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by
- 한국 여성의 골다공증 검진부위에 따른 진단결과 불일치: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0 vol.15, pp.3,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4.15.3.1590
- 골다공증 유무와 골다공증 의사진단여부와의 진단 일치율 융합연구 vol.17, pp.1, 2012, https://doi.org/10.14400/jdc.2019.17.1.281
DOI QR Cod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orrelation according to sites measured from women diagnosed with osteoporosis without other factors influencing osteoporosis. Materials and Methods: Two hundred patients diagnosed with osteoporosis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from January 2006 to January 2007 were evaluated. All patients were measured at the hip joint (Femur neck, Ward triangle, and great trochanter), lumbar spine body (L1-4), and distal radius. Results of measurements were then evaluated for determination of coincidence. Results: Mean bone mineral density was lowest at Ward's triangle(-2.93
목적: 골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갖지 않는 골다공증 진단을 받은 여자 환자들을 대상으로 부위별 골밀도를 측정하여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에서 2007년 1월까지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를 이용하여 골다공증으로 진단 받은 여자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관절부(대퇴경부,Ward 삼각, 대전자부), 요추체 전후면(L1-4), 원위 요골 부위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부위별, 연령대별 골밀도와 골다공증 진단의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부위별 평균 골밀도는 wards 삼각(-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