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방송연예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Broadcast Artist on Job Satisfaction

  • 투고 : 2012.10.04
  • 심사 : 2012.11.20
  • 발행 : 2012.12.28

초록

문화산업이 주목을 받게 되면서 그 한가운데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화예술산업 종사자로서 연예인에 대한 경영의 필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연예인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문화예술산업의 종사자로서의 연예인의 근로 특성과 근로 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별로 없다. 문화예술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그 산업의 한축을 이루는 연예인들의 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연예인의 직무의 특성과 직무환경 및 직무태도와 이와 관련된 선행변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 글의 목적은 다른 직종과는 뚜렷이 구별되는 연예인의 특수한 근로 형태인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연예인의 직업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학문적 고찰을 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방송연예인(가수, 탤런트, 개그맨)에게서 설문 응답을 받았다(120부). 방송연예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방송연예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는 그들의 직무 만족과 부적 상관관계(각각 $-.226^*$, $-.505^{**}$)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설명량을 가지고 있었다(${\Delta}R2=.292$, F=5.557, p<.01). 본 연구의 결과는 방송연예인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직무만족도 현황과 관계성을 보여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Despite growing importance of emotional laborer management in broadcast artist, there are very few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s there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broadcast artist on job satisfaction and their relations. Of the 200 distributed questionnaires 120 copi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exist strong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r=-.226^*$) & job stress($r=-.505^{**}$) and job satisfactio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show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negatively(${\Delta}R2=.292$, F=5.557, p<.01).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research topics to be studied we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문실, 송병식, "정서 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결정요인, 결과요인 그리고 조절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1, pp.1-28, 2008.
  2. 김용습, 연예 매니지먼트 조직 및 의사결정 특성에 관한 연구: 연기자와 가수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 김춘옥, 방송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북스, pp.336-342, 2004.
  4. 노명우, 사회적 사실인 연예인의 자살. 현실분석, 문화과학사, 2010.
  5. 박영배, 안대희, 이상우, "호텔기업 종사원의 감정 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제9권, 제12호, pp.853-864,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2.853
  6. 박홍주, "판매여직원의 감정노동에 관한 일연구: 서울시내 백화점 사례를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제11권, pp.294-296, 1994.
  7. 문화체육관광부, 2011년 콘텐츠산업백서 - 연차보고서, 2012.
  8. 이경호, 대중문화예술인 복리제도 확립에 관한 연구: 방송.연예 산업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9. 이월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사회적 지원의 완충, 예방, 대처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0. 이주연, 연예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1. 이주연, 지명원,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역할갈등, 자아탄력성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191-200,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191
  12. 장규수, 연예매니지먼트: 기초에서 실무까지, 시대교육, 2010.
  13. 한국고용정보원,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 기초분석보고서 - 9차년도 자료분석, 2010.
  14. 한국고용정보원, 직업별 인력수요 전망, 2010.
  15. 한국고용정보원, 2012 한국직업사전, 2011.
  16. A. A. Grandey, "Emotional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5, No.1, pp.95-110, 2000. https://doi.org/10.1037/1076-8998.5.1.95
  17. A. Hochschild,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85, pp.551-575, 1979. https://doi.org/10.1086/227049
  18. A. Hochschild, The managed heart, Univ.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CA., 1983.
  19. B. E. Ashforth and R. H. Humphrey,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9, No.1, pp.88-115, 1993.
  20. C. Brotheridge and A. Grandey,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0, pp.17-39, 2002. https://doi.org/10.1006/jvbe.2001.1815
  21. G. McCraken, "Who is the celebrity endorser? Cultural foundations of the endorse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24, pp.285-290, 1989.
  22. J. A. Morris and D. C. Feldman,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No.4, pp.986-1010, 1996.
  23. J. A. Morris and D. C. Feldman, "Managing emotion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Vol.9, pp.257-274, 1997.
  24. J. Gross, "Antecedent and response focused emotion regulation: Divergent consequences for experience, expression, and physi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4, No.1, pp.224-237, 1998. https://doi.org/10.1037/0022-3514.74.1.224
  25. K. Bettenhausen and J.K Murningna, "The emergence of norms in competitive decisionmaking group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0, No.3, pp.350-372, 1985. https://doi.org/10.2307/2392667
  26. K. Pugliesi, "Th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Effects on Work Stress, Job Satisfaction, and Well-Being," Motivation and Emotion, Vol.23, pp.125-154, 1999. https://doi.org/10.1023/A:1021329112679
  27. R. P. DeShon, K. G. Brown, and J. L. Greenis, "Does self regulation require cognitive resources? An evaliation of resource allocation models of sett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1, pp.595-608, 1996. https://doi.org/10.1037/0021-9010.81.5.595
  28. S. Mann, "People-work: Emotion management, Stress and Coping,"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ing, Vol.32, No.2, pp.205-221, 2004. https://doi.org/10.1080/0369880410001692247