organic line shown as a motive in Art Nouveau style's works is applied to style-up design and a new view sight to the style-up design through the art history is suggested with developing style-up design to satisfy the upgraded customer's requirements. The feminine beauty is appeared as a various image by applying style-up design from Art Nouveau style through this study. and the infinite possibility to the design development can be found with activated motive of Art Nouveau. These Art Nouveau trend will be a foundation to the inspiration of high artistic design and will be helpful to the aesthetic satisfaction of the elegance modern people. Therefore, I hope this study will be a fundamental data for creative development of hair design through the art history which may be forgetting.

Keywords

References

  1. 백정희 (2006), 업스타일의 기법연구-브레이드 스타일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2. (주)두산동아 (2003), 동아 프라임 영한사전, 서울: 두산동아, p. 2563, p. 2837.
  3. 조미영 (2004), 조선후기 여성의 머리형태 재현에 의한 현대 업스타일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7.
  4. 이수인 (2004), 컬렉션에 나타난 현대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의 포스트모더니즘 표현 양상,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2.
  5. 강재순 (2008), 업스타일의 유형에 따른 작품 분석, 용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4.
  6. 장미여 (2008), 20세기 한국미용에 나타난 업스타일 기법에 관한 고찰과 재현 연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1.
  7. 윤재희, 백석중 (1991), 아르누보 건축, 서울: 세진사, p. 58.
  8. 유사라 (2000), 아르누보(Art Nouveau)양식의 조형미를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5.
  9. 홍은수 (2003), 구스타브 클림트(Gustav Klimt)의 작품을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연구: 아르누보의 조형적 요소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9.
  10. 문선영 (2005),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있어서의 아르누보 양식적 표현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52-53.
  11. 김은정 (2003), 아르누보양식의 식물모티브를 응용한 현대장신구의 조형연구,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6.
  12. 윤성윤 (1999), Antonio Gaudi의 작품을 응용한 모자 디자인 연구: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
  13. 앨러스테어 덩컨, ArtNouveau, 고영란 역 (2009), 아르누보, 서울: 시공사, pp. 63-67.
  14. 허은옥 (2000),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의 작품을 응용한 의상 디자인 연구: 퀼트(Quilt)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9-10.
  15. Escritt, Stephen, Art nouveau, 김정무 역 (1998), 아르누보, 경기 파주: 한길아트, pp. 319-323.
  16. 문소영, 중앙신문 Sunday magazine, 제183호.
  17. 오영란 (2004), 윌리엄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이 아르누보양식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6-27.

Cited by

  1. A Study on Procedure and Costume for a Royal Wedding Ceremony of Princes and Princesses in the 17th Century vol.66, pp.3, 2016, https://doi.org/10.7233/jksc.2016.66.3.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