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n Recovery Oriented Integrated Rehabilitation Program for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회복지향의 통합재활프로그램의 효과

  • 봉은주 (국립나주병원 재활.정신건강연구소) ;
  • 시영화 (국립나주병원 재활.정신건강연구소) ;
  • 박명숙 (국립나주병원 재활.정신건강연구소) ;
  • 배경희 (국립나주병원 재활.정신건강연구소) ;
  • 정미진 (국립나주병원 재활.정신건강연구소) ;
  • 양미화 (국립나주병원 재활.정신건강연구소) ;
  • 김송자 (국립나주병원 재활.정신건강연구소)
  • Received : 2011.10.05
  • Accepted : 2011.01.05
  • Published : 2012.01.28

Abstract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a recovery oriented integrated rehabilitation program on cognitive social function, rehabilitation motivation, and mental health recovery. This program is involved motivation enhancement program with 4 subprograms composed of cognitive rehabilitation, emotion management, vocational rehabilitation, family education program. The subjects were 34 patirents with schizophrenia who had been hospitalized at National Mental Hospital on local area. The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ith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18 patients) and a control group(16 pati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 0. The results of the data show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ymptom, cognitive and social funct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readiness of rehabilitation(maintenance, p=.027) and mental health recovery (p=.039). Short term recovery oriented integrated rehabilitation programs in inpatient settings are more available for motivation of rehabilitation and mental health recovery than symptom reduction or functional improvement.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efforts to create more recovery oriented service provision in clinical settings.

본 연구는 회복지향의 통합재활프로그램이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증상, 인지 사회적 기능, 재활동기, 정신건강회복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인지분화, 정서관리, 직업재활, 가족교육으로 구성된 4개의 소프로그램과 함께 동기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연구대상은 지방소재의 일개 국립병원에 입원한 정신신분열증 환자로, 실험군 18명과 대조군 16명으로 구성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인지 사회적 기능에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으나, 재활동기수준(유지단계에서 p=.027)과 정신건강회복수준(p=.039)에서만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제한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입원세팅에서 단기간의 회복지향의 통합재활프로그램은 증상감소나 기능향상보다는 재활 동기나 정신건강회복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임상세팅에서 보다 회복지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H. D. Brenner, V. Roder, B. Hodel, N. Kienzle, D. Reed, and R. P. Liberman, "Integrated Psychological Therapy for Schizophrenic Patients," Germany, Hogrefe & Huber Publishers, pp.13-34, pp.35-41, pp.60-66, pp.101-108, 1994.
  2. 이만홍, 이희상, 조현상, 현명호, 안석균,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통합심리치료의 효과",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pp.1074-1085, 1998.
  3. H. D. Brenner, B. Hodel, and R. Genner, "Biological and cognitive vulnerability factors schizophrenia : implication for treatment,"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61, pp.154-163, 1992. https://doi.org/10.1192/bjp.161.2.154
  4. V. Roder, D. R. Mueller, K. T. Mueser, and H. D. Brenner, "Intergrated psychological therapy (IPT) for schizophrenia: Is it effective?," Schizophrenia Bulletin, Vol.32, No.S1, pp.S81-S93, 2006. https://doi.org/10.1093/schbul/sbl021
  5. A. Roder, B. Jenull, and H. D. Brenner, "Teaching schizophrenic patients recreational, residential and vocational skills,"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pp.35-41, 1998.
  6. 이만홍, 이희상, 조현상, 안석균, 현명호, 김태용, 김장우, 최충식, 이연희, 송선미, 유계준, "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인지재활훈련 프로그램의 개발;한국형 인지분화훈련 프로그램", 대한신경정신의학회, Vol.38, No.2, pp.375-388, 1999.
  7. 장선영, "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을 위한 통합재활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8. 장선영,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을 위한 통합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4, pp.127-163, 2002.
  9. C. Briand, H. M. Vasiliadis, A. Lesage, P. Lalonde, E. Stip, L. Nicole, D. Reinharz, A. Prouteau, V. Hamel, and K. Villeneuve, "Including integrated psychological treatment as part of standard medical therapy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clinical outcome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194, No.7, pp.463-470, 2006. https://doi.org/10.1097/01.nmd.0000225120.92431.29
  10. A. Hatfield, "Serving the unserved in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s," Psychosocial Rehabilitation Journal, Vol.3, No.2, pp.71-82, 1989.
  11. 김철권, 강동호, 조진석, 심경순, 하준선, 변원탄, 이부영, "지역사회 복지관을 이용한 정신분열병의 정신사회재활 효과", 정신보건, Vol.2, No.1, pp.52-66, 1997.
  12. 박미애, " 만성정신질환자의 재활준비도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13. 김이영, "정신장애인의 재활동기와 재활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25, No.3, pp.623-637, 2006.
  14. A. M. Yamada, K. K. Lee, T. Q. Dinh, C. Barrio, and J. S. Brekke, "Intrinsic motivation as a mediator of relationships between symptoms and functioning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in a diverse urban community,"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198, No.1, pp.28-34, 2010. https://doi.org/10.1097/NMD.0b013e3181c8aa71
  15. 허만세, "지역사회 정신사회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장애인의 증상 및 사회기능의 변화",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9, pp.94-121, 2008.
  16. 최윤정, 최송식, "정신장애인의 회복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6, pp.111-143, 2007.
  17. 배정규, 손명자, 이종구, "정신장애인의 재기태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모형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28, No.3, pp.811 -831, 2009.
  18. 신정이, " 정신장애인의 정신보건 성과에 관한 구조모형 비교 연구: 회복과 사회적응의 관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9. P. E. Deggan, "Recovery: The lived experience of rehabilitation," Psychosocial Rehabilitation Journal, Vol.11, No.4, pp.11-19, 1988. https://doi.org/10.1037/h0099565
  20. W. A. Anthony,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The guiding vision of the mental health services system in the 1990s," Psychosocial Rehabilitation Journal, Vol.16, No.4, pp.11-23, 1993. https://doi.org/10.1037/h0095655
  21. W. A. Anthony, "A Recovery-oriented service system: level standar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Journal, Vol.23, No.4, pp.59-168, 2000.
  22. M. P. Sayler, J. Tsai, and T. A. Stultz, "Measuring recovery orientation in a hospital setting,"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Vol.31, No.2, pp.131-7, 2007. https://doi.org/10.2975/31.2.2007.131.137
  23. 최윤정, " 지역사회통합을 통한 정신장애인의 회복전략",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Washington DC.; 1994.
  25. 염태호, 박영숙, 오경자, 김정규, 이영호, K-WAIS 실시요강, 한국가이던스, 1992.
  26. 홍창희, "한국 정서표현성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1, No.4, pp.133-148, 2007.
  27. H. A. Becker, Assertive Job-Hunting Survey(AJHS). In : Measures for clinical practice: A Sourcebook 2nd ed, Ed by Fischer J, Corcoran K(197), The Free Press, 1980.
  28. 서진환, " 정신분열증환자를 위한 직업재활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9.
  29. J. J. Hilberger, "Stages of change in readiness for rehabilitation services among people with severe and persistent mental ill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Chicago, Illinois, 1995.
  30. S. L. Young and W. A. Bullock, The Mental Health Recovery Measure(MHRM). Presented at the 111th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Meeting, Toronto, Canada; 2003.
  31. 배안, 홍창희, "정신건강회복 척도의 타당화 연구", 신경정신의학, Vol.49, No.6, pp.593-603, 2010.
  32. 차선경, "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정서관리 프로그램 개발 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33. 서진환, 이만홍, "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해 개발된 직업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신경정신의학, Vol.39, No.1, pp.89-99, 1999.
  34. 송경옥, "한국어판 정신건강회복척도(MHRM-K)의 신뢰도 타당도 평가",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4, pp.154-188, 2010.
  35. 이경진, 송순인, "정신장애인을 위한 회복프로그램",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0, pp.451-466, 2008.
  36. 강덕규, " 정신장애인의 변화동기 분석과 동기향 상프로그램의 효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7. 고문희, "만성정신분열증환자의 희망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대한간호학회지, Vol.35, No.3, pp.555-564, 2005.
  38. W. Sowers, Transforming systems of care: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ommunity Psychiatrists guidelines for recovery oriented services.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Vol.41, No.6, pp.757-774, 2005. https://doi.org/10.1007/s10597-005-64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