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usan Housing Market Dynamics Analysis with ESDA using MATLAB Application

공간적탐색기법을 이용한 부산 주택시장 다이나믹스 분석

  • Received : 2011.10.26
  • Accepted : 2012.01.30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isualize the housing market dynamics with ESDA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using MATLAB toolbox, in terms of the modeling housing market dynamics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The data are used the real housing price transaction records in Busan from the first quarter of 2006 to the second quarter of 2009. Hedonic house price model, which is not reflecting spatial autocorrelation, has been a powerful tool in understanding housing market dynamics in urban housing economics. This study considers spatial autocorrel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traditional hedonic model which is based on OLS(Ordinary Least Squares) method. The study is, also, investigated the comparison in terms of $R^2$, Sigma Square(${\sigma}^2$), Likelihood(LR) among spatial econometrics models such as SAR(Spatial Autoregressive Models), SEM(Spatial Errors Models), and SAC(General Spatial Models). The major finding of the study is that the SAR, SEM, SAC are far better than the traditional OLS model, considering the various indicators. In addition, the SEM and the SAC are superior to the SAR.

본 논문의 목적은 공간적탐색기법을 이용한 부산 주택시장 다이나믹스 분석으로써 MATLAB toolbox M-file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2006년부터 2009년 2분기까지 공개된 부산지역 아파트 실거래가 64,530개 자료를 기준으로 법정동을 분류하여 각 평균값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주택시장분석에 많이 이용되는 헤도닉가격 모형은 도시주택경제 분야에서 주택시장 다이나믹스를 설명하는데 강력한 분석기법의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헤도닉가격 모형은 공간적자기상관의 영향력을 반영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자기상관 관계를 반영한 다양한 공간계량모형, 예를 들어, 공간자기회귀모형(SAR), 공간오차모형(SEM), 일반공간모형(SAC) 등을 보통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전통적 헤도닉가격 모형과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결정계수($R^2$), 분산(${\sigma}^2$), 우도함수(Likelihood)의 값 등의 지표들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공간자기상관을 고려한 공간계량모형이 전통적 헤도닉모형에 비해 높은 설명력을 보여주고 있다. 공간계량모형에서는 공간오차모형(SEM)과 일반공간모형(SAC)이 공간자기회귀모형(SAR) 보다 우수한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L. Anselin, Spatial Econometrics: Method and Models.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88.
  2. J. P. LeSage, Spatial Econometrics, http://www.spatial-econometrics.com/, 1998.
  3. R. K. Pace, "Performing Large Spatial Regressions and Autoregressions," Economics Letters, Vol.54, pp.283-291, 1997. https://doi.org/10.1016/S0165-1765(97)00026-8
  4. 이성우, 윤성도, 박지영, 민성희, 공간계량모형응용, 서울: 박영사, 2006.
  5. S. Rosen, "Hedonic Prices and Implicit Markets : Product Differentiation in Pure Competi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82, No.1, pp.35-55, 1974.
  6. 임재현, "주택특성가격이론의 발전 모색", 한국행정학보, Vol.32, No.1. pp.247-261, 1998.
  7. 김성우, 정건섭, "부산 아파트 실거래가를 이용한 전통적 헤도닉 모형과 공간계량모형간의 적합도 관한 비교 연구", 부동산학연구, Vol.16, No.3 pp.41-55, 2010c.
  8. 김성우, 정건섭, "견고한 공간계량경제모형의 추정-층수를 고려한 3차원 공간가중행렬을 이용하여", 주택연구, Vol.18, No.3, pp.73-92, 2010a.
  9. 박헌수, 정수연, 노태욱, "공간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아파트가격과 공간효과분석", 국토계획, Vol.38, No.5, pp.115-125, 2003.
  10. 국토연구원, 공간분석기법, 한울아카데미: 438, 2004.
  11. 김성우, 정건섭, "주택정책을 위한 헤도닉모형 평가에 관한 연구: 공간계량모형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Vol.20, No.3, pp.115-134, 2010b.
  12. 최명섭, 김의준, 박정욱, "공간종속성을 고려한 서울시 아파트 가격의 공간 영향력", 지역연구 Vol.19, No.3, pp.61-80, 2003.
  13. R. A. Dubin, "Spatial Autocorrelation: A Primer," Journal of Housing Research, Vol.7, pp.304-327, 1998. https://doi.org/10.1006/jhec.1998.0236
  14. 박기호, " 근린가중행렬이 공간적 자기상관 추정에 미치는 형향 : 서울시를 사례로", 서울도시연구, Vol.5, No.3, pp.67-83, 2004.
  15. 김종원, "주택시장에서 공간자가상관의 검증 및 회귀계수의 추정", 경제학연구, Vol.48, No.2, pp.155-173, 2000.
  16. 서경천, 이성호, "공간적 자기회귀모델과 토지시장분할에 의한 효율적 지가추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Vol.36, No.4, pp.77-94, 2001.
  17. 허윤경, "도시별 주택가격의 공간적 영향력 검증: 서울과 부산의 아파트 가격을 중심으로", 주택연구, Vol.15, No.4, pp.5-23, 2007.
  18. A. Can, "Specification and Estimation of Hedonic Housing Price Model,"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Vol.22, No.3, pp.453-473, 1992. https://doi.org/10.1016/0166-0462(92)90039-4
  19. 이현석, 박성균, "공간자기상관을 고려한 권역별 등급별 오피스 임대료 결정요인분석", 국토계힉, Vol.45, No.2, pp.165-177, 2010.
  20. 김성우, 정건섭, "공간계량모형에서의 실제거리를 반영한 공간가중행렬에 관한 연구-부산아파트 실거래가를 중심으로", 주택연구, Vol.18, No.4, pp.59-80, 2010d.
  21. W. Tobler, "A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Economic Geography, Vol.46, pp.234-240, 1970. https://doi.org/10.2307/143141
  22. 김광구, "공간자기상관의 탐색과 공간회귀분석 의 활용", 정책분석평가학회보, Vol.13, No.1, pp.273-293, 2003.
  23. 국토해양부, http://rt.mltm.go.kr/
  24. R. A. Dubin, "Spatial lag and spatial revisited: some monte carlo evidence," Edited by Lesage and Pace. Advances in Econometrics, 2009, Vol.18, pp.75-98, 2009.

Cited by

  1. Analysis of Pattern Change of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in Seoul vol.22, pp.1, 2014, https://doi.org/10.7319/kogsis.2014.22.1.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