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Basic Skill Factors for KTA Players Using the Partial Cannonical Correlation Biplot Removing the Linear Effect of the Set of Covariate Variables and Procrustes Analysis

공변량요인 효과를 제거한 편정준상관 행렬도와 프로크러스티즈 분석을 응용한 남자 테니스선수의 체력요인 및 기초기술요인에 대한 분석연구

  • Choi, Tae-Hoon (Department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Andong Science College) ;
  • Choi, Yong-Seok (Department of Statist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600
  • Accepted : 20111100
  • Published : 2012.01.30

Abstract

The generalized canonical correlation biplot is a 2-dimensional plot to graph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e than three sets of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rvations and variables. Recently, Choi and Choi (2010)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physique, physical fitness and basic skill factors of Korea Tennis Association(KTA) players of using this biplot; however we consider the set of covariate variables affecting the linearly on two sets of variables. In this case, if we apply the generalized canonical correlation biplot, we cannot clearly interpret the other two sets of variables due to the effect of the set of covariate variables. Moreover, Yeom and Choi (2011) provided partial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hat removed the linear effect of the set of covariate variables on two sets of variables. In addition, Procrustes analysis is a useful tool for comparing shape between configurations. In this study, we will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basic skill factors of KTA players of using a partial canonical correlation biplot and Procrustes analysis. We compare shapes and shape variabilities for the generalized, partial and simple canonical correlation biplots.

일반화 정준상관 행렬도(generalized canonical correlation biplot)는 정준상관분석에서 세 변수군 이상에 의해서 측정된 다변량 자료에서 변수 집단 간의 관계와 개체들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2차원 그림이다. 최근에 이를 활용하여 최태훈과 최용석 (2010)은 2004년 대한테니스협회(KTA)에 등록된 남자선수들 중 상위 50명을 대상으로 세 변수군인 체격요인변수군, 체력요인변수군 그리고 기초기술요인변수군의 상호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이들 분석에서 체격요인변수군이 나머지 두 변수군과 독립적이지 못하고 선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어 이를 공변량변수군으로 고려하였다. 이와같이 세 변수군에서 한 변수군이 공변량(covariate)으로 영향을 주는 경우 이를 제거한 정준상관분석을 편(partial)정준상관분석이라 하며 이와 관련된 편정준상관 행렬도를 염아림과 최용석 (2011)은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태훈과 최용석(2010)의 분석에서 체격요인변수군의 영향을 제거하고 체력요인변수군과 기초기술요인변수군의 관계를 살펴보는 편정준상관 행렬도의 활용의 예를 보이고 기존 연구의 일반화 정준상관 행렬도, 편정준상관 행렬도, 정준상관 행렬도의 결과를 서로 비교하고자 한다. 덧붙여 이들 행렬도간의 형상변동 차이를 프로크러스티즈 분석을 활용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염아림, 최용석 (2011). 편정준상관 행렬도, <응용통계연구>, 24, 559-566.
  2. 최용석 (2006). <행렬도분석>, 기초과학 총서 2권, 부산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3. 최용석, 현기홍 (2006). <통계적 형상분석의 이해와 응용-프로크러스티즈 분석의 저항성 버전 연구 및 개발->, 자유아카데미, 서울.
  4. 최태훈, 최용석 (2008). 정준상관 행렬도와 군집분석을 응용한 KLPGA 선수의 기술과 경기성적요인에 대한 연관성분석, <응용통계연구>, 21, 429-439.
  5. 최태훈, 최용석 (2010). 일반화 정준상관 행렬도와 프로크러스티즈 분석을 응용한 대한테니스협회 등록 선수의 체격요인, 체력요인 및 기초기술요인에 대한 분석연구, <한국통계학회논문집>, 17, 917-925.
  6. 최태훈, 최용석, 신상민 (2009). 테니스그랜드슬램대회의 선수특성요인과 경기요인에 대한 분석연구- 정준상관 행렬도와 프로크러스티즈 분석의 응용-, <응용통계연구>, 22, 855-864.
  7. 허명회 (1993). <統計相談의이해>, 자유아카데미, 서울.
  8. 허명회 (1999). <다변량수량화>, 자유아카데미, 서울.
  9. 홍현욱, 최용석, 신상민, 강창완 (2010). 결측값이 있는 정준상관행렬도의 형상변동 연구, <응용통계연구>, 23, 955-966.
  10. Choi, Y. S. (1991). Resistan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iplot and Correspondence Analysis,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Department of Statistics, Korea University.
  11. Choi, Y. S., Hyun, G. H. and Kim, J. G. (2005a). A numerical comparison of map variability in SCA Using the Procrustes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7, 1531-1538.
  12. Choi, Y. S., Hyun, G. H. and Yun, W. J. (2005b). Biplots' variability based on the Procrustes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7, 1925-1933.
  13. Gabriel, K. R. (1971). The biplot graphics display of matrices with applications to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iometrika, 58, 453-467. https://doi.org/10.1093/biomet/58.3.453
  14. Park, M. R. and Huh, M. H. (1996). Canonical correlation biplot, The Korea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3, 11-19.
  15. Timm, N. H. (2002). Applied Multivariate Analysis, Springer,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