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Black Fashion Preference of Korean Women in Modern Era

현대 한국 여성의 블랙패션 선호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1.08.09
  • Accepted : 2011.11.23
  • Published : 2012.01.31

Abstract

From ancient to modern days, Koreans have preferred and even worshiped white clothes to the extent that they are called "the white-clad race", and the color black has seldom been used for women's clothes. In western countries too, it was only after Chanel that black color came to represent feminine beauty. Black clothes were introduced in Korea after the opening of its ports to foreign countries in 1876 and have mainly been worn as a practical clolor for winter coats and school uniforms. The traditional preference for white and other bright colors continued well into the 1980s. However,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caused by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influx of western cultures and ideas in the 1980s brought about the westernization of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resulted in the phenomenon of modern Korean women's preference for black fashion that became conspicuous from 1991.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fashion after the opening of the country in 1876, the spiritual values contained in preference for white clothes have been substituted by materialistic values as people accepted the practical beauty of black fashion, and the inclination toward intrinsic natural beauty intrinsic in the aesthetic senses that preferred white clothes has been replaced by the preference for modern, elegant and sensual beauties of black fashion whose preference has begun in the 1990s.

Keywords

References

  1. 금기숙 (1998), 조선복식미술, 파주: 열화당, p. 13.
  2. 권정아 (1992), 검은색 선호심리에 대한 의식조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이승옥 (1987), 유행색과 사회현상간의 관계성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영인, 문영애, 한소원 (1999), 한국 성인남녀의 의복선호색, 한국의류학회지, 24(7), pp. 964-975.
  5. 조정미 (1999), 성인 여성의 연령에 따른 복식색채 선호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12), pp. 1-11.
  6. 김영인, 고애란, 홍희숙 (1999), 의복 이미지 선호에 따른 20대 여성 정장시장 세분화 및 색채 선호도, 한국의류학회지, 24(1), pp. 3-14.
  7. 신주동, 최종명 (2007), 청주지역 대학생의 의복 선호색과 색채 이미지 연구, 생활과학연구논총, 10(2), pp. 251-259.
  8. 만리오 브루자틴, Histoire des couleurs, 이수균 역 (1996), 색 역사와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 미진사, p. 50.
  9. 존 하비, Men in black, 최성숙 역 (2008), 블랙패션의 문화사, 서울: 심산출판사, p. 94.
  10. 존 하비, Men in black, 최성숙 역 (2008), 블랙패션의 문화사, 서울: 심산출판사, p. 100.
  11. James Laver, Costume & fashion: a concise history, 정인희 역 (2005), 서양 패션의 역사, 서울: 시공사, p. 119.
  12. Lurie Alison, Language of clothes, 유태순 역 (1986), 의복의 언어, 서울: 경춘사, pp. 176-179.
  13. 곽혜선 (1998), 흑색의상의 조형성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복식, 37, p. 238.
  14. 김민자 외 (2010), 서양패션 멀티 콘텐츠, 서울: 교문사, p. 341.
  15. 송명희 (1997),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패션 비즈니스, 1(1), p. 113.
  16. Varie Mendes, Amy de la Haye, 20th century fashion, 김정은 역 (2003), 20세기 패션, 서울: 시공사, p. 21.
  17. 스티븐 베일리, 손효천 역 (1985), 인더스트리얼 디자인의 역사, 파주: 열화당, p. 28.
  18. 박혜원, 김여숙 (2001), 리틀 블랙 드레스의 계보를 통한 미적 특성 연구, 패션 비즈니스, 5(2), p. 3.
  19. 김기례 (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8), p. 1078.
  20. 송명희 (1997),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패션 비즈니스, 1(1), 114-115.
  21. 송명희 (1997),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패션 비즈니스, 1(1),115.
  22. 송명희 (1997),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패션 비즈니스, 1(1),119.
  23. 김영옥 외 (2009), 서양복식문화의 현대적 이해, 서울: 경춘사, p. 317.
  24. 김기례 (2003),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의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5.
  25. 김기례 (2003),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의 이미 지 변화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19.
  26. 송명희 (1997),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패션 비즈니스, 1(1), p.120.
  27. 김민자 외 (2010), 서양패션 멀티 콘텐츠, 서울: 교문사, pp. 346-347.
  28. 김은경, 김영인 (2006), 한국인의 백의풍속에 내재된 미의식, 복식, 56(7), p. 3.
  29. 김은경, 김영인 (2006), 한국인의 백의풍속에 내재된 미의식, 복식, 56(7), p. 3-4
  30. 김은경, 김영인 (2006), 한국인의 백의풍속에 내재된 미의식, 복식, 56(7), p. 4
  31. 이영혜, 최선영, 강순제 (2008), 복식에 나타난 흑색과 백색의 의미, 복식, 58(3), p. 53.
  32. 이인자 (2008), 한국의 조형미가 나타나는 예복 디자인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7-24.
  33. 고부자 (2001), 우리생활100년.옷, 서울: 현암사, p. 105.
  34. 류희경 외 (2008), 우리 옷 이천년(제2 개정판), 서울: 미술문화, p. 136.
  35. 고부자 (2001), 우리생활100년.옷, 서울: 현암사, p. 217.
  36. 채금석 (2007), 세계 패션의 흐름, 파주: 지구 문화사, pp. 280-281.
  37. 금기숙 외 (2002), 현대패션 100년, 서울: 교문사, p. 225.
  38. 박길순 (1991), 한국현대여성복의 발달에 미친 요인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25.
  39. 박길순 (1991), 한국현대여성복의 발달에 미친 요인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33-234.
  40. 김서연 (1994), 1980년대 한국여성복식의 현상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5-26.
  41. 이승옥 (1987), 유행색과 사회현상간의 관계성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8-50.
  42. 백선원 (1987), 여성의류의 색채 선호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성희진 (1995), 현대 한국 여성 양장에 나타난 색채와 문양의 기호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석재은 (1993), 성인여성의 자아개념과 의복색채 선호도와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김영인, 고애란, 홍의숙 (1999), 의복이미지 선호에 따른 20대 여성 정장시장 세분화 및 색채 선호도, 복식, 24(1), p. 10.
  46. 류금희, 박성주, 신옥 (2008), 우리나라 패션 마켓의 구매 선호색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지, 22(3), pp. 66-74.
  47. 경향신문, 국민일보, 내일신문, 동아일보, 문화일보, 서울신문, 세계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아시아투데이 (1990-2010), 자료 검색일 2011. 2. 28, http://www.kinds.or.kr
  48. "대한생명, 직장인 '옷' 취향 조사" (1991. 11. 13), 한겨레신문, p. 4.
  49. "검은색 옷 인기 상승" (1995. 12. 23), 동아일보, p. 22.
  50. "직장여성 옷차림/검정슈트 필수" (1996. 9. 1), 한국일보, p. 23.
  51. "여름거리 블랙물결" (1997. 7. 11), 문화일보, p. 24.
  52. "신부예복, 한번 입을 옷은 싫다" (1998. 3. 3), 경향신문, p. 14.
  53. "옷색갈에도 불황 그림자" (2000. 11. 25), 한겨레신문, p. 9.
  54. "패션 꼴불견, 시도 때도 없는 장례식 패션" (2001. 11.27), 한국일보, p. 34.
  55. "가을패션, 검은 것이 아름답다" (2005. 8. 19), 한국일보, p. 5.
  56. "올 패션 키워드, 블랙과 스키니 진" (2006. 12. 21), 경향신문, p. K13.
  57. "올해의 스타일, 되돌아본 패션계" (2006. 12. 15), 한국일보, p. B5.
  58. "블랙코드, 검은색 패션 겨울거리 점령" (2007. 12. 12), 동아경제, p. 3.
  59. "황진이, 눈으로 즐기기, 검은 화려함" (2007. 5. 25), 한겨레신문, p. 24.
  60. "레드카펫 위의 스타들 드레스 코드는 롱 & 블랙" (2008. 6. 28), 경향신문, p. K1.
  61. "올 가을을 점령하라, 패션 코드명 블랙" (2009. 10.16), 동아일보, p. C5.
  62. "연아는 세련, 마오는 로맨틱" (2010. 2. 26), 한국일보, p. 32.
  63. 홍익졸업앨범 (1987-2010).
  64. 이현송, 이필도 (1995), <장의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 38-40.
  65. 박정석 (2003), 도시지역의 장례공간과 장례방식에 대한 사례연구, 비교민속학, 25, p. 582.
  66. 윤은영 (2004), 현행 상례의식에 나타난 상복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8.
  67. "늦봄에 웬블랙" (1997. 5. 9), 한겨레신문, p. 12.
  68. "신부예복, 한번 입을 옷은 싫다" (1998. 3. 3), 경향신문, p. 14.
  69. "검은 가을, 거리 물들인다" (2002. 8. 27), 문화일보, p. 21.
  70. "블랙vs 노블랙, 부산국제영화제 레드카펫패션" (2006. 10. 20), 동아일보 Weekend, p. 3.
  71. "블랙코드, 검은색 패션 겨울거리 점령" (2007. 12. 12), 동아경제, p. 3.
  72. "황진이 눈으로 즐기기 검은 화려함" (2007. 5. 25), 한겨레신문, p. 24.
  73. "모든 파티는 블랙으로 통한다" (2009. 12. 4), 한국일보, p. 32.
  74. 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75. Varie Mendes, Amy de la Haye, 20th century fashion, 김정은 역 (2003), 20세기 패션, 서울: 시공사, p. 21.
  76. 김기례 (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8), p. 1078.
  77. 금기숙 (1998), 조선복식미술, 파주: 열화당,pp. 269-270.
  78. 이승옥 (1987), 유행색과 사회현상간의 관계성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8-50.
  79. 금기숙 (1998), 조선복식미술, 파주: 열화당, pp. 58-59.
  80. 최현배 (1974), 조선민족 갱생의 도, 서울: 정음사, pp. 80-81.
  81. 김은경, 김영인 (2006), 한국인의 백의풍속에 내재된 미의식, 복식, 56(7) pp. 10-16.
  82. 김은경, 김영인 (2006), 한국인의 백의풍속에 내재된 미의식, 복식, 56(7) p. 14.
  83. 금기숙 (1998), 조선복식미술, 파주: 열화당 p. 60.
  84. 금기숙 (1998), 조선복식미술, 파주: 열화당 pp. 156-160.

Cited by

  1. 무궁화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연구 vol.23, pp.1, 2021, https://doi.org/10.30751/kfcda.2021.23.1.61
  2. Study of the Types and Origin of Contemporary Korean Women’s Mourning Garments vol.71, pp.4, 2012, https://doi.org/10.7233/jksc.2021.71.4.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