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search on the Significance of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고려 초조대장경 조조의 가치와 의미에 관한 연구

  • 김성수 (청주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2.02.15
  • Accepted : 2012.02.20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In this research, the following were done: 1) by clarifying the place and date of praying for the engraving of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its significance as "Daejanggyeong" produced to expel the Kitan was more clearly explained; 2) its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o provide evidence of the artistic and creative features of its engravings,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aebo Tripitaka made in China; and 3) its structure was analyzed from a viewpoint of a systematic bibliography. It was found that since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contained all the earlier lists of Buddhistic scriptures in China(and individual scriptures were thoroughly examined and included into its content since the reign of King Munjong), it had a systematic bibliographical significance demonstrated by its comprehensive and cumulative nature.

이 논문은 고려 초조대장경 조조의 가치와 의미를 도출하기 위하여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의 방법은 1) 초조대장경의 조조(雕造)는 거란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한, 즉 '진병대장경(鎭兵大藏經): 거란과의 전쟁을 진압한 대장경'이라는 측면에서의 구체적인 증거와 발원지(發源地) 및 발원일(發願日)을 규명함으로써 그 가치와 의미를 더욱 명확하게 부여하고자 하였다. 2) 형태서지학적인 측면에서의 초조대장경 판본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초조대장경의 목판 판각에 있어서 중국 개보칙판대장경의 인쇄본을 단순하게 복각(復刻)한 것이 아닌, 이른바 독창적이고 탁월한 예술성(藝術性)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형태서지학적인 가치와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체계서지학적인 측면에서의 초조대장경의 편성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초조대장경의 편성에는 중국 역대의 모든 불전목록을 빠짐없이 편입한 것으로 보아, 문종시대 이후의 초조대장경의 편성에는 개개 불전 또한 목록학적(目錄學的)인 철저한 검증을 거쳐서 대장경에 편입시켰을 것이라는 점에서 보면, 포괄성(包括性)과 누적성(累積性)을 지닌 체계서지학적인 가치와 의미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開元釋敎錄. 大正新修大藏經, 제55권. 東京: 大正新修大藏經刊行會, 1977.(aewonseokgyolok. Daejeongsinsu Daejanggyeong. Vol.55. Tokyo: Daejeongsinsu Daejanggyeong Gangaenghoe, 1977.)
  2. 高麗史.(Goryeosa.)
  3. 高麗史節要.(Goryeosajeolyo.)
  4. 김기화, 이재영. 2010. 南禪寺 所藏 初雕大藏經의 形態的 特徵. 古印刷文化, 17: 91-132. 청주: 청주고인쇄박물관.(im, Gi Hwa, & Lee, Jae Yeong. 2010. "Namseonsa sojang Chojo Daejanggyeongui hyeongtaejeok teugjing." Goinswae Munhwa, 17: 91-132.)
  5. 김두종. 1974. 한국고인쇄기술사. 서울: 탐구당.(Kim, Du-Jong. 1974. Hanguk Goinswae Gisulsa. Seoul: Tamgudang.)
  6. 김성수. 2006. 고려 초조대장경 분류체계 및 <호림박물관> 소장 초조본의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405-428.(Kim, Sung-Soo. 2006. "The analysis of classification systems of Chojo Tripitaka Koreana and Chojo Print held by Horim Museum."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1): 405-428.)
  7. 김성수. 2010. 고려대장경 조조의 동기 및 배경에 관한 연구. 佛敎硏究, 32: 133-165.(Kim, Sung-Soo. 2010. "A research on the motives and background of making Goryeo- Daejanggyeong(Tripitaka Koreana)." Bulgyo-yeongu, 32: 133-136.)
  8. 김성수. 2011. 고려 초조대장경 각판의 발원 장소 및 일자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75-98.(Kim, Sung-Soo. 2011. "A research on the place and date of praying for the engraving of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2): 75-98.)
  9. 김영미. 2002. 11세기 후반 - 12세기 초 고려․요 외교관계와 불경 교류. 역사와 현실, 43: 47-77.(Kim, Young Mi. 2002. "The exchanges of Buddhist Sutras, and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the Koryo and Yo dynasti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11th century and the early periods of the 12th century." Quarterly Review of Korean History, 43: 47-77.)
  10. 金潤坤. 2002. 고려대장경의 새로운 이해. 서울: 불교시대사.(Kim, Yoon Gon. 2002. Goryeo Daejanggyeongui Saeroun Ihae. Seoul: Bulgyo Sidaesa.)
  11. 남권희. 2010. 日本 南禪寺 所藏 高麗 初雕大藏經 調査報告書. 서울: 고려대장경연구소.(Nam, Kown-Heui. 2010. A Research 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of the Nan-Zen Ji. Seoul: The Research Institute of Tripitaka Koreana.)
  12. 文暻鉉. 1991. 高麗大藏經 雕造의 史的 考察. (李箕永博士 古稀紀念論叢) 佛敎와 歷史, 489-529. 서울: 한국불교연구원.(Mun, Gyeong-hyeon. 1991. "Goryeo Daejanggyeong jojo-ui sajeok gochal." Bulgyowa Yeoksa: Yi Gi-yong Baksa Gohui Ginyeom Nonchong, 477-530. Seoul: Korean Institute for Buddhist Study.)
  13. 민현구. 1978. 고려의 대몽항쟁과 대장경. 한국학논총, 1: 39-54.(Min, Hyeon-gu. 1978. "Koryo's anti-Mongolia struggles and laws and treaties." Theses of Korean Studies, 1: 39-54.)
  14. 석혜영, 이재구. 2010. 南禪寺 所藏 御製秘藏銓 硏究. 古印刷文化, 17: 133-174.(Suk, Hye Yeong, & Lee, Jae Gu. 2010. "Namseonsa sojang Eojebijangjeon yeongu." Goinswae Munhwa, 17: 133-174.)
  15. 宋史. <高麗傳>.(Songsa. Goryeojeon.)
  16. 守其.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Sugi. Goryeoguk Sinjo Daejanggyojeong Byollock.)
  17. 안계현. 1975. 대장경의 조판. 한국사, 제6권: 19-69. 서울: 국사편찬위원회.(An, Gye-hyeon. 1975. "Daejang-gyeong-ui jopan." Hanguksa, 6: 19-69. Seoul: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18. 우진웅, 임기영. 2010. 남선사 소장 초조대장경과 고려본 현황. 古印刷文化, 17: 47-90. 청주:청주고인쇄박물관.(Woo, Jin Ung, & Lim, Gi Yeong. 2010. "Namseonsa sojang Chojo Daejanggyeonggwa Goryeo bon hyeonhwang." Goinswae Munhwa, 17: 47-90.)
  19. 義天. 新編諸宗敎藏總錄 序文. 大覺國師文集 卷1.(Uicheon. "Sinpyon jejong gyojang chongnok." Daegak Guksa Munjib. Vol.1.)
  20. 義天. 諸宗敎藏雕印疏. 大覺國師文集 卷14.(Uicheon. "Jejong gyojang joinso." Daegak Guksa Munjib. Vol.14.
  21. 義天. 代宣王[宣宗]諸宗敎藏彫印疏. 大覺國師文集 卷15.(Uicheon. "Daeseonwang[Seonjong] jejonggyojang joinso." Daegak Guksa Munjib. Vol.15.)
  22. 李奎報. 大藏刻版君臣祈告文(丁酉(1237)年行). 東國李相國集 第25卷. 雜著. 18-20(張).(Yi, Gyu-bo. "Daejanggakpan gunsin gigomun(Jeongyu(1237)year)." Dongguk Isanggukjip. Vol.25, Japjo 18-20.)
  23. 이기영. 1976. 고려대장경 그 역사와 의의. 高麗大藏經, 제48권: 1-17. 서울: 동국대학교 역경원.(Yi, Gi-yeong. 1976. "Goryeo Daejanggyeong, geu yeoksawa uiui." Goryeo Daejanggyeong, 48: 1-17.)
  24. 이승재. 2006. 50권본 화엄경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ee, Seung Jae. 2006. Fifty-volume Edition of the Avatamska-Sutra.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5. 이병욱. 2011. 중국역경사. 역경학 개론, 129-180. 서울: 운주사.(Lee, Byeong Uk. 2011. "Jungguk yeokgyeongsa." Yeokgyeonghak Gaelon, 129-180. Seoul: Unjusa.)
  26. 장애순 외. 2006. 고려대장경의 편찬 배경. 고려대장경의 연구, 19-58.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Jang, Ae-sun. 2006. "Goryeo Daejanggyeongui pyeonchan baegyeong." Goryeo Daejanggyeongui Yeongu, 19-58. Seoul: Dongguk University Press.)
  27. 정재영. 2010. 南禪寺 所藏 高麗 初雕大藏經의 角筆資料에 대하여. 고인쇄문화, 17: 365-404.(Jeong, Jae Yeong. 2010. "Namseonsa sojang Goryeo Chojo Daejanggyeongui gakpil jalyoe daehayeo." Goinswae Munhwa, 17: 365-404.)
  28. 천혜봉. 2011. 초조대장경. 천년의 기다림, 초조대장경, 221-244. 서울: 성보문화재단.(Cheon, Hye-Bong. 2011. "Chojo Daejanggyeong." The First Tripitaka Special Exhibition, 221- 244. Seoul: Sungbo Cultural Foundation.)
  29. 청주고인쇄박물관. 2010. 고인쇄문화, 제17집. 청주: 청주고인쇄박물관.(Cheongju Early Printing Museum. 2010. Goinswae Munhwa. Vol.17. Cheongju: Cheongju Early Printing Museum.)
  30. 최종남 외. 2011. 역경학 개론: 불전(佛典)의 성립과 전승. 서울: 운주사.(Choi, Jong Nam, et al. 2011. Yeokgyeonghak Gaelon: Buljeonui Seonglibgwa Jeonseung. Seoul: Unjusa.)
  31. 최연주. 2009. 符仁寺藏 高麗大藏經 조성과 체제. 제1발표: 초조대장경의 성립 배경과 성격, 1-11. 고려시대 초조대장경과 부인사: 한국중세사학회․팔공산 부인사 공동학술회의. 2009년 9월 11일. [대구]: 팔공산 부인사 삼광루.
  32. 호림박물관. 2011. 천년의 기다림, 초조대장경. 서울: 성보문화재단.
  33. Max, Loehr. 1968. Chinese Landscape Woodcuts. Boston: Harvard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