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포제 종류 및 희석 농도에 따른 기포 콘크리트의 특성

Properties of Foamed Concrete According to Types and Concentrations of Foam Agent

  • Kim, Jin-Man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eong, Ji-Yong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Hwang, Eui-Hwan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Shin, Sang-Chul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10.05
  • 심사 : 2011.12.02
  • 발행 : 2012.02.29

초록

최근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을 시행하여 국가 총체적 차원에서 에너지 절감,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건물부문에서는 건물외피와 단열재의 열적 특성을 검토하여 건물 자체의 단열성능을 높임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건물부문의 에너지 절감을 목적으로 건물에 적용 가능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단열패널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서, 기포제 종류(AES, AOS, VS, FP)와 기포제 희석농도(1%, 3%, 5%), 기포율(30%, 50%, 70%)에 따른 기포 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을 검토하여 에너지 절감을 위한 단열재로서의 최적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발포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포제가 포함된 수용액의 표면장력은 AOS를 사용한 경우가 다른 기포제를 사용한 경우보다 낮게 나타났다. FP는 표면장력의 저하량이 크지 않고 발포율이 낮기 때문에 저농도로 희석한 경우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안정적이지 못한 기포가 생성되어 3% 이상 사용하여야만 비교적 안정적인 기포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였다. 또한, 압축강도와 열전도율은 저밀도 영역에서는 기포제 종류에 따른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고밀도영역에서 압축강도는 AOS와 FP, 열전도율은 VS와 FP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포농도와 기포율이 증가할수록 공극 크기는 커지며 열린공극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기포제에 대한 열전도율은 KS기준을 만족하여 우수한 단열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종합적인 분석 결과, FP를 농도 3%로 사용하여 제조한 시험체가 건물에 적용시 기포 콘크리트 단열패널로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발현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the government has been working feverously to save energy and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 by enacting Basic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at the national level. Improving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building exterior and insulator can reduce the energy in the building sector. This study is about developing light-weight foamed concrete insulation panel that can be applied to buildings to save energy and to find the optimal con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insulation materials that can save energy by enhancing its physical, kinetic and thermal characteristics. Various experimental factors and conditions were considered in the study such as foam agent types (AES=Alcohol Ethoxy Sulfate, AOS=Alpha-Olefin Sulfonate, VS=Vegetable Soap, FP=Fe-Protein), foam agent dilution concentration (1, 3, 5%), and foam percentage (30, 50, 70%). Experiment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rface tension of aqueous solution including foam agent, was lower when AOS was used over other foam agents. FP produced relatively stable foams in 3% or more, which produced unstable foams containing high water content and low surface tension when diluted at low concentration. Depending on foam agent types, compressive strength and thermal conductivity were similar at low density range but showed some differences at high concentration range. In addition, when concentrations of foam agent and foaming ratio increased, pore size increased and open pores are formed. In all types of foam agent, thermal conductivity were excellent, satisfying KS standards. The most outstanding performance for insulation panel was obtained when FP 3% was used.

키워드

참고문헌

  1. 박민화, "부산석고를 이용한 무기단열재 제조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pp. 6-11.
  2. 이승한,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연속공극 형성에 미치는 기포제의 영향,"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4권, 5호, 2002, pp. 742-749.
  3. Moore, W. J., Physical Chemistry,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1972, 220 pp.
  4. Karsa, D. R., Surfactants in Polymers, Coatings, Inks and Adhesives, Blackwell Publishing, UK, 2003, pp. 95-99.
  5. 笠井芳夫, 坂井悅郞, 新セメント.コンクリ用混和材料, 技術書院, 東京, 2007, pp. 272-280.
  6. 이승한, 박정준, 황보광수, "연속공극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의 흡음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학술대회 논문집, 12권, 2호, 2000, pp. 567-571.
  7. 김진만, 최훈국, 박선규, "기포제 종류에 따른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기포구조 및 열적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9권, 4호, 2009, pp. 63-73.
  8. Karsa, D. R., Surfactants in Polymers, Coatings, Inks and Adhesives, Blackwell Publishing, UK, 2003, pp. 219-220.
  9. Holmberg, K., Jnsson, B., Kronberg, B., and Lindman, B., Surfactants and Polymers in Aqueous Solution, John Wiley and Sons, England, 2003, pp. 1-2.
  10. 남기대, 계면활성제(I)-기계적 특성, 수서원, 1991, 220 pp.
  11. 서치호, 오세출, 김대희,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입한 기포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8권, 7호, 2002, pp. 59-67.
  12. 강철, "바텀애시 및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이용한 오토클레이브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개발,"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55 pp.
  13. Mehta, P. K. and Monteiro, P. J. M., Concrete : Micro-Structure, Properties, and Materials, McGraw-Hill, San Francisco, 2004, pp. 49-67.
  14. 손장열, 박진우, 안병욱,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에너지 절약 효과 향상을 위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7권, 2호, 1997, pp. 735-740.

피인용 문헌

  1. Experimental Studies and Detailing Suggestion for Reinforced Concrete Slabs with Steps vol.25, pp.4, 2013, https://doi.org/10.4334/JKCI.2013.25.4.447
  2. A Phys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According to Lightweight Aggregate Types and Foaming agent Types vol.28, pp.4, 2016, https://doi.org/10.4334/JKCI.2016.28.4.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