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Fiel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mprove the cultural practice of potato by analysing its tuberization patterns. Tuberization patterns affected by different altitudes was analyzed at two potato cultivation regions, Jinbu (600 m) and Daegwallyung (800 m) using two potato cultivars, 'Superior' and 'Atlantic'. To analyse tuberization patterns affected by different planting time, seed potatoes were planted at every 10 days from April 19 to May 19 in Daegwallyung. Total dry weight was greater in plant grown at the altitude of 800 m than 600 m during the entire growth period and the highest increase was observed at the early growth period, July 6, comparing to other growth period. The total dry weight was the greatest at 110~112 days after planting (DAP) at the altitude of 800 m and 108~111 DAP at 600 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titudes and between cultivars. Tuber dry weight per plant at the altitude of 600 m was lower than 800 m on July 6 (58 DAP), but it increased rapidly from July 21 (73 DAP). At both altitudes, the increase of tuber dry weight per plant from July 6 to August 8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wth period. The time of growth period at which tuber dry weight per plant was the highest was similar at both altitudes that was 118~125 DAP at the altitude 800 m and 118~124 DAP at the altitude 600 m. Dry weight per tuber at the altitude 800m was higher than 600 m due to the number of tubers per plant. A higher increase of crop growth rate (CGR) was shown at the altitude 600 m on July 6 (58 DAP), comparing to at 800 m. The highest tuber dry weight per plant of each cultivar was shown when the planting time was April 29 for 'Superior' and was April 19 for 'Atlantic'. Both the tuber dry weight of plant and the total dry weight were lower at a later planting time. Dry weight per tuber increased quickly during the period between June 30 to August 8. Tuberization period was shortened as the planting time was delayed.
감자 괴경의 비대 반응을 해석하여 재배기술을 개선하고자 2005년에 표고별 괴경의 비대반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관령(표고 800 m)과 진부(표고 600 m)에서 수미와 대서 2품종을 노지에서 시험하였다. 또한 파종시기별 괴경의 비대반응을 구명하고자 대관령(표고 800 m)에서 4월 19일부터 5월 19일까지 10일 간격으로 4시기에 노지에 파종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표고에 따른 비대반응을 보면 총 건물중은 표고 800 m에 비하여 표고 600 m에서 전 생육기간 동안 높게 유지되었으며, 생육초기인 7월 6일(파종 후 58일)에 증가 정도가 가장 컸다. 총 건물중이 최고에 달한 시기는 표고 800 m에서는 파종 후 110~112일이었으며, 표고 600 m에서는 파종 후 108~111일로 표고 및 품종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주당 괴경 건물중은 표고 800 m에 비하여 표고 600 m에서 7월 6일(파종 후 58일)은 적었으나 7월 21일(파종 후 73일) 이후부터는 높게 유지되는 경향이었으며, 2지역 모두 7월 6일(파종 후 58일)부터 8월 8일(파종 후 91일)에 주당 괴경 건물중의 증가정도가 컸다. 주당 괴경 건물중이 최고에 달한 시기는 표고 800 m에서는 파종 후 118~125일이었으며, 표고 600 m에서는 파종 후 118~124일로 표고 간에는 유사하였다. 괴경당 건물중은 표고 600 m에 비하여 표고 800 m에서 증가되었다. CGR은 표고 800 m에 비하여 표고 600 m에서 생육초기인 7월 6일(파종 후 58일)에 증가 정도가 가장 컸다. 파종시기별 괴경의 비대반응은 괴경 건물중(수확시기)은 총 건물중과 동일한 경향으로 수미는 4월 29일 파종 시 가장 증가되었으며, 대서는 수미에 비해 10일이 빠른 4월 19일 파종 시 가장 증가되었다. 괴경의 건물중은 6월 30일부터 8월 8일에 증가정도가 가장 컸다. 주당 괴경 건물중이 최고에 달한 시기는 4월 19일 파종 시는 파종 후 139~144일, 5월 9일 파종 시는 파종 후 121~126일, 5월 19일 파종 시는 파종 후 111~113일로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단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