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GI(Computer-Generated Imagery)의 재현적 간극 소멸에서 보여지는 모사이론의 재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valuation of copy theory in Representational Gaps Extinction of CGI

  • 정규형 (숙명여자대학교 시각영상디자인과)
  • 투고 : 2012.11.01
  • 심사 : 2012.12.14
  • 발행 : 2012.12.31

초록

실제 대상으로부터 모사된 이미지에서 인간이 느끼는 환영의 존재에 대한 연구는 오랜 시간 동안 모사이론과 관습주의로 나뉘어 진행되어왔다. 플라톤(Plato) 이래로 오랫동안 재현(再現) 이론을 지배해온 전통적 모사 이론은 환영을 이미지와 재현 대상 간의 닮음 또는 유사성으로 설명해 왔다. 모사 이론에 따르면 이미지는 언어와 달리 대상과의 유사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인지되는 자연적 기호이다. 20세기 후반 들어 모사 이론을 비판하면서 등장한 굿먼(N. Goodman)으로 대표되는 관습주의는 이미지와 재현 대상 사이에는 어떠한 특별한 종류의 유사성도 없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회화적 기호의 관습적인 속성에 주목하면서 이미지가 언어와 마찬가지로 자의적인 코드의 중재를 통해 기능하는 관습적 기호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이론의 대립은 인지 과학의 등장과 함께 관습주의의 승리로 정리되었고, 모사이론은 원본과 복제물 간에 존재하는 '재현적 간극'의 문제에 명쾌하게 해답을 제시할 수 없었다. 그러나 사진 미디어를 시작으로 디지털 미디어가 등장하면서 '환영'에 대한 이론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 동안 문제가 되었던 '재현적 간극'이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CGI 이미지에서는 소멸되어버린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영화나 광고 혹은 인쇄매체를 통해 아주 쉽고 빈번하게 원본과 구분되지 않을 만큼 정교한 복제물에 노출되어있다. 때로는 원본보다 더욱 원본 같은 경우도 나타난다. 이러한 시대의 도래에는 대상의 모든 특성을 0과 1로 분절하여 '비물질화' 시키는 디지털이 자리 잡고 있다. 특히나 실제 빛의 기능과 메커니즘마저 완벽하게 Photon Mapping 이라는 기술로 매칭하여 모사함으로써 복제물은 더욱 원본처럼 생산되어지고 있다. 이렇게 원본과 복제본의 구분이 불가능해지면서 나타난 '재현적 간극'의 소멸은 디지털 미디어에 의해 투사되는 환영의 특성을 설명함에 있어 새로운 이론 모델의 필요성을 제시하게 되었고, 전통적 모사이론에 기반을 둔 새로운 해석이 그 답이 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가늠해보고자 한다.

Study about existence of illusion which human beings feel from imitated image based reality have been continuing by copy theory and conventionalism for a long time. Traditional copy theory which had controlled representation theory from plato have explained illusion by similarity of image and representation objects. According to copy theory, image is natural sign unlike language but the late in the 20th century, conventionalism from N, Goodman insists they are not any special similarity between image and representation objects. They insist image and conventional sign just as language. These opposit theory rearranged conventionalism by the entrance on the cognitive science. The copy theory couldn't explain the problem of representational gap between reality and duplication, but photo media makes new paradigm about theory of the illusion. The problem of representational gap was disappeared by CGI images on the base of digital media. We are exposed exquisite duplication for a example, movie, advertisement, printings. Sometimes duplications are more real than the original works. Digital is a non-material object by 0 and 1. Specially real lighting skill and mechanism are copied perfectly by photon mapping skills and the duplications are produced more real than the original works. By disappearance of representational gap, we need new theory model for explaining of digital illusion and copy theory can be the key.

키워드

참고문헌

  1. 네그로폰테, 백인욱 역, 디지털이다, 커뮤니케이션북스, 1995.
  2. 수잔 손탁, 유경선 역, 사진 이야기, 해뜸, 1986.
  3.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역, 시학, 문예출판사, 1994.
  4. 존 빈스, 김태호 역, 컴퓨터 그래픽스, 미진사, 1987.
  5. 이종한,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뉴 미디어 미학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회, Vol.7 No.1(2005), pp.101-112.
  6. 오연경, "E. H. 곰브리치의 환영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0, 12).
  7. 민수홍, "3-D 컴퓨터 그래픽 렌더링 색채재현 인터페이스의 이중성에 관한 고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9, 2).
  8. Goodman, N., Languages of art, Oxford University Press, 1969.
  9. Gombrich, E. H. "Illusion and Art", in R. L. Gregory and E. H. Gombrich (eds.), Illusion in nature and art, Gerald Duckworth & Company, 1973, pp.135-155.
  10. Plato, "RepuvlicX", in Cooper, J.M. & D.S. Hutchinson(eds.), Plato: Complete works,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97, pp. 602d-603b.
  11. Naver, www.naver.com, 검색어: CG 조명, 2012.10.10.
  12. http://blog.naver.com/3dvr?Redirect=Log&logNo=130001931792,
  13. 고흐, (삼나무가 있는 밀밭, 1889).
  14. <아바타> (Avatar,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