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Fate of fenitrothion aerially sprayed to control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was studied in a forest of Haman area. And the monitoring of fenitrothion was conducted in a stream flowed from forest area of Gijang sprayed fenitrothion. Fenitrothion 50% EC was diluted 100 times and applied two or three times using helicopter in Haman and Gijang, respectively. Average fenitrothion deposits on forest floor ranged from 6% of standard aerial application rate. Following to the second application, fenitrothion deposits in the pine needle ranged from 0.6 to 0.9 mg/kg and then rapidly decreased to 0.01 mg/kg after 109 days. Deposits on the plant washed off by rainfall and reached to soil surface was 1.3% of the application rate. All of fenitrothion on the ground resided in the forest floor covering the soil surface, where fenitrothion residues were decreased to a tenth at 109 days after the second application, but they were not detected in sol beneath it. And the only low level of fenitrothion residues, 0.0009 mg/L, was detected in runnel of the experimental forest just after aerial application. The concentration of fenitrothion in effluent from Gijang area was less than detection limit (0.0001 mg/L) during the entire period.
소나무재선충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방제용으로 살포되는 농약성분의 산림환경 중 분포, 이동 및 잔류소장 등 행적을 파악하고 방제지역으로부터 수계로의 유출농도 수준 및 유출경로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목적으로 산림 해충방제용 fenitrothion 유제에 대한 행적시험과 수계유출량 조사를 실시하였다. 행적시험 장소는 경남 함안군 칠서면 태곡리 소재 산림이었고, 유출량조사는 부산 기장군 철마면 소재 방제지역 산림에서 실시하였다. 함안 행적시험구에서 fenitrothion의 평균 지표면 낙하량은 표준살포량의 6% 수준이었다. 솔잎 중의 잔류량은 살포 직후에 0.6~0.9 mg/kg이었으나 109일 후에는 0.01 mg/kg로 감소하였고, 빗물에 씻겨 내린 양은 살포량의 1.3% 수준이었다. 토양표면에 도달한 fenitrothion의 모두는 부엽토층에 존재하였으며 살포 109일 후에는 표면도달량의 10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부엽토 밑 토양에서는 전 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았다. Fenitrothion은 시험구 내 계곡수에서 살포 당일에만 0.0009 mg/L의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기장 방제지역 배출수계에서는 전 기간 동안 검출한계 미만(0.0001 mg/L)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