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Volume 24 Issue 3
- /
- Pages.274-286
- /
- 2012
- /
- 1225-3618(pISSN)
- /
- 2052-4374(eISSN)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Bone Mineral Density : analysis of 2008-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교대근무와 골밀도의 관련성: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09)
- Wang, Jong-Ho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
- Lee, Go-Eun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
- Song, Jun-Taek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
- Kwon, Jong-Ho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
- Choi, Hyun-Rim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
- Jung-Choi, Kyung-He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im, Sin-Ye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 왕종호 (경희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 이고은 (경희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 송준택 (경희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 권종호 (경희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 최현림 (경희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 정최경희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 임신예 (경희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Received : 2012.07.20
- Accepted : 2012.09.24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the bone mineral density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workers. Methods: he data from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09)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Korean workers aged 16 to 60 year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the bone mineral density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using the SAS version 9.3 package program. Results: The blood vitamin D level in shift work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day workers in both males and females. In male shift workers, shift work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decreased bone mineral density in the femoral neck (odds ratio(OR) 1.42, 95% confidence interval(CI)=1.05~1.92) and lumbar spine (OR 1.53, 95% CI=1.09~2.15) compared to day workers.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this association was still significant. In the case of female shift workers, shift work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 decreased bone mineral density in the total femur (OR 2.84, 95% CI=1.69~4.79) and lumbar spine (OR 1.58, 95% CI=1.12~2.24).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this risk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 blood vitamin D level of shift work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day workers. In male shift workers, shift work can decrease the bone mineral density in the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 Prospective studies with information on the shift work intensity and duration and exposuredata to explain mechanisms will be needed.
목적: 대표성 있는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교대근무 근로자들에서의 혈중 비타민 D 수준을 조사하고 교대근무와 골밀도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09) 자료를 이용하여 16~60세 임금근로자 2,819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 골밀도 수준, 골밀도와 관련된 특성 등을 카이제곱 검정 및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선행 연구를 통해 밝혀진 골밀도와 관련된 인자들을 보정한 후 교대근무와 골밀도 감소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AS 9.3을 이용하였다. 결과: 남녀 교대근무군에서 주간근무군에 비해 혈중 비타민 D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 회귀분석결과 남자에서 교대근무의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 감소 위험의 비차비는 1.42(95% 신뢰구간 1.05~1.92)이었으며, 요추의 골밀도 감소 위험의 비차비는 1.53(95% 신뢰구간 1.09~2.15)이었다. 골밀도와 관련된 다른 요인들을 함께 보정한 후에도 남자에서 교대근무는 대퇴골 경부 및 요추의 골밀도 감소 위험을 유의하게 높였다. 여자에서 교대근무의 전체 대퇴골의 골밀도 감소 위험의 비차비는 2.84(9% 신뢰구간 1.69~4.79)이었으며, 요추의 골밀도 감소 위험의 비차비는 1.58(95% 신뢰구간 1.12~2.24)이었다. 골밀도와 관련된 다른 요인들을 함께 보정한 후 비차비는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남녀 교대근무군에서 혈중 비타민 D 농도는 주간 근무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남자 교대근무군에서 대퇴골 경부 및 요추의 골밀도 감소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