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문보존 췌십이지장절제술 후의 간동맥 거짓동맥류에 대한 다양한 혈관 내 치료

Miscellaneous Endovascular Treatment of Ruptured Hepatic Artery Pseudoaneurysms after Pylorus Preserving Pancreaticoduodenectomy

  • 강웅래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김영환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김시형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안은정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이영환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Kang, Ung-Rae (Department of Radiolog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School of Medicine, Daegu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
  • Kim, Young-Hwan (Department of Radiology, Keimyu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
  • Kim, See-Hyung (Department of Radiology, Keimyu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
  • Ahn, Eun-Joung (Department of Radiology, Keimyu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
  • Lee, Young-Hwan (Department of Radiolog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School of Medicine, Daegu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 투고 : 2011.12.02
  • 심사 : 2012.01.17
  • 발행 : 2012.03.01

초록

목적: 유문보존 췌십이지장절제술 후에 발생한 파열된 간동맥 거짓동맥류에 대한 혈관 내 치료의 적합성과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Pylorus preserving pancreaticoduodenectomy 후 간동맥 거짓동맥류가 발생한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거짓동맥류의 위치와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혈관 내 치료술을 시행하였다. 시행한 혈관 내 치료술은 코일색전술 5예, 스텐트 이식편 5예, 코일색전술 및 트롬빈주입 1예, 스텐트 이식편과 코일색전술 1예, N-butyl cyanoacrylate (NBCA) 주입 1예였다. 시술 후 CT 촬영과 간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시술 후 거짓동맥류의 소실과 지혈이 확인되었다. 코일색전술과 NBCA 주입한 4명의 환자에서 as-partate transaminase (AST)와 alanine transaminase (ALT)의 상당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들 4명 중 2명은 혈종에 의한 간문맥 협착이 있던 환자로, 시술 후 간경색과 간농양으로 사망하였다. 다른 9명의 환자에서는 AST와 ALT의 증가가 없었다. 생존한 11명의 환자는 추적검사상 정상 간기능을 보였으며, 거짓동맥류의 완전소실이 관찰되었다. 결론: 파열된 간동맥 거짓동맥류의 혈관 내 치료는 적합하고 안전한 치료 방법으로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간문맥 혈류량이 충분하지 않은 환자에 있어서 간동맥의 완전 코일색전술은 피하여야 한다.

Purpose: To assess the feasibility and safety of the endovascular treatment of ruptured hepatic artery pseudoaneurysms after pylorus preserving pancreaticoduodenectomy (PPPD). Materials and Methods: Thirteen patients with hepatic artery pseudoaneurysm after PPPD were enrolled. Various endovascular techniques were used depending on the sites and morphologies of the pseudoaneurysms. Five cases were treated by coil embolization, five with stent-graft, one by thrombin injection and coil embolization, one with stent-graft and coil embolization, and one with N-butyl cyanoacrylate (NBCA) injection. Computed tomography scans and liver function test were performed after the procedures. Results: Pseudoaneurysm exclusion and bleeding cessation was achieved in all patients. In four patients that underwent coil or NBCA embolization of the hepatic artery, aspartate transaminase (AST) and alanine transaminase (ALT) were markedly elevated. Two of these four patients with narrowing of the portal vein due to surrounding hematoma died of hepatic infarction or hepatic abscess. In other nine patients, AST and ALT were unchanged. In the 11 surviving patients, normal hepatic function and complete pseudoaneurysm disappearance were achieved during follow-up. Conclusion: Endovascular treatment of ruptured hepatic artery pseudoaneurysms can be considered as a feasible and safe method. However, complete occlusion of the hepatic artery with coils should be avoided in patients with inadequate portal flow.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