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mparison of Water Quality of Daecheong-Dam basin According to the Data Sources of Land Cover Map

토지피복도 자료원에 따른 대청댐유역 수질특성 비교

  • 이근상 (전주비전대학교 지적부동산과) ;
  • 박진혁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 최연웅 (조선이공대학교 토목건설과)
  • Received : 2012.06.15
  • Accepted : 2012.10.22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influence of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data sources of spatial information. Firstly, land cover map was constructed through image classification of Daecheong-dam basin and the accuracy of image classification from satellite image showed high as 88.76% in comparison with the large-scaled land cover map in Ministry of Environment, to calculate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by land cover that impact on the evalu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Also curve number and direct runoff were calculated by spatial overlay with soil map and land cover map from image classification. And Seokcheon and Daecheong-Dam basin showed high in the analysis of curve number and direct runoff. Samgacheon-Joint and Sokcheon-Downstream basin showed high in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of BOD from direct runoff and EMC. And Samgacheon-Joint and Bonghwangcheon- Downstream basin showed high in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of TN and TP.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from image classific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by the land cover map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to present the effectivity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from satellite image. And Daecheong-Dam Upstream basin showed high as 10.64%, 11.70% and 20.00% respectively in the error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of BOD, TN, and TP.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with paddy and dry field is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in order to simulate water quality of basin effectively.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자료원에 따른 수질특성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먼저, 비점오염부하량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피복별 기대평균농도(EMC)를 효과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영상분류를 통해 대청댐유역의 토지피복도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환경부 대분류 자료와 비교한 결과 88.76%의 높은 정확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토양도와 영상분류에 의한 토지피복도를 공간 중첩하여 유출곡선지수와 직접유출을 계산하였으며, 분석 결과 석천과 대청댐 유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직접유출과 기대평균농도를 조합하여 계산한 BOD에 대한 비점오염부하량은 삼가천합류점과 소옥천하류 유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TN과 TP에 대한 비점오염부하량에서는 삼가천합류점과 봉황천하류 유역이 높게 나타났다. 영상분류에 의한 비점오염부하량의 효용성 평가를 위해 환경부 토지피복도에 의한 비점오염부하량과 상호 비교한 결과, 대청댐상류 유역에서 BOD, TN, TP에 대한 오염부하량의 오차가 각각 10.64%, 11.70%, 20.00%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역내 수질특성을 효과적으로 모의하기 위해서는 논과 밭이 포함된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비점오염부하량 평가에 바람직하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Andrzej Tonderski, 1996, "Landuse-based nonpoint source pollution. A threat to water resources in developing countries,"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33, No.4-5, pp. 53-61. https://doi.org/10.1016/0273-1223(96)00214-4
  2. Atsushi Ichiki, Toshiyuki Ohnishi, Kiyoshi Yamada, 1998, "Estimation of urban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Lake Biwa basin,"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38, No.10, pp. 157-163. https://doi.org/10.1016/S0273-1223(98)00745-8
  3. Geun Sang Lee and Khil Ha Lee, 2009, "Comparison between a soft and crisp geographic boundary of the soil texture component in hydrologic model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14, No.6, pp. 640-646. https://doi.org/10.1061/(ASCE)HE.1943-5584.0000031
  4. Geun Sang Lee and Khil Ha Lee, 2010, "Determining the Sediment Delivery Ratio Using the Sediment Rating Curve and a GIS-embedded Soil Erosion Model on a Basin Scale,"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15, No.10, pp. 834-843. https://doi.org/10.1061/(ASCE)HE.1943-5584.0000254
  5. Geun Sang Lee, Khil Ha Lee, Gyo Cheol Jeong, 2009, "A strategy for quantifying turbid-water occurrence possibility based on geologic characteristics and soil erosion in hydrologic basins,"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Vol.59, No.4, pp. 821-835. https://doi.org/10.1007/s12665-009-0078-5
  6. Leon, L.F., Soulis, E.D., Kouwen, N., Farquhar, G.J., 2001, "Nonpoint source pollution: a distributed water quality modeling approach," Water Research, Vol.35, No.4, pp. 997-1007. https://doi.org/10.1016/S0043-1354(00)00336-5
  7. 김만식, 정승권, 2000,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유역의 토지이용별 비점오염부하량 분석," 환경관리학회지, 제6권, 제3호, pp. 411-421
  8. 김이형, 이선하, 2005, "주차장 및 고량지역의 강우유출수내 비점오염물질의 특성 및 동적 EMCs," 수질보전 환경물환경학회지, 제21권, 제3호, pp. 248-255.
  9. 김철, 김석규, 2002, "GIS를 이용한 주암호 유역의 오염부하량 산정 및 수질모의,"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5권, 제3호, pp. 87-98.
  10. 박재홍, 이수웅, 박주현, 류덕희, 정동일, 최혜미, 전우송, 2009, "고해상도 영상자료를 이용한 실제 토지이용에 따른 지목면적과 부하량 산정,"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제25권, 제2호, pp. 193-204.
  11. 윤태훈, 1999, 응용수문학, 청문각.
  12. 이상익, 이종수, 최윤수, 2003,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분포지도제작과 비점오염 부하량 산정 결과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3권, 제5D호, pp. 719-726.
  13. 이춘원, 강선홍, 안태웅, 양주경, 2011, "청양-홍성간 도로에서의 강우시 비점오염 유출특성 및 오염부하량 분석," 상하수도학회지, 제25권, 제2호, pp. 265-274.
  14. 전북발전연구원, 2007, GIS를 활용한 오염총량 대비 전라북도 비점오염원 관리, 전발연 2007-R-09.
  15. 채효석, 김광은, 김성준, 김영섭, 이규성, 조기성, 조명희, 2002, 환경원격탐사, 시그마프레스, pp. 401-431.
  16. 한국수자원공사, 2010, 댐운영실무편람.
  17. 함광준, 김준현, 심재민, 2005, "GIS를 이용한 유역별 오염부하량 산정시스템의 개발," 한국영향평가, 제14권, 제3호, pp. 97-107.
  18. 황세란, 김성준, 이임평, 2010, "항공 라이다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영역 탐지,"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8권, 제3호, pp. 23-32.
  19. 황세란, 이미진, 이임평, 2012, "항공 라이다데이터를 이용한 개별수목탐지 및 평균수고측정,"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2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