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김감영. 2010. 연령별 인구이동 특성에 대한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ESDA): 대구시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5):590-609.
- 김원경, 이미영. 2002. 김해시 CBD의 지가패턴, 한국도시지리학회지 5(1):15-33.
- 김창석. 2000. 도시중심부연구. 보성각. 33-40쪽.
- 김타열. 2008. 점이지대의 영역 설정과 공간적 변화에 관한 연구: 대구시 사례. 국토계획 43(4):149-164.
- 김타열, 진원형, 양성환. 2011. 대구시 중심시가지 점이지대의 주거지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6):710-725.
- 김호용. 2011.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도시 교통량 예측의 정확성 향상.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138-147.
- 김호용. 2011.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설 입지 정확성 향상 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2):146-156.
- 김호용. 2012. 세력권 방식의 공간적 연관성을 이용한 인구분포 변화 분석. 국토연구 73:47-61.
- 남영우. 2011. 도시공간구조론. 법문사. 299-309쪽.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9. 국토.지역계획론. 158쪽.
- 부산광역시. 2030년 부산도시기본계획 보고서. 99-108쪽.
- 송준창, 김타열. 2008. 팽창도시에 있어 도심의 이동에 관한 연구-천안시 사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8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19-226쪽.
- 이상일, 조대헌, 손학기, 채미옥. 2010. 공간클러스터의 범역 설정을 위한 GIS 기반 방법론 연구: 수정 AMOEBA 기법. 대한지리학회지 45(4):502-520.
- 이희연, 심재헌. 2011. GIS-지리정보학. 393쪽.
- 정경석, 문태헌, 정재희, 허선영. 2009. GIS와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시.공간적 도시범죄 패턴 및 범죄발생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1):12-25.
- 주경식, 서민철. 1998. 서울 도심의 경계, 기능 및 내부구조. 대한지리학회지 33(1):41-56.
- 형시영. 2006.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도심 쇠퇴 현상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3(2):1-22.
- Aldstadt, J. and A. Getis. 2006. Using AMOEBA to create a spatial weights matrix and identify spatial clusters. Geographical Analysis 38(4):327-343. https://doi.org/10.1111/j.1538-4632.2006.00689.x
- David, W.S.W. and J. Lee. 2005. Statistical Analy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John Wiley & Sons, Inc. pp.387-395.
- Harvey, J.M. and J. Han. 2009. Geographic Data Mining and Knowledge Discovery. CRC Press. pp.11-12.
- Richard, E.P. 1966. The zone in transition: A study of urban land use patterns. Economic Geography 42:236-260. https://doi.org/10.2307/142008
- Yee, Leung. 2010. Knowledge Discovery in Spatial Data. Springer. pp.225-235.
- ESRI. 2011. Modeling Spatial Relationships. http://help.arcgis.com.
피인용 문헌
- A Study on the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and the Scale Effect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MAUP) vol.16, pp.3, 2013,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3.040
- Analysis of Changes in the Population Potential of the Neighboring Areas of Sejong City Using the Accessibility Model vol.17, pp.4,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4.167
-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way Influence Areas Using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vol.16, pp.1, 2013,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1.067
- A Study of the Diagnosis of Downtown Deterioration in Busan vol.16, pp.4, 2013,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4.039
- An Analysis on the Spatial Spillover Patterns of Aging Population in Rural Areas vol.17, pp.3,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3.039
- Analysis on Chang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Related with Urban Planning : Using Spatial Statistical Method vol.17, pp.2,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2.001
- 서울시 영재교육기관의 공간적 분포특성 분석 vol.25, pp.5, 2012, https://doi.org/10.9722/jgte.2015.25.5.711
- 지가에 의한 도심 경계 설정의 타당성 및 도심의 지가 변화 vol.22, pp.3, 2012,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