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 of the inner and outer spacing of Sarangche Numaru according to their geographical location conditions during its construction in 15-16th century. The results showed; first, for hill-type, the side of the Numaru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arang Madang makes a short side of Sarangche Numaru regardless of the Orientation and for flatland-type, the side of the Numaru in contact with the Sarang Madang makes a long side of Sarangche Numaru. Secondly, for hill-type, Sarang Madang is not focused as the main view, instead it supports the view of the mountains that are around however, for flatland-type, Sarang Madang is focused as the main view therefore, an inner garden is formed inside Sarang Madang. Lastly, for hill-type, Cho Shan is used as an appropriative landscape while for flatland-type, Sarang Madang is used as the main view and an inner garden is formed because of the diversification of Sarang Madang's function.
본 연구는 15~16세기에 형성된 영남지방 상류주택을 대상으로 입지별 상류주택의 사랑채 내부 공간, 누마루의 기능, 규모, 유형 등을 통해 사랑채 누마루의 입지별 특성을 비교하고 또한 입지별 사랑채 누마루와 사랑마당 및 외부차경과의 시각적 관계를 분석하여 조선 초기 사랑채 누마루의 입지별 내 외부 공간 특색의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구릉지형의 경우 좌향과 상관없이 사랑마당과 접하는 누마루의 면이 단변을 이루고, 평지형의 경우 구릉지형과 달리 사랑마당과 접하는 누마루 면이 장변을 이루었다. 둘째, 구릉지형은 사랑마당이 주조망의 대상이 아니며 주변 산세를 조망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며, 평지형은 사랑마당이 조망의 대상이면서 구릉지형과 달리 사랑마당 안에 내부정원을 형성하고 개방된 입면을 형성한다. 셋째, 구릉지형은 조산을 외부차경으로 활용하며 평지형은 사랑마당을 조망대상으로 활용하고 사랑마당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내부정원을 형성하는 차이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