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uilding a Web-Based Un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A Case Study of the Namsan Area in Kyeongju -

웹을 이용한 비지정 문화재 관리 시스템 구축 - 경주 남산 지역을 중심으로 -

  • Jo, Myung-Hee (Department of Satellite Geoinformatics Engineering, Kyugil University) ;
  • Jang, Sung-Hyun (Institute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GEO C&I Co., Ltd.) ;
  • Kim, Hyoung-Sub (Institute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GEO C&I Co., Ltd.)
  • 조명희 (경일대학교 위성정보공학과) ;
  • 장성현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 김형섭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Received : 2012.10.20
  • Accepted : 2012.12.14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web-server for culture heritag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and safely preserve un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in the Namsan area in Kyeongju, which have been neglected so far.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on the basis of un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in the study area. To acquire the location and range GPS were used and spatial data including geographic coordinates, visual materials and 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field survey. 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ed reliable and accurate locations of un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which are scattered,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were used. The spatial databas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standard of cultural properties and attribute data was linked to geo-spatial information(digital map and aerial photographs). This system was built in a web-server environment. The result shows detailed description on the selected output for selected location and property information can be located on the map. In particular, a database to search for the status and modification of cultural properties will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s.

본 연구는 지금까지 방치되어 왔던 경주 남산의 비지정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존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Web 기반 문화재 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경주 남산지역의 비지정 문화재에 대한 기초자료 수집하였으며, 이 자료를 토대로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유적의 위치와 분포 범위 등의 자료를 사진촬영과 함께 GPS를 이용하여 취득하였다. 또한, 경주 남산에 산재되어 있는 비지정 문화재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좌표 정보를 취득하였다. 유적정보는 문화재청의 데이터베이스 표준을 기준으로 프로그램을 구축하였으며, 비지정 문화재의 속성정보는 지형정보(지도 및 항공사진)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시스템화 하였다. 본 시스템은 Web 환경으로 구축하였으며, 검색된 유적을 선택하여 지도상의 위치확인 및 세부적인 유적정보와 상세설명 자료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선택한 객체의 결과자료를 출력 가능토록 하였다. 특히, 검색한 문화유적의 사진 및 동영상 정보는 사용자들의 이해를 돕도록 하였으며, 문화유적 훼손에 따른 자료 관리와 수정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3. 경주 남산 종합 정비 기본계획. 경주시. 740쪽.
  2. 문병채, 박현욱, 정태영. 2003. GIS를 이용한 문화정보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3):43-60.
  3. 송상훈, 정종필, 문창수. 2011. GIS를 활용한 문화재 입지 특성 분석. 한국전자통신학회 2011 추계종합학술대회지 5(2):121-125.
  4. 양해근, 신해진. 2006. Web GIS를 이용한 호남문화정보시스템(HCIS) 구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2):291-304.
  5. 이진영, 홍세선, 윤현수. 2010. 종묘 어도박석 관리를 위한 GIS 및 GPS 활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125-137.
  6. 장문현. 2008. 문화재 GIS 구축을 위한 문화 유적분포지도 제작 연구 -지자체 문화유적정보를 중심으로-. 한국GIS학회지 16(3): 303-315.
  7. 장문현, 이정록. 2009. Web GIS 기반의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 구축 연구. 한국GIS학회지 17(3):329-339.
  8. 장문현, 이정록. 2010. GIS 기반의 역사문화유적 분포특성 시각화 연구: 섬진강 유역권을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지 44(4):697-711.
  9. 장용구. 2006. 모바일 GPS/GIS 기술을 이용한 유적 지표조사 시스템 구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91-101.
  10. 장호식, 노태호, 이종출. 2004. 웹을 이용한 문화재 관리 정보시스템 구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논문집 12(1):63-68.
  11. 정성혁, 이계동, 이재기. 2003. 문화재 웹 DIS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사진측량기법. 산업과학기술연구논문집 17(2):79-85.
  12.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09. GIS를 통해 본 영산강유역 고분의 분석 시론. 숭실사학 19:295-324.
  13. 한진정보통신. 2010. 경주남산 문화재관리시스템 개선용역. 13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