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울시 가로경관 특성화 및 녹량증진을 위한 가로녹지 개선 방안

Improvement on Street Greenery for the Landscape Specialization and Increase of Green Volume on the Streets of Seoul

  • 투고 : 2012.10.08
  • 심사 : 2012.11.17
  • 발행 : 2012.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있는 가로를 토지이용별로 분류하여 녹량 특성과 경관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가로는 서울시에서 이용률이 높은 가로이면서 보도가 넓어 녹지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잠재성이 큰 가로인 광로만으로 한정하였다. 가로 유형별 녹량 및 경관 현황을 종합하여 보면 가로유형에 상관없이 양버즘나무와 은행나무가 대표 가로수종으로 식재되었고 가로별 녹시율은 주거지역 51.6%, 녹지지역 50.4%, 상업지역 45.2%, 업무지역 43.7% 순으로 나타났다. 주거지역을 제외한 지역에는 가로 띠녹지가 거의 없었고 가로별 녹피율은 업무지역 71.0%, 녹지지역 64.0%, 주거지역 37.3%, 상업지역 36.2% 순이며 녹지용적계수는 평균 $1.9m^3/m^2$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로 주거지역가로는 풍부한 녹의 커뮤니티공간과 4계절 화관목 경관제공을 목표로 하였고, 상업지역가로는 화목류와 단풍으로 상가 이미지 부각을 하되 서비스행위 및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제안하였다. 업무지역가로는 녹량과 녹시율 증가 및 도심이미지에 어울리는 가로공간 연출을 목표로 하였고, 녹지지역가로는 자생종 위주의 다층식재 및 주변산림과 연계를 통한 야생동물 은신처, 서식처 제공을 위한 가로공간 조성을 목표로 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specifically analyze green volume and scenery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the streets in Seoul and suggest improvements accordingly. The subject streets for research were limited to those that have high occupancy ratio and are wide enough to have a big potential in improving green volume. In terms of green volume and scenery according to the types of streets, Platanus occidentalis and Ginkgo biloba were most common regardless of the street type, and the green ratio was 51.6% in residential areas, 50.4% in commercial areas, and 43.7% in business areas. Apart from the residential area, there was almost no green areas, and the ratio of green coverage was 71.0% in business areas, 64.0% in green areas, 37.3% in residential areas, and 36.2% in commercial areas, while the green volume coefficient was $1.9m^3/m^2$ on average.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was set as a goal to provide the residential areas with a green community space and flowering trees throughout the year for scenery, and commercial areas with flowering trees and maples to emphasize the stores' image while not interfering with service and walking. For business areas, the goals were to improve green ratio and create streets that suit the urban image, and to set up spaces to provide habitat for wild animals with multi-layer planting and link to surrounding fores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범수, 신원섭(2007) 지방도시 가로 녹지의 존재효과에 대한 보행자와 상업종사자의 의식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6(2): 159-169. https://doi.org/10.5322/JES.2007.16.2.159
  2. 박석철(2009) 도시 근린공원 식재기능 평가지표 개발 연구. 경기도 안산시를 사례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09
  3. 박용진, 김태경(2000) 가로수식재체계수립. 한국조경학회지 8(5): 93-103.
  4. 성현찬, 민수현, 문다미(2002) 경기도 가로수의 식재 및 관리 개선방안. 경기개발연구원. pp.296
  5. 성현찬, 민수현(2003) 도시녹지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도심 가로수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2): 48-57.
  6. 이경재(1992) 우리나라 도시 가로수 실태와 개선책. 도시가로환경의 정비. 도시문제 32(345): 21-29.
  7. 정강욱(2004) 가로수 녹지체계 정립과 합리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1.
  8. 조용현(2006) 경관 시뮬레이션을 통한 가로 녹시율 증진방안 및 목표수준 설정. 서울시를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34(2): 26-35.
  9. 한봉호(1995) 서울시 가로수 생육환경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6.
  10. 한봉호(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71
  11. Peter, W. T.(1983) The management of urban street trees using computerised inventory systems. Arboricultural Journal 54: 101-117.

피인용 문헌

  1. Comparative Analysis of Anion Concentration by the Type of Roadside Buffer Green vol.23, pp.7, 2014, https://doi.org/10.5322/JESI.2014.23.7.1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