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Expressive Features and Structural Meanings in Korean Men's Furniture of the 19th century

조선후기 사랑방 목가구의 표현과 의미 구조 분석

  • 김은정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라이프텍연구원) ;
  • 박영순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2.10.30
  • Accepted : 2012.12.10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of what principles cause the aesthetic shapes in Korean sarangbang furniture of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the Greimas' isotopic and semantic structure analysis, this research analyzed the traditional Korean men's furniture in four steps; signifier analysis, isotopic analysis, semantic structure analysis, and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ressive qualities of sarangbang furniture included visual symmetric aesthetics, and the hues of natural materials with dark tones. The manufacturing process emphasized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materials; while diversity was respected in decorations, function as restrained form was also important with a concise image.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sarangbang furniture revealed a balance, a harmony of contrastive elements, and a restrained aesthetics. Within these qualities, it was seen that aesthetic principles, such as "severance and communication," "artifice and nature," "restraint and manifestation," "toughness and softness," "filling and emptying" and "decoration and utility" were in a mutually supplementary relationship. At the basis of this aesthetic thought appears to be Confucianism, which had been the model for seonbi politics and scholarship.

Keywords

References

  1. 그레마스, 의미에 관하여-기호학적 시론, 김성도 역, 인간사랑, 서울, 1997
  2. 김삼대자, 전통 목가구, 중판, 대원사, 서울, 2006
  3. 김영무, 東洋의 20가지 가치관, 초판, 도서출판 동행, 서울, 2009
  4. 김윤배 최길열, 시각이미지 읽고쓰기, 초판, 도서출판 미담북스, 서울, 2005
  5. 남경숙 외 3인, 한국전통가구, 초판, 한양대학교 출판부, 서울, 2010
  6. 리빙하이, 동아시아 미학, 초판, 신정근 역, 도서출판 동아시아, 서울, 2010
  7. 박영규, 한국의 목가구, 초판, 삼성출판사, 서울, 1982
  8. 박영규, 한국 전통목가구, 초판, 한문화사, 고양, 2011
  9. 박영규 김동우, 목칠공예, 초판, 솔, 서울, 2005
  10. 박영순 외 7인, 우리 옛집 이야기, 초판, 열화당, 서울, 1999
  11. 배만실, 한국 목가구의 전통양식, 초판,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서울, 1988
  12. 빅토리아 D. 알렉산더, 예술사회학, 최샛별.한준.김은하 공역, 초판, 살림, 파주, 2010
  13. 신항식, 시각영상 기호학, 초판, 나남출판, 파주, 2005
  14. 세계사상사연구회, 간단 명쾌한 동양사상, 이소담 역, 시그마북스, 서울, 2010
  15. 오이환, 동아시아의 사상, 초판, 예문서원, 서울, 2003
  16. 윤일이, 한국의 사랑채, 초판, 산지니, 부산, 2010
  17. 윤재근, 동양의 본래미학, 초판, 나들목, 서울, 2006
  18. 이성무, 선비평전, 초판, 글항아리, 파주, 2011
  19. 이종석, 한국의 목공예 상(上), 하(下), 중판, 열화당미술책방, 서울, 2010
  20. 전경갑 오창호, 문화적 인간 인간적 문화, 초판, 푸른사상, 서울, 2003
  21. 최상헌, 조선 상류 주택의 내부공간과 가구, 초판,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서울, 2007
  22. 첸파핑, 한 권으로 읽는 유교, 최성흠 역, 초판, 산책자, 서울, 2008
  23. 토머스 먼로, 동양미학, 백기수 역, 초판, 열화당미술책방, 서울, 2002
  24. 노기욱, 조선시대 생활 목가구 연구, 전남대 박사논문, 2011
  25. 김정국.박경진, 한국의 전통문화와 조형의식, 한민족문화연구 5권, 1999
  26. 최병식, 조선시대 민예의 미적 특징, 동양철학연구 31권, 2002
  27. 천진희, 한국전통 실내공간의 구성방법과 요소 분석을 통한 의미 고찰, 디자인학연구 16권, 1996
  28. Roy D'Andrade, A Cognitivist's View of the Units Debate in Cultural Anthropology, Cross-cultural research Vol.35 No.2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