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Impulsive Behavior, Self Esteem, and Depression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청소년의 충동성, 자아존중감, 우울수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1.11.25
  • Accepted : 2011.12.14
  • Published : 2012.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impulsive behavior, self esteem, and depression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The original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from the sample of 415 middle school students se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 to November 30, 2010. The data was conducted by using a correlations coefficient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chool adjustment correlates with the impulsiveness(r= -.53), the self esteem(r= .51), and the depression(r= -.56). Secondly, the school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cademic performance, impulsiveness, self esteem, and depression, which explained 51.8% of variance in school adjustment.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impulsiveness, self esteem,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Therefore, programs for prompting adolescents's school adjustment should be a planned based on results of the study.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충동성, 자아존중감, 우울 정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2010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K시 소재 2개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415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 적응은 충동성(r= -.53), 자아존중감(r= .51), 우울 정도(r= -.56)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설명해주는 변인으로 학업성적, 충동성, 자아존중감, 우울 정도가 나타났으며, 51.8%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충동성, 자아존중감, 우울 정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증진하기 위한 간호중재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노성호, 청소년의 이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9.
  2. 곽수란, "청소년의 학교적응도 분석", 교육사회학 연구, 제16권, 제1호, pp.1-26, 2006.
  3. 정옥분, 청년발달의 이해, 학지사, 2005.
  4. 교육과학 기술부, 학교와 교육청이 학교부적응학생 예방위해 발 벗고 나선다, 교육과학기술부, 2008.
  5. 윤흥식, REBT 집단상담을 도입한 원예치료가 학교생활 부적응 중학생의 충동성 감소와 자아존중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6. 김문숙, 조돈구,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조형연구소논문집, 제7권, 제2호, pp.221-234, 2007.
  7. 조해연,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과 성격특성 변인 연구-자기효능감, 자기통제감, 공격성, 충동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8. M. R. Bruchinal, J. E. Roberts, S. A. Zeisel, and S. J. Rowley, "Social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African America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adjust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middle 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Vol.44, No.1, pp.286-292, 2008. https://doi.org/10.1037/0012-1649.44.1.286
  9. E. S. Barratt and R. White, "Impulsiveness and anxiety related to medical students' performance and attitudes," J. of Medical Education, Vol.44, No.7, pp.604-607, 1969.
  10. 김종수, 범죄청소년의 성격차원 성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0호, pp.268-277, 2008.
  11. 서유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아동의 동조행동, 충동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2. 이현수, 충동성 검사 실시 요강, 한국가이던스, 1992.
  13.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4. 전병재,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제11권, pp.107-129, 1974.
  15. 김성일, 정용철, "청소년의 우울성향과 가정환경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제33권, 제1호, pp.5-27, 2001.
  16.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1, pp.385-401, 1977.
  17. 전겸구, 이민규,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한국심리학회지, 제 11권, 제1호, pp.65-76, 1992.
  18. J. H. Boyed, M. M. Weissman, W. D. Thompson, and J. K. Myers, "Screening for depression in a community sample. Understanding the discrepancies between depression symptom and diagnostic scale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39, No.10, pp.1195-1200, 1982. https://doi.org/10.1001/archpsyc.1982.04290100059010
  19. 김춘희,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0. 박현선,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 유연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21. 이규미, "중학생의 학교적응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17권, 제2호, pp.383-398, 2005.
  22. 조미선, 부모지지와 자기통제 및 충동성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3. 남영자,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 16권, 제 4호, pp.47-71, 2009.
  24. 김명식, "일 도시의 남녀 중학생 우울증 유병율과 우울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9권, 제2호, pp.645-658, 2008.
  25. 조성진, 전흥진, 김무진, 김장규, 김선욱, 류인균, 조맹제, "한국 일 도시지역의 청소년 우울 증상 유병률과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40권, 제4호, pp.627-639, 2001.
  26. J. E. Fleming and D. R. Offord, "Epidemiology of childhood depressive disorders: A critical review," J of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hychiatry, Vol.29, No.4, pp.571-580, 1990. https://doi.org/10.1097/00004583-199007000-00010
  27. 배정이, "우리나라 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 정신간호학회지, 제15권, 제3호, pp.308-317, 2006.
  28. 김정숙, 청소년의 심리적 변인, 인터넷게임 중독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Cited by

  1. Exploring relationships among Korean Children's Depression, Smartphone Addi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Partial Least Square (PLS) Path Modeling vol.11, pp.12, 2013,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2.49
  2. Effects of Family Function, Impulsive Behavior and Stress on Bullying Types of Adolescents vol.14, pp.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319
  3. Effects of Learning Strategies, Negative Affect, and Academic·Social Adapt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vol.14, pp.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490
  4.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Family on Adolescents' Depression vol.14, pp.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