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of Analysis within Technique of Visibility for Selecting the Route of Viewing

조망루트 선정을 위한 가시권 분석의 적용 -보길도 윤선도 원림(명승 제34호)을 중심으로-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김재웅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Received : 2012.10.15
  • Accepted : 2012.11.05
  • Published : 2012.12.28

Abstract

This study, as a purpose of viewshed anaiysis is selected for the view route, View of the target yunseondo wonlim (scenic sites No.34) located in the terrain ridge. Using GIS Viewshed analysi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reflect the view route was selected. The basic research for this study, the scenic sites such as the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for the efficient and optimized to create the route view. Viewshed Analysis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Along a scenic sites located inside the main ridge Viewshed analysis was carried out. This overlapping the cumulative results are Leading to Nakseojae(樂書齎) Seyeonjeong(洗然亭) from space in the visible frequency higher natural villages of the district. Selected the view route and were on the road and in the topographic map nesting along Visible high-frequency reg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ested Viewshed major selected six points Viewshed analysis was carried out. Resource for the surrounding landscape. Results determine whether the visibility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was identified as the viewable area appears good. Finally Viewshed Analysis results for six points in the final review.

본 연구에서는 조망루트 선정을 위한 가시권분석으로 보길도 윤선도원림(명승 제34호)내 위치하고 있는 지형의 능선부를 조망대상으로 하여 GIS를 활용한 가시권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명승과 같은 자연 문화 자원에 대한 효율적이고 최적화된 조망루트를 조성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가시권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었다. 명승 지정구역 내부에 위치한 주요능선을 따라 가시권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누적하여 중첩한 결과 세연정에서 낙서재로 이어지는 공간 중 자연취락지역에서 가시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가시빈도가 높은 지역을 따라 선정된 조망루트와 수치지형도의 도로망과 중첩한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가시권 지점 6개를 선정하여 주변 경관자원에 대한 가시권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주변 경관의 가시가능 여부를 확인한 결과 가시영역이 양호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가시도분석 기법은 명승내 옛길의 복원 및 경관통제점, 조망루트 조성 등을 위한 기초연구로 추후 가시권분석결과에서 나타나는 경관의 형태에 따른 선호도분석과 명승내 다양한 문화자원들에 대한 가시여부를 확인하여 통해 보다 실질적인 가시권분석이 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창규, 자연유산의 보호 및 이용에 관한 법령(안) 설명자료, 문화재청, 2011.
  2. 문화재청 국립문화재 연구소, 韓.中.日 명승 보존과 활용방안 논문집, 문화재청 국립문화재 연구소, 2011.
  3. 김충식, 이재용, 김영모, "명활산성 주변의 산림경관 관리를 위한 시곡면과 누적가시도 분석기법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29권, 제4호, pp.78-86, 2011.
  4. 한갑수, "GIS와 RS를 이용한 오대산국립공원의 경관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pp.114-122, 제8권, 제4호, 2005.
  5. 김성운, 김찬호, "높이규제를 위한 시곡면분석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43권, 제6호, pp.71-80, 2008.
  6. 이상복, 이승엽, 하재명, "불가심도분석의 설계 및 구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2권, 제3호, pp.66-75, 2009.
  7. 김충식, 이재용, 김용모, "누적가시도 분석을 위해 분석을 이용한 신라시대의 성성 입지와 감시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29권, 제3호, pp.12-21, 2011.
  8. 강동진, 도시경관계획과정 지원을 위한 GIS의 활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학위논문, 2004.
  9. 서울특별시, 주요 산 주변․조망경관․보존계획, 연구보고서, 서울특별시, 2003.
  10. 환경부, 환경영향평가 관련 규정집, 환경부, 2008.
  11. P. A. Burroug and McDonnel, Principl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2. http://www.innovativegis.com/basis/mapanalysis/topic15/topic15.htm
  13. 여창환, 장영진,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가시권 분석의 적정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4권, 제1호, pp.40-48, 2011.
  14. 이상복, GIS기반 도시경관 분석도구 개발 및 활용연구, 경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5. J. E. Fels, "Viewshed simulation and analysis : an interactive approach," URISA Proceeding, pp.265-266, pp.273-274, 1992.
  16.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원림복원을 위한 조성기법 연구 1차,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17. 윤나리, 백제문화권의 문화생태탐방로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