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Psychosocial Well-being and Presenteeism, Absenteeism: Focusing on Railroad Workers

직무스트레스, 사회심리적 건강수준과 프리젠티즘 및 결근의 관련성: 철도 근로자를 중심으로

  • Ryu, Inn-Shil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stitute for Occupational Health) ;
  • Jeong, Dae-Soon (Korea Railroad Corporation) ;
  • Kim, In-Ah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
  • Roh, Jae-H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Institute for Occupational Health,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Won, Jong-U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Institute for Occupational Health,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유인실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및 의과대학 산업보건연구소) ;
  • 정대순 (한국철도공사) ;
  • 김인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 노재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산업보건연구소) ;
  • 원종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산업보건연구소)
  • Received : 2012.06.08
  • Accepted : 2012.09.20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presenteeism and absenteeism among railroad workers as well a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job stress level and psychosocial well-being status are associated with presenteeism and absenteeism. Methods: As the cross-sectional design,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using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KOSS), Psychosocial Well-being Index(PWI), and Work Productivity and Impairment-General Health(WPAI-GH) was administered to railroad worker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s were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psychosocial well-being status and presenteeism, absenteeism in 1,099 subjects. Results: Among the study subjects, 52.0% and 22.0% experiened presenteeism and absenteeism, respectively. Job stress level in railroad workers was higher than that in general worker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ith presenteeism as the dependent variable showed an elevated odds ratio of 3.56(95% CI 1.48-8.54) in the highest job stress group, and an odds ratio of 3.20(95% CI 1.94-5.26) in the high-risk psychosocial stress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level and absenteeism, whereas weak association between psychosocial stress and absenteeism was found. Conclusions: Since railroad workers have a high level of job stress and elevated experience of presenteeism, a management strategy is required to control presenteeism and absenteeism in order to promote railroad workers'health and safety.

목적: 철도 근로자들의 프리젠티즘과 결근의 실태를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이 프리젠티즘과 결근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단면연구로서 철도 근로자 1,0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개인적 및 업무관련 특성과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SS)에 의한 직무스트레스, 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PWI)를 이용한 사회심리적 건강수준을 측정하였으며, WPAI-GH를 이용하여 지난 1주일간의 프리젠티즘과 1년간의 결근에 대해 조사하였다.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직무스트레스, 사회심리적 건강수준 그리고 일반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라 프리젠티즘과 결근이 발생할 교차비를 구하였다. 결과: 조사대상의 52.0%에서 프리젠티즘을, 22.0%에서 결근을 경험하였다. 철도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일반 근로자들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프리젠티즘과 결근을 종속변수로 한 다변량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낮은 집단에 비하여 가장 높은 집단에서 프리젠티즘을 경험할 교차비는 3.56(95% CI 1.48~8.54)으로, 사회심리적 건강수준에 따라서는 정상군에 비해 고위험 스트레스군에서 교차비가 3.20(95% CI 1.94~5.26)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결근 사이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결근은 약한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 철도 근로자들은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으며,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프리젠티즘이 높게 나타나므로, 이를 줄여 철도 안전과 근로자 건강을 도모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