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Epistemic Beliefs and Creativity of Mathematics & Science Gifted Students

수학·과학 영재의 인식론적 신념과 창의적 사고와의 관계

  • Received : 2012.11.16
  • Accepted : 2012.12.17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pistemic beliefs and creativity of gifted students. To resolve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used epistemic beliefs inventory and Torrance's TTCT to 87 1st grad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enroll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ophistical epistemic beliefs of the gifted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ir naive epistemic beliefs. Secondl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fixed ability and verbal creativity, and between provisional knowledge and verbal creativity, and showed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variables of sophistical epistemic beliefs and figural creativity. Lastly, this study revealed that fixed ability, expert authority and provisional knowledge explain considerable amount verbal creativity of the gifted students. And authority of the acceptance and provisional knowledge affect considerably their figural creativity.

본 연구는 수학 과학 영재학생의 인신론적 신념과 창의적 사고의 관계를 분석하고, 인식론적 신념이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D광역시에 소재한 A영재교육원 학생 87명을 대상으로 인식론적 신념 척도와 TTC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영재학생들은 소박한 인식론적 신념보다 세련된 인식론적 신념 점수가 더 높았으며, 언어 창의력은 고정된 능력 및 잠정적 지식과 도형 창의력은 잠정적 지식, 통합된 지식, 합리적 작업, 비판적 판단, 점진적 과정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 소박한 인식론적 신념 중 고정된 능력과 전문가의 권위가 언어 창의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세련된 인식론적 신념 중 잠정적 지식이 언어 창의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소박한 인식론적 신념 중 권위의 수용은 도형 창의력에 부적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세련된 인식론적 신념 중에서는 잠정적 지식과 비판적 판단이 도형 창의력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채 (2007). 창의력의 이론과 개발. 서울: 박영사.
  2. 김영채 (2010). 검사요강: Torrance TTCT (도형) 검사 A형. 창의력 한국 FPSP.
  3. 김영채 (2011). 검사요강: Torrance TTCT (언어) 검사 A형. 창의력 한국 FPSP.
  4. 김영채 (2012). 창의력의 영역 보편성과 특수성: 쟁점과 TTCT 창의력 검사의 분석. 사고개발, 8(1), 1-29.
  5. 김정섭, 윤경미 (2009). 여중학생의 인식론적 신념과 비판적 사고 성향과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23(1), 91-107.
  6. 노태희, 최용남 (1998). 인식론적 신념과 화학교재 이해도와의 관계. 화학교육, 25(4), 189-194.
  7. 문병상 (2009). 인식론적 신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 학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22(4), 49-68.
  8. 문병상 (2012). 인식론적 신념수준과 언어적 특성이 비교형 수학 문장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6(2), 413-427.
  9. 문성숙, 권재술 (2004). 학습장의 역학적 에너지에 대한 개념 변화 중에 살펴본 물리지식과 앎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 24(3), 499-518.
  10. 박병기, 정영주 (2012). 인식론적 신념의 척도 재타당화 및 영역성 탐색. 교육심리연구, 26(3), 739-767.
  11. 박병기, 채선영 (2006). 사적 인식론의 재개념화 및 그 타당성 검토. 교육심리연구, 20(4), 829-854.
  12. 이주연, 백성혜 (2006).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자 특성과의 관련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25(2), 167-178.
  13. 윤초희 (2008). 인식론적 사고의 발달: 심미관, 가치관 및 지식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2), 39-58.
  14. 윤초희 (2011). 인식론적 신념의 영역 일반성 대 특수성 쟁점과 교육맥락 변인과의 관련성. 교육심리연구, 25(3), 523-544.
  15. 윤초희 (2012).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 이론적 쟁점과 교육적 의미탐색. 교육심리연구, 26(1), 327-351.
  16. 조현철 (2010). 대학생의 인식론적 신념과 비판적 사고 성향간 관계. 교육종합연구, 8(1), 147-170.
  17. Buehl, M. M., & Alexander, P. A. (2001). Beliefs about academic knowledg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3(4), 385-418. https://doi.org/10.1023/A:1011917914756
  18. Dweck, C. (1986). Motivational process affecting learning. American Psychologist, 41(10), 1040-1048. https://doi.org/10.1037/0003-066X.41.10.1040
  19. Hofer, B. K. (2001). Personal epistemology research: Implications for learning and teaching.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3(4), 353-383. https://doi.org/10.1023/A:1011965830686
  20. Hofer, B. K. (2004). Exploring the dimensions of personal epistemology in differing classroom contexts: Student interpretations during the first year of college.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9, 129-163. https://doi.org/10.1016/j.cedpsych.2004.01.002
  21. Kardash, C. A. M., & Howell, K. L. (2000). Effects of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opic-specific beliefs on undergraduates's cognitive and strategic processing of dual-positional tex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 524-535. https://doi.org/10.1037/0022-0663.92.3.524
  22. Kuhn, D. (1999). A developmental model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al Researcher, 28, 16-46.
  23. Muis, K. R. (2007). The role of epistemic beliefs in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42, 173-190. https://doi.org/10.1080/00461520701416306
  24. Perry, W. G. (1968). Patterns of development in through and values of students in a liberal arts college: A validation of a scheme. Cambridge. MA: Bereau of Study Counsel. Harvard University(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024315).
  25. Schommer, M. (1993). Epistemological develop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among secondary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 406-411. https://doi.org/10.1037/0022-0663.85.3.406
  26. Schommer, M. (1993). An emerging conceptualization of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heir role in learning. In R. Garner, & P. A. Alexander (Eds.), Beliefs about text and instruction with text (pp. 25-39). Hillsdale, NJ: Erlbaum.
  27. Scharaw, G., Dunkle, M. E., & Bendixen, L. D. (1995). Cognitive process in well-defined and ill-defined problem solving.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9(6), 523-538. https://doi.org/10.1002/acp.2350090605
  28. Schommer, M. (2002). An evolving theoretical framework for an epistemological belief system. In B. K. Hofer & P. R. Pintrich (Eds.), Personal epistemology: The psychology of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pp. 103-118).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9. Muis, K. R. (2007). Epistemic profil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Examing relations in the context of mathematics problem solving.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2, 415-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