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ggestion of the Developing the Dance Major Curriculum on the Basis of Employment

시장중심 무용학과 교과과정 모형 개발 제안

  • 최윤선 (서울기독대학교 무용학과)
  • Received : 2011.10.21
  • Accepted : 2011.12.06
  • Published : 2012.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proposal an oriented-market curriculum of related dance major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curriculum and graduates' employment rate and occupational category of ten universities for last 3 years. This study suggested that Employment rate of the related-dance department graduates decreased considerably last year, which frist asked health insurance for calculating employment rate compared with 2008, 2009 year. The occupational category which is related dance occupied over half of whole occupation and office and sport job were taken to scale. It was necessarily to set up subjects such as body structure and function, administration, management, IT, integration, performance project, pedologics, and gerontology to meet the demand of times. The development of new job market which is connected with related-job subjects will be needed to increase employment rate and variety of occupational category of graduates from dance department.

이 연구는 무용관련전공 졸업생들의 취업률과 취업 경로를 분석해 현행 무용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과과정이 무용전공 졸업생들의 취업 경로와 연관성이 있는가를 살펴보아 시장 지향적 무용전공 교과과정 모형개발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경인 지역 무용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10개 대학을 선정해 최근 3년 동안의 취업률, 취업 경로, 교과과정을 분석 했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무용관련전공 졸업생들의 취업률은 건강보험 가입 조건이 취업률 산정에 고려된 2010년도의 경우 20% 대의 아주 낮은 취업률을 보였으며, 취업률의 비는 해마다 침체되고 있었다. 취업 경로는 무용관련 직종이 과반 이상을 차지했고, 무용과 관련 없는 사무관련 직종과 스포츠 직종도 일정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취직 경로에 맞춰 자격증 교과목, 신체 구조와 기능과 관련된 체육과목, 행정, 경영, IT와 관련된 교과목, 융 복합 교과목, 공연 기획 관련 교과목, 아동 및 노인 관련 교과목 개설의 다양성과 확장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취업 기반으로 개설된 교과목 중에 취업 시장에 기여하지 못하는 교과목은 이에 관련된 취업 시장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경, 무용전공특성에 따른 직업기대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2. 김영옥, "대학무용과의 교과과정과 취업에 대한 연구", 대한 무용학회, 제53호, pp.24-37, 2007.
  3. 박기선,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취업인식도 및 교과과정 조사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4. 양지현, 무용 교과과정에 대한 견해 차이에 따른 취업기대 분석,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5. 유봉호, 현대교육과정, 서울, 대방출판사, 1982.
  6. 유봉호, 현대교육과정, 교학연구사, 1993.
  7. 이승철, 대기업에서 바라보는 인재 상, 대학교육 7-8, Vol.166, 2010.
  8. 이정식, 대학무용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9. 이정진, 무용 전공자들의 진로를 위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1.
  10. 이정희, 대학 무용학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11. 이윤혜, 사회활동에 필요한 무용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2. 이성호, 대학교육과정론, 서울 연세 대학출판부, 1992.
  13. 이태현, 교과과정에 의한 사회 활동 방향, 세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5.
  14. 정선미, 무용과 대학원 교과과정 체제 분석에 의한 전공별 진로 방향 모색-서울 시내 소재 및 경인지역 8개대학을 중심으로-, 경희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15. 최오일, 무용전공학생의 진로성향과 교과과정의 연계성 강화 방안,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16. 박선희, 대학 무용교육 교과과정에서의 지도자 양성을 위한 방향 모색,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17. http://www.academyinfo.go.kr.
  18. 정미란, "국내 직업무용단의 웹사이트 콘텐츠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제7권, 제10호, pp.311-320,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