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현장체험학습장으로서의 도시묘지 활용

Use of Urban Cemetery for Field Trips

  • 이숙미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 오충현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 Lee, Sook-Mee (Dept. of Biological & Environmental Scienc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Oh, Choong-Hyeon (Dept. of Biological & Environmental Science, Dongguk University)
  • 투고 : 2012.05.14
  • 심사 : 2012.10.17
  • 발행 : 2012.12.31

초록

본 연구는 도시묘지가 갖는 현장체험학습장으로서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이다.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미국 사례와 우리나라 사례를 비교하여 차이점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묘지는 지역 내 현장체험학습장으로 충분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도시는 더욱 풍부한 교육자원을 가지게 되며, 주민과 학생에게는 현재보다 다양한 교육 기회가 제공될 수 있다. 미국 사례와 우리나라 사례를 비교한 결과 미국의 묘지에서 활발한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은 묘지를 정원이나 공원과 같이 경관적으로 아름답고 쾌적하게 조성하고, 생태적으로 건강한 숲으로 보전해 왔기 때문이다. 또한 지역사회 묘지를 현장체험학습 장소로 적극 활용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기피시설이나 혐오시설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할 수 있도록 묘지를 리모델링하고 장묘문화를 변화시킨다면 묘지가 도시지역에서 부족한 현장체험학습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is study found the possibility of using cemeteries within the locality as field trip destination. A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s active progress has derived the difference and the implications. Therefore, this article found that the cemetery has sufficient resources based on experience-learning place within the community. Therefore, when the active educational program was developed; it gained more abundant resources for education, as well as provided more different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s than now. As the result of comparison, the reason why the educational program is actively progressing in the American cemeteries is that a beautiful and fresh environment has been built up such as a park or garden in a cemetery and has been preserved as a healthy forest ecosystem. Furthermore, it is because they actively used the cemetery within a community as the subject. If our cemetery can be renovated and the funeral culture can be changed to break down the image of an avoidable unpleasant facility, it would play a role as a field for learning experi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혜(1999) 체험학습의 이론적 기초. 열린교육연구 7(2): 5-18.
  2. 교육과학기술부(2009)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해설.
  3. 김성경(2004) 도시하천을 활용한 현장학습 적용: 서울 양재천을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원중(2010) 망우리 공원묘지와 연계한 역사 수업 지도 방안. 서울시립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인호(1997) 환경교육의 활성화 방안-'환경교육장(場)' 활용을 중심으로. 환경과생명 12: 80-91.
  6. 김인호, 김귀곤(1998) 환경교육의 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11(1): 195-216.
  7. 김인호, 안동만(1997) 우리 나라 사적지 환경해설 현황과 방문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10(2): 191-211.
  8. 김호중(2003) 사회과 현장체험 학습과 지역사회 자원활용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민길홍(2008) 중학교 역사교육에서의 현장체험학습 활용방안: 서울지역 선사시대 내용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은경(2010) 중학교 교과과정 분석을 통한 자연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종천(2010) 상제례의 하국적 전개와 유교의례의 문화적 영향. 국학연구 17: 363-397.
  12. 박재영(2004) 지리교육에서 현장 체험학습을 통한 환경교육의 실천방안.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태호(2006) 장례의 역사: 고인돌부터 납골당까지, 숭배와 기피의 역사. 서울: 서해문집.
  14. 변성우(2010) 현장학습 장소로서의 지역하천 탐구-홍제천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서울특별시교육청(2007) 재미쑥쑥 신나는 현장체험학습.
  16. 송현(2009) 망우리 공원묘지의 역사문화체험학습 활용을 위한 개선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명기, 홍재호, 한승록, 이달우, 강원모(2000) 지역사회내의 현장 체험 학습장 활용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육연구 16: 53-91.
  18. 장철수(1995) 옛무덤의 사회사. 서울: 웅진출판.
  19. 정수정(2008) 국내 환경교육장(環境敎育場)의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008년 상반기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pp. 67-71.
  20. 정수정, 이재영(2009) 일본 환경교육시설 조사 분석과 시사점. 한국환경 교육학회. 2009년 학회 창립 20주년 기념 특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78-81.
  21. 정재승(2011) 고등학교 지리과 현장체험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학교교육연구 6(2): 71-97.
  22. 최석진, 김인호, 금지헌, 조길영(2010) 환경교육센터의 지정 방안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환경교육. 23(3): 126-139.
  23. 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2009) 국립묘지 종합 발전방안 연구.
  24. 황홍섭, 이상례(2001) 초등 사회과 현장학습 실태분석. 부산대학교 교육 대학원 논문집 3: 29-57.
  25. 홍기대(1999) 초등 사회과 지역조사 활동을 통한 현장 체험학습 지도. 사회과교육 32: 257-28.
  26. 홍석기(1997) 프랑스 묘지정책의 과제. 한국토지행정학회지 6(1): 165-186.
  27. Beiswenge, J. M.(1993) Experiments to Teach Ecology.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28. Bowden, S. H.(2006) Here lies.... Cemeteries as historical and artistic lessons for primary-age children: A teacher's K-W-L plan. Childhood Education 83(2): 87-91. https://doi.org/10.1080/00094056.2007.10522886
  29. Bruce, M., B. J. Smith and Cortland-Madison Board of Cooperative Educational Services, C.(1975) The Cemetery: An Outdoor Education Unit. Washington, D.C.: ERIC Clearinghouse.
  30. Carmack, S. D.(2002) Your Guide to Cemetery Research. Cincinnati: Betterway Books.
  31. File, P. and C. Roth(2009) These are Matters of Grave Importance. HistoryLink.org.
  32. Greene, M.(2008) Rest in Peace: A History of American Cemeteries. Mineapolis: Twenty-First Century Books.
  33. Heywood, J. and C. L. Breitkreutz(2002) Mount Auburn Cemetery: A New American Landscape. Teaching with Historic Places. National Park Service.
  34. Hohn, F.(2010) Human Population Dynamics. Activity: Cemetery Demographics. Acton-Boxborough Regional High School.
  35. Hurst, D. L.(1977) A Cemetery Study. Washington, D.C.: ERIC Clearinghouse.
  36. Lee, M.(1969) The Cemetery. Taft Campus Occasional Paper No.1.
  37. Pennel, E.(2005). Historic Cemeteries: History Written in Stone. Arkansas Historic Preservation Program.
  38. Ramirez, V.(2010) A Trip to the Cemetery. Community Historical Archaeology Project with Schools.
  39. Smith, S.(2003) Cemeteries-Windows to the Past. Curriculum Associates.
  40. Urban Resource Initiatives(2010) Open Spaces as Learning Places- Cemetery Unit. Open Spaces as Learning Places Curriculum. Yale School of Forestry & Environmental Studies.
  41. http://315.mpva.go.kr
  42. http://419.mpva.go.kr
  43. http://518.mpva.go.kr
  44. http://environment.yale.edu
  45. http://eric.ed.gov
  46. http://royaltombs.cha.go.kr
  47. http://www.berlin.de
  48. http://www.crezone.net
  49. http://www.dnc.go.kr
  50. http://www.icnc.go.kr
  51. http://www.isnc.go.kr
  52. http://www.kcpt.org/stories
  53. http://www.lessonplanet.com
  54. http://www.nps.gov
  55. http://www.sen.go.kr
  56. http://www.snmb.mil.kr
  57. http://www.yanghwajin.co.kr
  58. http://www.ycnc.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